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초소형 유전자가위' 개발…희귀 유전질환 완치길 열린다 2022-12-14 17:21:35
몸 속 세포의 DNA 형태인 이중나선 DNA를 편집할 수 없다. 오로지 단일가닥 DNA만 편집 가능했다. 따라서 이 초소형 크리스퍼 시스템을 유전자가위의 도구로 사용하려면 이중나선 DNA를 절단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야 했다. 답은 잘라야할 부위를 조준하는 ‘가이드RNA’에 있었다. 연구팀은 새 유전자가위에 맞도록...
"영국서 DNA 편집 기술로 급성 백혈병 치료…13세 소녀 호전" 2022-12-11 21:26:38
"영국서 DNA 편집 기술로 급성 백혈병 치료…13세 소녀 호전" 영국 의료진 "염기편집 T세포 투여 한달만에 호전…후속치료중"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영국 의료진이 치료가 어려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을 앓는 소녀에게 사상 처음으로 DNA 염기편집 기술을 적용, 한 달 만에 증상이 크게 호전되는 성과를...
동구바이오제약 자회사, DDS 기업 美 진에딧에 50억원 투자 2022-12-08 09:01:15
진에딧은 유전자 편집기술로 노벨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박사와 논문을 발표한 이근우, 박효민 박사가 창립한 회사란 설명이다. DDS를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다. 자체 유전자 치료제 신약도 개발 중이다. 회사는 ‘나노갤럭시’ 플랫폼을 구축해 자체 개발한 전달체들의 조직 선택성, 반복투여성, 다양한 치료물질...
12월 과기인상에 배상수 교수…"유전자가위 기술 한계 극복" 2022-11-30 12:00:04
DNA 염기 하나만 교정할 수 있는 초정밀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유전자가위는 DNA 내 특정 유전자를 정확하게 자르거나 편집하는 도구며,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는 표적 DNA의 염기를 다른 염기로 치환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는 사용이 간편하고 작동효율이 높아서...
만성피로 부르는 자가면역 간질환…"특정 유전자 변이 때문" 2022-11-16 10:35:00
62명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BC 환자에서 카스파제-10의 변이가 일반인보다 10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카스파제는 세포 사멸이나 염증, 자가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다. 종양 발생과 자가면역 질환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다만 카스파제-10의 경우 인체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거의...
멸종된 태즈메이니아 호랑이 복원 추진…"위험한 시도" 우려도 2022-08-18 15:48:27
줄기세포를 채취하고서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해 틸라신을 복원할 계획이다. 유전자 편집은 특정 위치의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고 다른 것을 붙이는 기술이다. WP는 이 기술을 통해 두나트 줄기세포를 틸라신 줄기세포로 변환하고, 다시 이를 배아로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아를 암컷 유대류종 자궁에 이식하면...
'크리스퍼 가위'의 숨겨진 위험, 유전자 편집이 암 촉발할 수도 2022-07-27 18:04:46
크리스퍼 치료법이라고 한다. 유전자 편집은 특정한 위치의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고, 불필요한 염기 조각을 제거하거나 그냥 수리하거나 원하는 조각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크리스퍼 가위의 기원은 박테리아의 면역계다.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의 크리스퍼(반복되는 특정 염기서열)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면역 항암 걸림돌 'T세포 탈진', 유전자 '차단 스위치' 찾았다 2022-06-29 18:01:40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은 채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걸 말한다. DNA 염기 중 하나인 시토신에 메틸기가 붙는 'DNA 메틸레이션', DNA가 감겨 있는 히스톤의 메틸화 변형 등이 대표적이다. 연구팀이 찾아낸 조절 인자들도 DNA 구조를 재구성해 수백 개의 유전자를 한꺼번에 켜지거나 꺼지게 했다. 연구팀은 생쥐...
하버드 의대 "지금까지 몰랐던 혈액 전구 세포 발견" 2022-06-17 17:53:32
조작했다.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에 쓰이는 '유전자 전위 효소'를 이용해 독특한 유전자 시퀀스(염기서열)를 생쥐 배아세포에 삽입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이들 배아세포에서 분화한 모든 세포의 DNA에 같은 시퀀스가 들어가, 유형별로 혈액세포의 기원이 어디인지 추적할 수 있었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연세의료원 하님정밀의료센터 심포지엄…희귀유전질환 최신 지견 발표 2022-05-18 14:49:44
별도로 자체 재원을 통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장비를 신규 도입, 전담인력 배치 등 하님정밀의료센터 발전에 노력을 기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윤동섭 연세의료원장의 개회사, 전영한 회장의 축사에 이어 하님정밀의료센터 소개와 함께 정밀의료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성과와 향후 운영 계획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