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ES 참가팀 2배로"…KAIST 혁신기술 뽐낸다 2019-12-17 17:05:58
유연 압전 음성 센서 △노타의 딥러닝 모델 압축기술 기반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솔루션 △인사이드아웃의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복합 헬스케어 기계 △오비이랩의 휴대용 고해상도 뇌 영상 기기 △더웨이브톡의 박테리아 실시간 분석 기술 △타임코드아카이브의 대화형 AI 라디오 서비스 플랫폼 △쉘파스페이스의 식물...
산업장관, 소재부품 개발 기업 방문…"수요·공급기업 협력해야" 2019-09-10 15:20:01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개발을 추진 중인 압전모듈개발·생산업체 ㈜센서텍을 방문했다. 서울 강서구에 있는 센서텍은 20년 동안 센서를 전문으로 개발해 온 회사로 기존 주력제품인 산업용 초음파센서모듈을 넘어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드론, 자율주행차용 센서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지난해에는 매출 400억...
'덜컹덜컹' 다리 지나는 차량 진동도 전력으로 바꾼다 2019-03-14 12:00:09
단위 격자를 만들었다. 해당 기술로 압전소자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을 실행한 결과 기존보다 22배 넘는 전기 생산을 할 수 있었다. 이론뿐만 아니라 실험적으로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는 뜻이다. 표준연 김미소 박사는 "메타물질을 에너지 하베스팅에 접목해 센서와 같은 소자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밀리와트급 전력을 얻은...
달걀껍데기·거미줄로 몸 속 의료기 전기 생산…독성 없어 2019-03-11 10:38:20
추출한 단백질과 다당류를 이용해 압전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압전이나 정전기 발전 소자의 전력 효율을 높였고 생체적합성 재료로 인체 관찰 센서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이달 6일 에너지 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 에너지 머티리얼스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김진곤 포항공대 교수는 "이번...
동아대 화공과 재학생, SCI급 국제학술지에 논문 게재 2019-02-12 17:17:50
게재됐다. 동아대는 화학공학과 4학년 노병일 씨 논문 '개별적으로 직립된 압전 나노튜브 기반의 티탄산바륨·코발트 산화철 자기 전기 박막'이 과학기술논문색인(SCI) 급 학술지인 'Materials Letters'(IF 2.687) 온라인판에 실렸다고 12일 밝혔다. 노씨는 이번 연구에서 '양극산화' 공정을...
걷기만 해도 전기가 만들어지네…IoT 시대 유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2018-12-21 17:22:15
중 일부도 압전판을 통해 공급한다는 게 공항 측 설명이다. 알사미시 아부다비공항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도시를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홍보하기 위해 압전판 통로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에너지의 70~80%는 버려진다”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에너지...
"폭우·눈·안개 재현해 도로교통 시험"…도로실증센터 개소 2018-12-05 14:00:12
차로 이탈 감지 센서 성능검사 등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소음측정을 할 수 있는 방음벽이 설치된 1천50m 직선 도로를 갖춰 도로포장 공법이나 방음벽의 소음 저감 성능 실험도 가능하다. 고속도로·터널 등에 설치하는 이동식 도로정보제공 안내시설도 구비해 이곳에 표시되는 안내정보의 시인성을 평가하고 도로 및...
달팽이관 닮은 AI 음성 센서 개발…누가 말하는지 인식 쉬워져 2018-10-04 16:42:38
= 달팽이관을 닮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음성 센서가 개발됐다. 누가 말하는지 알아내는 정확도가 개선되면서 스마트 홈 가전이나 AI 비서, 생체 인증 분야 등 차세대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4일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부 유창동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공지능 기반의...
태양 빛 없는 밤에도 전기 생산 새 에너지수확 소자 개발 2018-09-03 12:00:09
태양전지로 사용하고 빛이 없는 밤에는 압전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만들 수 있음을 뜻한다. 연구진은 이 연구결과가 향후 주변 스마트 센서의 전력 공급 장치로 이용하고 빛과 소리를 동시에 기록하는 새로운 입력 소자로도 활용하는 등 응용 및 활용 범위가 넓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송진동 박사는...
'스스로 발전하고 빛에 반응'…나노 발전기 개발 2018-08-01 12:00:27
끌어올렸다. 소재로는 안티모니 요오드황(SbSI)이 쓰였다. SbSI는 압전, 반도체, 광반응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SbSI 압전 나노 발전기는 2N(뉴턴)의 작은 힘에도 5V와 150nA(나노암페어) 전류를 생성했다. 붉은색 빛을 쏘였을 때 0.01∼0.1초 만에 반응하는 모습도 보였다. 김상재 교수는 "광 트랜지스터나 광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