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항생제 안 듣는 슈퍼버그, 금 나노클러스터로 잡는다 2021-11-10 18:00:48
외막을 파괴해 항생제의 침투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 연구는 영국 리즈대와 중국의 선전(深천<土+川>) 남방 과기대, 상하이 푸단대 등의 과학자들이 함께 수행했다. 그 결과는 8일(현지 시각) 영국 왕립화학협회 저널 '케미컬 사이언스(Chemical Scie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현실적으로 박테리아에 항생제...
델타 변이의 막강 전염력, '막 융합' 속도에서 나온다 2021-10-27 17:12:35
접히면서 바이러스 입자의 외막이 숙주의 세포막과 융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개의 막이 융합해야 비로소 바이러스의 세포 진입 경로가 열린다. 천 박사팀은 델타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이런 막 융합에 매우 뛰어나다는 걸 확인했다. 그 덕에 델타 변이는 이전의 다른 5개 변이보다 훨씬 빠르고 효과적으로 인간...
하나의 킬러 T세포가 어떻게 암세포를 계속 죽일까 2021-10-15 17:24:15
암세포를 발견한 T세포는 외막 돌기로 암세포 표면을 탐색했다. 외부 침입자임을 알리는 신호가 확인되면 암세포와 결합한 뒤 미세소관을 통해 세포 독소 단백질을 먼저 주입했다. 암세포 표면에 구멍을 뚫고 적재된 세포 용해 단백질을 집어넣는 건 그다음에 이뤄졌다. che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인트론바이오 “GNA200, 카바페넴 내성균 치료 효과 확인” 2021-10-12 11:06:38
일반적인 항생제들은 그램음성균에 존재하는 외막(Outer membrane) 장벽을 통과하지 못해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엔도리신 계열 약물에서도 유사하다는 것이다. 인트론바이오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엔도리신 기반 ‘GN200’ 후보물질군을 개발했다. 또 CRAB균을 표적으로 하는 GNA200의 개발을 마쳤다. 현재...
피부 젊어지는 '세포 회춘' 기술…몸 속 찌꺼기 깨끗하게 치운다 2021-09-24 17:17:02
분석기법’을 써서 진세노사이드가 세포 외막의 칼슘이온 통로 단백질 ‘오라이(ORAI)1’과 직접 결합해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새로 발견했다. ‘세포 내 찌꺼기를 제거하라’는 신호등 및 촉매 역할을 진세노사이드가 한다는 뜻이다. 진세노사이드가 오라이1과 만날 때 세포 내 항산화 물질을 분비하는 단백질도...
안구에 생긴 암이 어떻게 간(肝)까지 전이할까 2021-09-16 17:13:49
= 포도막(uvea)은 안구를 형성하는 외막·중막·내막 가운데 중막에 해당하는 부드럽고 얇은 막(膜)을 말한다. 안구 혈관막이라고도 하는 포도막은 검붉은 포도 껍질과 비슷하게 보여 이런 명칭이 붙었다. 포도막에 생기는 포도막 흑색종(uveal melanoma)은 대표적인 눈 안 종양으로 50세 전후에 많이 발생하며 사망률이...
하버드대 연구진, 인슐린 세포 보호하는 '이중 피막' 기술 개발 2021-09-07 17:33:04
현상에 의존한다. 이런 경우엔 영양분이 기기의 외막에 넓게 퍼져, 얼마간의 세포만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고 인슐린도 이들 세포만 분비한다. ceMED는 피막으로 싸인 세포들로 액체가 끊임없이 흘러들어 대류 영양소(convective nutrients)가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여러 층을 이룬 세포가 잘 성장해 많이 살아남을 수...
에스티팜, 에이즈치료제 전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2021-07-23 14:22:42
보호 외막인 ‘캡시드’(Capsid) 밖으로 꺼내, 바이러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세계 최초로 에이즈를 완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임상에서 엑스선 구조 분석과 생화학 분석을 통해 인테그라제가 숙주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 ‘LEDGF·p75’와 상호작용하는 부위에...
'세포 자살' 신호는 어떻게 미토콘드리아에 전달될까 2021-07-08 17:52:32
세포예정사를 일으키는 상세한 분자 경로를 밝혀냈다. 미토콘드리아의 내·외막을 구성하는 카르디올리핀(Cardiolipin) 지질과 사이토크롬 C(cytochrome c)라는 작은 단백질의 결합 과정에서 세포예정사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흐로닝언대의 파트릭 판데르벨(Patrick van der Wel) 구조생물학 부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신종 코로나 감염 세포, T세포로 직접 제거하는 길 찾았다 2021-06-18 17:46:39
신호'를 포착한 T세포는 곧바로 감염 세포의 외막에 구멍을 뚫어 공격을 개시하며 완전히 감염 세포가 제거될 때까지 공세를 늦추지 않는다. T세포는 감염 세포를 파괴할 뿐 아니라 '위험 신호'를 보낸 바이러스성 단백질 조각을 기억하는 능력도 갖췄다. 이 면역 기억을 이용해 T세포는 나중에 같은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