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노벨상 제조기 빌려쓰자"…전세계 과학자 7만명, 포항 찾았다 2023-12-01 17:59:47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방사광가속기는 ‘초고성능 현미경 겸 사진기’다. 방사광이 방출되는 세기와 파장을 변형해 매우 작은 시간과 공간 단위로 물질과 현상을 볼 수 있다. PAL의 가속기 시설은 현재 1나노미터(㎚·1㎚=10억분의 1m) 크기 입자가 펨토초 단위로 변화하는 순간을 포착할 수 있다. PAL은 초대형 과학...
첨단 현미경 필수 표준물질 국산화 비결은 '산·학·연 공조' 2023-11-03 17:56:33
못 그리는 3차원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 원자힘현미경(AFM)은 탐침(프로브)을 이용해 물질을 원자 단위에서 들여다본다. 시료에 탐침을 접근시킬 때 나타나는 미세한 힘(반데르발스 힘 등)을 측정해 나노미터(㎚) 단위에서 3차원 형상을 보여준다. 이들 현미경엔 ‘표준물질’이 필요하다. ㎚ 스케일을 측정할 수 있는...
윤지원 SDT 대표 "원자 수준으로 데이터 수집…양자기술 국내 원톱" [긱스] 2023-11-01 18:13:31
X선, 현미경, 보안 카메라 등과 연동한 정밀 계측 장비도 제작하고 있다. 국내 양자컴퓨팅 관련 국책 연구기관, 대학 연구소와 협력해 양자 분야 실험 연구에 필요한 양자암호 통신장비, 양자 컴퓨팅 클라우드 등도 납품한다. 고객사가 SDT를 찾는 건 여러 이유에서다. 윤 대표는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심화로 노동 인구...
개교 2년 만에…미래에너지 연구 선도하는 한국에너지공과대 2023-10-30 16:00:19
있다. 세계 최고 성능의 초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을 국내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 장비는 30~300㎸의 가속 전압을 30분 이내로 변경하거나 안정화할 수 있어 시료의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 최신형 이중 구면 수차 보정기를 탑재해 원자 단위 소재의 이미지 확보도 가능하다. 켄텍은 이뿐 아니라 X선 회절분석기,...
양자 기술 스타트업 SDT, 기술특례 상장 준비 2023-10-24 10:50:28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레이저, X선, 현미경, 보안 카메라 등과 연동한 복합 계측으로 분자 또는 원자 단위 데이터까지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응용장비 개발은 물론 국내 양자컴퓨팅 관련 국책연구기관, 대학 연구소와 파트너십을 통해 양자분야 실험 연구에 기반이 되는 양자암호통신장비, 양자컴퓨팅클라우드 등에 ...
SDT, NH투자증권과 IPO 주관사 계약…"양자기술 1호 상장 추진" 2023-10-24 09:50:09
현미경, 보안 카메라 등과 연동한 복합 계측으로 분자 또는 원자 단위 데이터까지 정밀하게 수집할 수 있는 응용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SDT는 현재 국내 양자 컴퓨팅 관련 국책연구기관, 대학 연구소와의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양자분야 실험 연구에 기반이 되는 양자암호통신장비, 양자컴퓨팅클라우드 등에 대한 제품...
[사이테크+] "달에서 가져온 결정 분석해보니…달 나이 최소 44억6천만년" 2023-10-24 06:00:01
빔 현미경을 사용해 달 샘플 조각을 연필깎이로 깎은 연필심처럼 날카롭게 연마한 다음 끝부분에 자외선(UV) 레이저를 쏴 원자들을 증발시켰다. 이어 증발한 원자들을 질량분석기로 분석해 구성 원자들을 파악, 지르콘 결정 내부 원자 중 얼마나 많은 원자가 방사성 붕괴를 겪었는지 조사했다. 원자들은 핵 내부의 양성자와...
'한양백남상' 박상일·신수정·하상훈 수상 2023-10-17 18:35:37
최초로 원자현미경을 발명했다. 1997년 파크시스템스를 창업하고 차세대 원자현미경 개발을 이어가 2022년에는 세계 원자현미경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신 명예교수는 대한민국의 1세대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다. 26세의 나이로 서울대 기악과 최연소 교수가 됐고, 경원대 교수·학장, 서울대 음악대학 최초 여성 학장...
한국 주도 국제연구팀, 새로운 양자컴퓨터 만들 길 열었다 2023-10-09 15:58:17
앞서 자체 개발한 전자스핀공명(ESR) 주사터널현미경(STM) 장비를 써서 단일 원자의 스핀을 제어해 큐비트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 탐침(probe)과 상호작용하는 원자가 아닌, 멀리 떨어진 원자의 스핀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도 제안했다. 이번엔 그간 쌓은 원격제어 노하우를 큐비트에 적용했다. 연구진이 제시한...
한국 개발 세계 최소 큐비트, 신개념 양자컴퓨터 길 열었다 2023-10-06 03:00:00
위 원자를 조작하고 특성을 관측하는 연구 장비인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에 스핀 방향을 제어하는 전자스핀공명(ESR) 기술을 적용한 장비로 단일 원자의 전자스핀을 제어해 큐비트로 활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스핀은 원자핵 또는 전자의 자전으로 인한 각운동량 단위로 자기적 성질에 영향을 주며, 정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