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른 설'에 1월 수출 10%↓…일평균 수출은 7.7% 증가(종합) 2025-02-01 10:43:34
흑자를 이어왔으나 1월 적자로 돌아섰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하는 등 수출 동력은 여전히 살아있다"며 "올해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가용한 모든...
한국 어쩌나...믿었던 수출마저 '흔들' 2025-02-01 10:12:53
적자를 보였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됐다”며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는 등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정우...
[2보] '이른 설'에 1월 수출 10%↓…일평균 수출은 7.7% 증가 2025-02-01 09:34:13
흑자를 이어왔으나 1월 적자로 돌아섰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하는 등 수출 동력은 여전히 살아있다"며 "올해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가용한 모든...
'이른 설' 영향 1월 수출 10.3%↓…16개월만 감소 전환 2025-02-01 09:19:40
수입보다 수출이 더 큰 폭으로 줄어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면서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설 연휴 너무 빨랐나"…수출액 작년보다 10% 이상 감소 2025-02-01 09:02:44
연속 흑자를 나타내다 1월 적자로 전환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하는 등 수출 동력은 여전히 살아있다"며 "올해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가용한 모...
최상목 권한대행 "美 트럼프 통상정책 초기대응 중요" 2025-01-31 14:10:42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구체적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 연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 청문회 발언, 캐나다와 멕시코 관세 부과 관련 백악관 브리핑 등을 논의했다고 기획재정부는 설명했다. 최...
최 대행 "트럼프 정책, 초기 대응 중요" 2025-01-31 13:45:28
밝혔다. 회의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설 연휴 기간 있었던 미국 공화당 하원 컨퍼런스와 상무장관 청문회,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관련 백악관 브리핑 등 통상·외교·안보 동향과 대응 방향을 점검했다.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대한...
산업부, 요소수입 다변화 전략 '효과'…중국산 비중 20%대로 급감 2025-01-31 11:37:42
2026년 1분기까지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공급망안정화위원회 회의에서 "요소와 같이 국민 생활과 산업 활동에 필수적이지만 국내 생산 기반이 없는 품목은 수입 다변화와 함께 국내 생산을 병행 검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세종=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崔대행, 대외경제현안간담회…설연휴 美통상 현안 점검 2025-01-31 10:53:11
등이 논의됐다. 최 권한대행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대한 초기 대응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도 신속하게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관계부처에 주문했다. 간담회에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이 참석했다. jun@yna.co.kr (끝)...
요소 도입선 다변화 굳어진다…중국산 비중 20%대로 확 줄어 2025-01-31 07:00:03
구체적인 시간표를 제시한 상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작년 10월 열린 공급망안정화위원회 회의에서 "요소와 같이 국민 생활과 산업 활동에 필수적이지만 국내 생산 기반이 없는 품목은 수입 다변화와 함께 국내 생산 방안을 병행 검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표] 산업용·차량용 요소 수입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