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스페인 독감' 악몽 재현? 코로나19로 파킨슨병 뇌관 터지나 2022-05-20 17:35:28
산하 조직으로 '통합 파킨슨병 운동 장애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의 소장인 리처드 스메인 교수팀은 2017년 5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장기 후유증에 관한 흥미로운 논문을 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2009년 대유행을 일으킨 H1N1 형 독감 바이러스에 노출된 생쥐가 MPTP라는 미토콘드리아...
루게릭병과 전측두엽 치매, 모두 관여하는 돌연변이 발견 2022-02-24 17:59:42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뉴런 간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UNC13A의 주 기능을 고려하면, 이 단백질의 생성 정보 교란이 신경 조직의 기능을 손상해 ALS나 FTD 환자의 신경 퇴행을 유발할 거라는 추론이 가능했다. 이 발견은 몇 가지 관점에서 과학계의 해묵은 미스터리를 푸는 돌파구가 됐다. 먼저 UNC13A 유전자에...
척수 마비 치료 길 열리나? - 이스라엘서 동물 실험 성공 2022-02-09 08:43:46
배아에서 척수가 자라는 방식대로 배양, 운동 뉴런(motor neuron)이 포함된 척수 신경세포 조직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이식 후 면역 거부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척수가 손상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급성' 척수 손상 모델 생쥐(acute model)와 척수 손상이 오래된...
노년기의 규칙적인 운동, 어떻게 인지 기능 저하 막을까 2022-01-10 16:57:34
노년기의 규칙적인 운동, 어떻게 인지 기능 저하 막을까 신체 활동 활발하면 시냅스 정보교환 촉진 단백질 증가 운동으로 튼튼해진 시냅스, 알츠하이머 진행 늦추는 효과도 미국 UCSF 연구진, 저널 '알츠하이머병과 치매'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나이가 들면 독성을 띠는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바이오젠, 아이오니스서 척수성근위축증 치료 후보물질 도입 2022-01-05 08:50:58
뇌관에서 운동 뉴런이 손실되며 심각한 진행성 근육 위축이 발생한다. SMA 환자들은 운동 뉴런의 유지에 중요한 생존 운동 뉴런(SMN) 단백질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한다. BIIB115는 기능성 SMN 단백질의 생산을 증가시켜 척수성근위축증의 근본 원인을 치료하도록 설계됐다. 바이오젠은 아이오니스에 단계별기술료(마일스톤)...
하버드 의대 연구진 "탄저균 독소의 통증 차단 효과 확인" 2021-12-21 16:36:18
통증을 완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독소는 통증 지각 뉴런(신경세포)의 통증 신호를 바꿔 아예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했다. 하버드 의대 블라바트닉 연구소의 아이삭 츄(Isaac Chiu) 면역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책마을] '뇌'를 알면 백전백승 2021-12-16 17:52:44
뉴런이 있기 때문이다. 관리자의 표정이 활기차고 밝으면 직원들 표정도 대개 밝고 활기차다. 옆 동료가 신나게 일하는 모습을 봐도 마찬가지다. 저자가 뇌과학자가 아닌 만큼 전문적으로 뇌과학을 파고들진 않지만 뇌과학을 경영 일선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신선하다. 《움직임의 뇌과학》(캐럴라인 윌리엄스, 갤리온)은...
하버드 의대가 확인한 동양 침술의 신경해부학 메커니즘 2021-11-09 17:53:56
등에 분포해 부교감 신경, 감각ㆍ운동 신경 등의 역할을 한다. 부신(콩팥위샘)은 한 쌍으로 이뤄진 내분비기관이다. 피질(겉질)에선 글루코코르티코이드ㆍ염류코르티코이드ㆍ남성 호르몬 등을, 수질(속질)에선 에피네프린ㆍ노르에피네프린 등을 생성해 분비한다. 마 교수팀은 지난해 전기 침 자극이 동물 모델의 뒷다리에...
"과식은 중독"…식탐 못참는 비밀 풀렸다 2021-10-15 16:44:41
스튜버 교수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가 과식으로 인한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먼저 뇌의 다른 부분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지 안전성부터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고도비만을 막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과식으로 인한 보상 경로를 서서히 사라지게 하는...
"과식은 중독"…계속 과식하는 메커니즘의 비밀[최지원의 사이언스 톡(talk)] 2021-10-15 08:42:43
스튜버 교수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가 과식으로 인한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뇌의 다른 부분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지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과식으로 인한 보상경로를 서서히 사라지게 하는 것이라고 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