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잘 살다'는 '잘 지내다', '잘살다'는 '부유하다'는 뜻 2019-12-09 09:00:18
이들은 늘 붙여 쓰는 말이다. 왜냐하면 이때는 보조용언으로 쓰인 것이라 ‘못하다’가 한 단어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되지못하다/마지못하다/참다못하다’는 ‘못하다’가 앞말(본용언)과 어울려 한 단어(합성어)로 굳어진 말이므로 언제나 붙여 쓴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한숨짓다'는 붙이고 '미소 짓다'는 띄어 쓰죠 2019-12-02 09:00:23
꼴은 언제나 앞말에 붙여 쓴다는 것도 알아둬야 한다. 품사 자체가 바뀌기 때문에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 가령 ‘이루다(타동사)→이루어지다(자동사)’ ‘씩씩하다(형용사)→씩씩해지다(동사)’ ‘급급하다(형용사)→급급해하다(동사)’처럼 변한다. 이를 자칫 ‘이루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집이 참 넓으네'?…'넓네'가 옳아요 2019-03-25 09:01:20
‘-냐/-니/-네’를 통해 우리말 종결어미의 문법성을 알아보자. 이들은 앞말에 붙는 조건이 똑같다는 게 포인트다.‘-냐/-니/-네’는 세쌍둥이…같은 듯 달라우선 ‘노랗다’는 ㅎ불규칙 용언이라는 점을 떠올려야 한다. 그중에서도 형용사이므로 의문 종결어미로 ‘-느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하늘이 '파랍니다'는 '파랗습니다'로 써야죠 2019-03-04 09:01:18
이들은 우리말 존대법 가운데 상대높임법에 쓰이는 서술 어미다. 어떤 것을 쓸지는 이들이 결합하는 앞말에 따라 달라진다. ‘-ㅂ니다’는 ①‘ㄹ’ 받침 용언의 어간 뒤 ②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뒤 ③‘-이다’를 높일 때 ④어미 ‘-으시’ 뒤에 붙는다. ‘-습니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닌'과 '아니라'의 차이 2018-12-17 09:01:29
통해 정상적인 관형절을 구성하는 것이다.‘아니라’는 앞말과 뒷말이 대조적임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a와 b가 독립된 부분집합이다. “그 일은 철수가 아니라 영희가 한 거야”를 보면 잘 드러난다. 많은 사람이 이를 “철수가 아닌 영희가 한 거야” 식으로 잘못 쓴다. 이는 논리적으로...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것이다'를 줄이면 글이 간결해지죠 2018-12-10 09:02:09
빵을 만든 것이다.> 여기에 쓰인 ‘것이다’는 앞말의 어떤 사실을 강조하거나 부연해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1999년 나온 <표준국어대사전>의 풀이와 용례와는 좀 다르다. 전형적 쓰임새가 아니라는 뜻이다. 2009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는 이런 용법이 담겼다.이 문장에서 ‘~것이다’가 꼭...
사글셋방 되고 월셋방 안 된다…들쑥날쑥 사이시옷 규정 2018-07-15 06:30:01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 사이시옷을 쓴다. 한자어 가운데는 예외적으로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등 6가지 단어만 사이시옷을 허용한다. 최 강사는 "월세방과 전세방은 월세나 전세와 방으로 구성 요소를 나눌 수 있으므로...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에게 어색한 북한의 여러 표현들 (3) 2018-05-28 09:01:30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니 ‘~할 데’의 구성은 문법적으로는 이상할 게 없다. 우리가 ‘~할데 대한’을 낯설게 보는 까닭은 남에선 ‘데’보다 ‘것’의 쓰임새가 활발하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이는 현대 우리 어법이 일본어의 영향을 많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맞춤법 공략하기 (30) '야 이놈아'를 줄이면 얀마? 얌마? 2017-03-10 16:27:42
줄면 어떻게 될까. '임마'가 아니라 '인마'다. '놈'의 첫소리가 앞말의 받침으로 가 '인'이 되고, 끝소리 'ㅁ'은 뒷말의 머리로 연음돼 '마'가 된다. '야 이놈아'를 줄이면? 마찬가지로 '얌마'가 아니라 '얀마'다(야 이놈아 → 야 인마...
[영·수야! 놀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2016-07-08 16:26:56
③앞말과 뒷말 사이에 ‘ㄴ’ 또는 ‘ㄴㄴ’ 소리가 덧날 때(잇몸, 빗물, 베갯잇, 깻잎, 예삿일 따위) 붙인다. 여기에 사이시옷을 붙이는 한자어 6개만 외워두면 된다.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