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거창양민학살사건 공무원이 먼저 배우고 진실 알린다 2019-06-09 08:05:01
거창양민학살사건 공무원이 먼저 배우고 진실 알린다 거창군, 10월까지 총 16차례 공무원 대상 공식 교육·현장견학 (거창=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거창양민학살사건(이하 거창사건)을 누구보다 공무원이 제대로 알고 진실을 알려야지요" 경남 거창군이 대한민국 현대사의 깊은 상처인 거창사건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5·18 기억투쟁] 번번이 실패한 진상규명…바로잡지 못한 역사 2019-05-12 08:00:17
일선 지휘관이 아니라 전씨를 비롯한 신군부 지휘부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구체적인 발포 명령 책임자나 양민학살·암매장, 당시 계엄군의 무자비한 진압행태 등 핵심 사항에 대한 진상규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남아있는 의혹은 2005년 국방부 과거사조사위원회가 공을 이어받았다. 과거사위는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 ...
"5·18북한군 제1광수? 같은 동네 살던 김군" 2019-05-10 21:53:08
몸에 남아있다"며 "다시는 정권 찬탈을 위해 양민학살을 하는 일은 없어야겠지만 그때의 대동 정신과 함성만큼은 그립기도 하다"고 말했다. 영화 김군은 사진 속 남성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듣게 된 증언과 오래된 자료를 토대로 진실을 찾아가는 다큐멘터리다. 이날 시사회에는 5·18 유공자 가족들과 5월 단체 관계자 등...
日시민도 제주 4·3 아픔에 공감…"잊지 말아야 할 역사" 2019-04-15 18:39:06
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확정한 희생자는 2017년 현재 1만4천233명이다. 하지만 이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것으로, 진상조사보고서는 당시 인명피해 규모를 2만5천∼3만명으로 추정한다. 이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임시정부 100년' 한·일 국민 역사탐방…피스&그린보트 출항 2019-04-09 09:01:00
세계유산임을 자랑할 뿐, 강제 노역 역사를 알리지 않고 있어 국제사회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도에서는 4·3사건을 되짚어 본다. 정부의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주 4·3사건은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9-04-09 08:00:12
]-지방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 FROM : 19/04/08 15:00 ======================== TO : 19/04/09 08:00 송고번호분류번호 시 간 S L U G -------------------------------------------------------------------- (지방) 190408-0704 지방-018115:01 "거창양민학살사건희생자 배상법 제정해 달라"…추모식서 성명...
대통령 사과 이끈 '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 추가 발간 검토 2019-04-03 16:31:05
있었던 주정공장 창고는 1949년 제주4·3 당시 양민을 좌익으로 몰아 감금한 수용소로 쓰였다.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는 노무현 대통령 당시인 2003년 처음으로 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를 발간·채택됐다. 위원회는 이 보고서에서 '4·3사건은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봉기로 발단이 됐고 ...
과거사 정립모델 제시했지만 갈 길 먼 제주4·3 2019-04-02 15:03:55
갈 길 먼 제주4·3 국가폭력 양민학살 공식화 및 대통령 사과, 희생자 1만4천명 인정 피해자 배.보상 특별법개정안 통과, 美책임 규명 등 추가 진상조사 필요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한국 정부 수립 전후 발생한 제주4·3은 희생자들의 피해 정도만 보더라고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참극이다. 정부의 4·3사건...
한일 공동 '제주4·3 예비검속 희생자 위령제' 열려 2019-04-02 14:35:00
등의 지시가 중앙에서 제주경찰국에 하달되면서 제주도 내 각 지역 경찰서가 예비검속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양민들이 '공산폭도', '불순분자' 등으로 몰려 집단희생된 사건이다. 1948년부터 예비검속 이전에도 주정공장 수용소에서는 광기 어린 학살이 벌어졌다. ji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제주4·3 70주년…동백꽃 물결 타고 평화·인권 메시지 만방에 2018-12-27 08:00:16
끝나지 않은 진상규명 운동 정부의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주4·3은 1947년 3·1절 기념식 발포사건 때부터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통행금지령이 해제될 때까지 7년 7개월간 군경의 진압 등 소요사태 와중에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적게는 1만4천, 많게는 3만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잠정 보고됐다. 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