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관세 타격 없어"…LS전선 미국 사업 '순항' 2025-02-07 16:01:39
미국 서부에 1000억원 규모의 해저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북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1조원을 투입해 미국 최대 규모 해저 케이블 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다. 오는 2028년 양산이 목표다. 버지니아주 공장은 200m 높이의 전력 케이블 생산 타워도 갖추게 된다. LS전선은 공장...
"대세는 피지컬 AI"…기술 상용화 나선 국내 중소기업 2025-02-06 08:50:16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마음 AI는 이 계약에 따라 긴트의 신제품 플루바SS기(speed sprayer) 양산 제품에 WoRV 자율주행 모듈을 공급한다. 2025년 상반기 내 WoRV 모듈의 납품을 완료할 예정이다. 플루바SS기는 과수원 등에서 농약을 살포하는 이동형 농기계다. 이번 자율주행 기술의 도입으로 운전자가 탑승하지...
농축우라늄 수입, 이젠 미국에서…한수원, 美 센트루스와 공급계약 2025-02-05 17:11:17
공급받는 구조다. 구체적인 계약 물량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미국산 비중이 러시아 중국 프랑스와 비슷하게 최대 30% 가량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수원에 따르면 센트루스는 미국 원자력안전위원회(NRC)로부터 차세대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의 연료로 쓰이는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
한수원, 美 센트루스와 농축우라늄 10년 공급계약 체결 2025-02-05 16:36:07
센트루스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기간은 10년이다. 이번 계약으로 한수원은 원전연료로 사용하는 농축우라늄의 공급사를 다변화해 연료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게 됐다. 센트루스는 미국 원자력안전위원회(NRC)로부터 차세대 원전과 SMR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 생산을 허가받은...
2000억 소송전…대한항공, 방사청에 404억 받아낸다 2025-02-05 16:28:02
진행 중 계약 금액이 늘어나며 지체상금 또한 2131억원으로 다시 책정됐다. 2015년 12월 대한항공은 방사청과 4000억원 규모의 사단정찰용 UAV 초도 양산사업 납품 계약을 수주했다. 사업 기간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5년으로, 총 16세트를 납품하기로 돼 있었다. 이후 설계 변경 등 이유로 납품이 지연되자 방사청은...
RF시스템즈 수주공시 - P11E 양산사업 구동기부품 공급계약 30억원 (매출액대비 9.2 %) 2025-02-05 13:50:25
- P11E 양산사업 구동기부품 공급계약 30억원 (매출액대비 9.2 %) RF시스템즈(474610)는 P11E 양산사업 구동기부품 공급계약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자율공시) 을 05일에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LIG넥스원(주)이고, 계약금액은 30억원 규모로 최근 RF시스템즈 매출액 327.9억원 대비 약 9.2 %...
한수원, 센트루스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도입선 다변화 2025-02-05 11:41:38
10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센트루스는 미국 원자력안전위원회(NRC)로부터 차세대 원전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의 연료로 사용되는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ALEU) 생산 허가를 얻은 유일한 기업이다. 2023년 11월 미국 오하이오주 파이크톤의 생산 시설에서 20kgU(킬로그램우라늄)의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
‘제2반도체’ 꿈꾼다…새로운 성장 신화 쓰는 K방산 [진격의 K방산 ①] 2025-02-05 06:04:01
시험 계약도 체결, 꿈의 무대인 미국 진출에 속도를 내고 했다. 국산 유도무기 사상 최초로 미국 국방부 해외비교성능시험(FCT)을 통과한 비궁의 미국 수출도 연내 성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비궁 수출이 성사되면 국산 완제품 유도무기 최초의 미국 진출 사례가 된다. 비궁의 발당 양산가는 4000만원으로 다른 함대함...
"노동집약 웹툰 생태계, AI 비서가 혁신할 수 있죠" 2025-02-04 18:32:09
콘텐츠공급사(CP)가 작가와 계약을 맺고 여러 명의 보조 작가를 붙여 제작하는 방식으로 변했다. 인력이 많을수록 더 좋은 품질의 작품을 더 많이 만들 수 있다는 게 일종의 공식으로 자리 잡으며 양산형 작품이 웹툰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최 대표는 “스튜디오 형태로 제작하는 게 보편화되면서 품질이 중요한 경쟁력이...
라이다 전문 에스오에스랩…"1등 자율주행 부품사 될 것" 2025-02-03 17:34:56
완전 자율주행차 양산이 본격화하면 라이다 수요가 대폭 늘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라이다 시장 규모는 2023년 19억5000만달러에서 2033년 137억4000만달러로 7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오토앤, 카네비모빌리티, 오토닉스 등이 라이다를 생산하지만 대부분 국내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