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불붙는 우주탐사 경쟁...떼돈 버는 인도, 왜 [+why?] 2024-06-21 17:44:48
부품인 연소기와 관련해서는 아직도 과학적인 해석과 계산이 안되는 부분이 있어 ‘과학 보다는 예술의 영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기술력이 1,2등이 아니라고 해서 의미가 없거나 포기할 문제는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탐사선을 착륙시킨 건 미국도 중국도 아닌 인도였습니다....
'韓 로켓 추진 선구자' 윤영빈 교수, 한국판 NASA 이끈다 2024-04-24 18:36:57
분사 시스템, 로켓엔진 연소기 등을 연구한 로켓 분야 권위자다. 우주항공청이 재사용 발사체 개발에 나선 만큼 윤 교수의 로켓 추진 연구 경력이 인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임무본부장에 내정된 존 리 전 위원은 2021년까지 NASA 고더드우주비행센터 수석어드바이저로 근무하며 미국 우주 프로젝트 운영을...
초대 우주청장에 윤영빈 서울대 교수…"우주추진체 대표 연구자" 2024-04-24 15:50:41
분사시스템, 로켓엔진연소기 등을 40여년간 연구한 국내 최고 로켓 추진 연구 권위자로 꼽힌다. 그는 나로호와 한국형 발사체 개발뿐 아니라 달 탐사 등의 사업에도 참여한 바 있다. 액체로켓 엔진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차세대우주추진연구센터에서 센터장직도 맡고 있다. 성 실장은 윤 교수에 대해 "1996년부터 서울대...
초대 우주항공청장에 '로켓 석학' 윤영빈 서울대 교수 유력 2024-04-24 10:12:26
액체로켓 최적 분사시스템, 로켓엔진연소기 등에 관한 연구를 해온 국내 최고 로켓 추진 연구 권위자다. 윤 교수는 액체로켓 엔진 관련 주요 연구를 수행하는 차세대우주추진연구센터에서 센터장도 맡고 있다. 우주항공청이 재사용 발사체 개발을 나서기로 한 만큼 윤 교수의 로켓 추진 연구 경력이 인선에 도움을 줬을...
두산에너빌, 조선사와 협약…3D 프린팅 기술로 부품 제조 2024-02-26 17:52:32
강점이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4년 주력 사업인 발전용 가스터빈 납품 과정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도입했다. 가스터빈 성능 향상과 새 제품 개발을 위해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설계가 필요했고, 그 해답을 3D 프린팅에서 찾았다. 이후 가스터빈 연소기 노즐(관) 등 독자적인 제품을 쏟아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기후변화 대응…상생경영…맞잡은 손, 아름다운 동행 2024-02-20 16:06:43
실증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고, 한화임팩트가 연소기 개조 등 기술 개발을 맡았다. 약 1년의 기술 개발 끝에 양사는 2023년 6월 세계 최초로 중대형 가스터빈에 수소를 60%까지 섞어 연소·발전하는 기술을 구현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소혼소 기술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실제 상업운전이...
한국서부발전, 한화임팩트와 대산공장에 가스터빈 설치…세계 최초 수소혼소율 60% 실증에 성공 2024-02-20 16:05:08
테스트베드를 제공하고, 한화임팩트가 연소기 개조 등 기술 개발을 맡았다. 이듬해 서부발전은 평택발전본부에서 노후한 80메가와트(㎿)급 가스터빈을 떼어 한화임팩트 대산사업장으로 옮겼다. 그리고 이 터빈을 수소혼소가 가능한 가스터빈으로 개조했다.○중대형 가스터빈에서 실증1년여의 기술 개발 끝에 양사는 2023년...
페리지 '가성비 로켓' 내년에 우주로, "3대 기술 독자개발…증명만 남았다" 2024-02-02 18:02:46
로켓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연소기 내부에 잔여물이 적게 남아 엔진을 재사용하기에도 좋다. 반면 과염소산암모늄 등을 연소해 발사하는 고체 로켓은 엔진 내부에 탄소 찌꺼기가 달라붙어 배관이 막히는 문제 등이 발생해 재사용에 적합하지 않다. 소형 로켓은 대형 로켓과 비교했을 때 크기 대비 무게가 많이 나가 효율이...
[세법시행령] '방산 R&D'도 신성장 稅특례…반도체 전략기술에 HBM 추가 2024-01-23 15:00:03
및 연소기 기술 등이다. 자율주행 사고원인 규명 기술 등 기존 신성장·원천기술 8개의 범위는 확대한다. ◇ 반도체·디스플레이·수소 전략기술 확대 국가전략기술 범위는 확대된다. 국가전략기술은 R&D 비용에 대해 중소기업은 40∼50%, 중견·대기업은 30∼40%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반도체 분야는 HBM 등 차세대...
[CES 2024] 두산그룹, 무탄소·지속가능 에너지기술 대거 공개 2024-01-09 09:00:05
연소기를 개발 중인 회사는 2027년까지 세계 최초 400메가와트(㎿)급 초대형 수소 전소 터빈을 개발하겠다는 비전을 이날 행사에서 알렸다. 또 대형원전 사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SMR 파운드리(생산전문기업)로서 입지를 다지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두산 미국 자회사로 수소연료전지 원천기술을 보유한 하이엑시엄은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