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영만 한양대 언론대학원 총동문회장 2020-08-12 17:32:40
이영만 마니아리포트 대표(사진)가 지난 11일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제8대 총동문회장에 선임됐다. 경향신문 사장을 지낸 이 회장은 앞으로 2년 동안 활동하게 된다.
[인사] 신한카드 ; 국민은행 ; 교보생명 등 2020-07-02 17:47:21
학원행정실·교육연수원 부장 이환▷관리팀장 김흥덕▷학사팀장 최성수▷기금기획부장 백영희▷사회봉사단지원부장 문택수▷시설운영팀장 신용선▷학술정보서비스부장 홍선표 ◈한양대◇서울캠퍼스▷공과대학장 겸 공학대학원장 이주▷인문과학대학장 유성호▷자연과학대학장 오차환▷경제금융대학장 이영▷간호학부장 겸...
YS 차남 김현철 "문재인당이 이기면 윤석열 잘라내고 조국 대통령 만들 것" 2020-04-15 14:27:38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가 "문재인 정권은 자기 패거리 사람들이면 범죄자들도 총선 후보로 내세운다"면서 "선거로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총선 전날인 14일 밤 페이스북을 통해 "싱가폴이나 대만, 홍콩은 초기에 중국을 차단한 덕분에 (코로나19)확진자나 사망자가 우리의...
YS차남 김현철 "文 정권 탄생 기여한 것 후회, 총선서 심판해야" 2020-04-02 09:23:25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가 "문재인 정권 탄생에 제가 기여한 것을 후회한다. 총선에서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4?15 총선 선거운동 개시일인 2일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문재인이라는 사람에게 잘못 속아 현 정권 탄생에 기여한 것을 너무나...
방통위 상임위원에 김창룡·안형환 2020-03-30 14:43:12
방통위 상임위원, 안형환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특임교수를 임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창룡 상임위원은 1957년생으로 대구 계성고와 건국대 낙농학과를 졸업했다. 영국 런던시티대에서 언론학 석사, 영국 카디프대에서 언론학 박사를 취득했다. 국민일보 기자와 AP통신 서울특파원, 인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등을...
문재인 지지했던 YS차남 김현철 "이번 총선은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의 대결" 2020-03-16 11:21:35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가 "이번 총선은 보수 대 진보라고 부르지 말라.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의 대결이라고 해야 더 정확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며 "중도가 6대 4정도로 우파에 표를 더 던지면 게임은 끝"이라며 "실제 결과도 그렇게...
딜라이브 디지털OTT방송, 인턴십 프로그램 11년 동안 460명 수료 ‘방송현장 선체험’ 2020-02-17 08:16:48
언론정보대학원 특임교수, 이소현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강사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수료식에 앞서 지난 6주간 방송현장을 체험하면서 학생들이 팀별로 틈틈이 제작한 수료영상들에 대한 품평회 시간도 가졌다. IHQ에서 근무했던 학생들이 제작한 드라마 ‘인턴은 처음이라’, 서울경기케이블TV...
한균태 경희대 총장 취임 2020-02-16 17:03:30
한균태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사진)가 지난 14일 제16대 경희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4년. 한 신임 총장은 경희대 정경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30년 넘게 재직하며, 서울부총장, 대외협력부총장, 언론정보대학원 원장 등 행정과 학술 분야에서 경험을 쌓아왔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한국언론중재위원회...
문재인 지지했던 YS차남 김현철 "당신은 어느나라 대통령인가" 2020-02-05 17:36:32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석좌교수는 "문재인, 당신은 도대체 어느나라 대통령인가요?"라며 우한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태세를 비난했다. 김 교수는 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 취임한지 1000일 되었다고 자화자찬이나 늘어놓고 계시니 꽤나 한가하신...
갈라진 광장의 '조국 전쟁'…다시 불붙은 정치 유튜브 2019-10-11 17:32:49
더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상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정치·시사 분야 유튜브가 인기를 얻는 것은 유독 한국에서 두드러진다”며 “유튜브라는 플랫폼의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신선한 콘텐츠로 무장하면서 기성 언론의 자리를 일부 대체하고 있다”고 했다. 유튜브 통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