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은주의 시선] 최초의 신문 한성순보가 갖는 의미 2017-10-26 07:31:01
신문 발간 준비에 착수한 박영효는 실무 작업을 유길준에게 맡겼다. 그러나 4월 10일 박영효가 갑자기 경기도 광주 유수로 좌천돼 한성부판윤 자리에서 물러나자 유길준도 손을 뗐고, 이렇게 되자 신문 발간 업무는 통리아문으로 이관됐다. 4개월 후인 8월 17일 통리아문의 한 부서였던 동문학(同文學)의 부속기구로 박문...
[천자 칼럼] 첫 미국 국비유학생 2017-08-29 18:39:09
이후로는 국비장학생보다 개별 유학생이 많아졌다.신라의 도당(渡唐) 유학부터 따지면 1400년에 이르는 국비유학의 역사이지만 미국행은 채 140년이 안 된다. 그나마 제2, 제3의 유길준이 신학문을 배우고 자유와 실용의 가치를 키운 덕분에 국가발전을 앞당길 수 있었다. 오늘은 정부수립 후 첫 미국 국비유학생들이 떠난...
대학교수들, 안철수 대통령후보 지지 선언 "도덕·능력·창의 구비된 후보" 2017-04-25 17:50:18
양우창 교수, 양재철 교수, 엄수원 교수, 오문갑 교수, 유길준 교수, 유병로 교수, 유상일 교수, 윤석경 교수, 이강현 교수, 이경은 교수, 이규선 교수, 이기웅 교수, 이덕규 교수, 이병룡 교수, 이병호 교수, 이복희 교수, 이삼용 교수, 이성배 교수, 이연우 교수, 이연우 교수, 이영우 교수, 이은경 교수, 이응권 교수,...
[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최종본 비교(종합) 2017-01-31 17:42:38
국민의견 반영│ │단발을 둘러싼 유길준과 최 │을미사변 현장에 대한 영국 총│※(高)역사돋보기│ │익현의 설전 │영사의 보고 │(읽기자료)를 단 │ │유길준은 단발에 반대하는 │“일본군의 엄호 속에 건청궁 │발령에서 을미사 │ │최익현을 옥에 가두고 그를 │의 앞뒷문으로 침입한 사복 차│변 관련 자료로...
[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최종본 비교 2017-01-31 11:00:04
│ │단발을 둘러싼 유길준과 최익현의 설전│을미사변 현장에 대한 영국 총영사의 │ │유길준은 단발에 반대하는 최익현을 옥│보고│ │에 가두고 그를 설득하기 위한 편지를 │“일본군의 엄호 속에 건청궁의 앞뒷문│ │보냈다. …(하략)… │으로 침입한 사복 차림의 일본인들을 │ ││한 무리의 군인 및 일본군...
2000회 맞은 동원그룹 목요세미나 2016-06-09 17:51:02
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유길준이 서유견문(1888년)에서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 대양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지난 100여년간 별로 달라진 게 없다”며 “세계화 시대에 한국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륙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바다를 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철 동원그룹...
[한국사 공부] 일제에 외교권을 빼앗기다 2015-11-13 16:59:43
해였고, 유길준이 한반도 영세 중립화론을 제안한 해이기도 합니다. 중립화론을 선택해 한반도를 열강의 침략 대상이 아닌 정치적 중립 지대이자 완충지대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도 아니라면 점진적 방식으로라도 부국강병과 주권을 지킬 만반의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지요. 1897년에 가서야 고종...
[이슈N] 우편에서 시작한 韓통신‥`ICT 올림픽` 개최 2014-04-22 17:26:21
12명의 신사유람단 일행은 이상재, 유길준 등과 같이 약 3개월 동안 일본 조야를 둘러보고 돌아옵니다. 홍영식은 새로운 여러 가지 문물 가운데 특히 우편제도에 깊은 감명을 받고, 우편이야말로 우리나라 개화에 가장 시급한 제도라는 것을 깨닫았고, 나중에 초대 인천우체국장(당시는 우정분국장)을 지낸 월남 이상재도...
[천자칼럼] 미국 유학생 2013-11-12 21:51:17
논설위원 ohchoon@hankyung.com 국비 유학생 유길준이 미국 덤머 아카데미에 입학한 건 1884년이었지만 미국 유학이 본격화된 것은 그로부터 25년 뒤인 3·1운동 이후였다. 조선총독부가 유학생 규제를 폐지한 뒤에야 공식적으로 유학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미국 유학은 지역의 큰 경사였다. 유학 떠나는 인물들을 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