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중부발전, 중진공 등 33개 공공기관 동반성장 '최우수' 2024-04-15 18:20:01
지표에서는 납품대금 연동제 법제화 등에 따라 '공급원가 변동분 반영규정 보유 등' 지표 점수(2점 만점)가 1.46점에서 1.79점으로 상승했다. 최우수 등급을 받은 33개 기관 중 20개 기관은 지난 평가에 이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특히 4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한국중부발전은 공공기관 최초로 납품대금...
중기중앙회, 납품대금 연동제 현장안착 지원본부로 지정 2024-03-31 12:00:07
연동제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원자재 가격 정보 제공, 업종별·지역별 설명회 개최, 약정 체결 교육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납품대금 연동 약정체결과 관련한 법률 자문 및 중소기업 자사 제품의 원가 분석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원활한 연동 약정 체결을 지원한다. 중기중앙회는 위탁기업 탈법행위에 대해서는...
한전, 2분기 전기료 동결…연료비조정단가 kwh당 5원 유지 2024-03-21 13:44:09
고려해 현행 연료비 연동제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원'을 유지할 것을 지시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한전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올해 하반기 물가 상황 등을 따져 전기요금의 추가 인상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전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가격 상승기에 원가보다...
2분기 전기요금 동결…연료비조정단가 현수준 유지 2024-03-21 08:18:00
연료비 연동제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원'을 계속 적용할 것을 지시했다. 업계에서는 한전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올해 하반기 물가 상황 등을 따져 전기요금의 추가 인상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1월 인사청문회 당시 "적절한 시기가 되면 국민 부담, 환율,...
202조 부채 한전, 전기요금 동결에 '촉각' 2024-03-20 07:15:02
때 원가보다 싸게 전력을 공급해 43조원의 누적적자를 안고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는 사정을 고려해 현행 연료비 연동제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원'을 계속 적용할 것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다. 한전의 재무 위기를 해소하려면 향후 전체 전기요금을 일정 수준으로 올려 2021∼2023년 쌓은 누적적자를 줄여야 하는...
의대별 증원 배분 발표…뉴욕증시, FOMC 회의 앞두고 ↑[모닝브리핑] 2024-03-20 06:46:02
때 원가보다 싸게 전력을 공급해 43조원의 누적적자를 안고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는 사정을 고려해 현행 연료비 연동제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원'을 계속 적용할 것을 지시하고 있습니다. 한전의 재무 위기를 해소하려면 향후 전체 전기요금을 일정 수준으로 올려 2021∼2023년 쌓은 누적적자를 줄여야 합니다....
내일 2분기 전기요금 발표…동결 유력 2024-03-20 06:01:01
원가보다 싸게 전력을 공급해 43조원의 누적적자를 안고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는 사정을 고려해 현행 연료비 연동제가 허용하는 최대치인 '+5원'을 계속 적용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한전의 재무 위기를 해소하려면 향후 전체 전기요금을 일정 수준으로 올려 2021∼2023년 쌓은 누적적자를 줄여야 한다. 실제로...
"중대재해법 유예 무산…벼랑끝 선 中企 떠미는 격" 2024-02-28 18:46:21
상황이다. 지난해 10월 시행된 납품대금연동제에 전기료는 연동 대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전기요금 인상분을 원가에 반영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적정 납품단가 확보가 어렵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중소기업계는 “뿌리기업 전용 요금제 도입 등 전향적인 검토를 해달라”고 꾸준히 당국에 건의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시론] 첨단산업 육성, 전력시스템 투자가 우선 2024-02-04 17:56:45
산업통상자원부 단독으로 모든 전력 인프라 투자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주민 수용성도 결국 보상 재원이 문제다. 그런 상황에서 전기요금 인상은 항상 물가안정에 밀리고 정치적 판단에 좌우된다. 전기요금의 원료비 연동제를 충실히 이행하고 요금을 현실화해 전력기간망 구축을 국가의 최고 정책 목표로 삼고 이를...
유명무실한 하도급대금 조정 제도…수급업자 활용률 8% 그쳐 2024-01-07 12:00:05
요청을 하지 않은 이유로는 '공급원가 상승 폭이 크지 않아서'(17.0%), '다음 계약에 반영하기로 합의해서'(9.9%), '원사업자가 수용할 것 같지 않아서'(8.4%) 등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수급 사업자 중 5.3%는 납품 대금 인상을 요청이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요청했던 가격의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