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국세라믹기술원, 공동연구 통해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2021-12-07 16:33:27
하이퍼볼릭 메타물질은 굴절율이나 유전율과 같은 광학적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물질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광학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개발된 소재는 한 방향으로 쌓이는 기존 메타물질과 달리 표면이 벗겨진 질화보론(BN)과 흑연층이 스스로 교차되어 쌓이는 구조로 설계했다. 세라믹 소결(고온 고압)...
[2021 대한민국 임팩테크 대상] 삼성전자 차세대 D램 'DDR5 512GB' 2021-04-20 15:52:32
누설이 발생한다. 삼성전자는 유전율 상수가 높은 고유전율 물질을 공정 과정에 도입해 이를 최소화했다. 이 덕분에 DDR5 메모리 모듈은 기존 제품 대비 전력 소모가 약 13% 적다. 데이터센터와 같이 전력 효율이 중요한 곳에 최적이라는 설명이다. 8단 실리콘 관통 전극 기술(TSV)은 세계 최초 512GB 용량 구현을 가능하게...
시노펙스, 5G 통신용 고주파 PTFE 케이블 개발 2021-04-07 15:40:07
저유전율 소재인 PTFE가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TFE는 내화학성, 내열성, 저유전율 등 소재 특성으로 첨단 반도체용 필터, 연료전지 분리막, 5G 통신케이블, 자동차용 5G안테나, 의료 장비, 반도체 장비 등 첨단산업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 미국의 고어사가 글로벌 PTFE 시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었다....
작지만 강한 전기차 배터리…'질소' 기반 반도체로 만든다 2020-10-09 17:10:37
30% 이상 낮은 유전율을 갖는 ‘비정질 질화붕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4차원(4D) 가속 빔 설비를 이용해 질화붕소의 유전율이 낮은 이유는 ‘원자 배열의 불규칙성’ 때문이라는 점도 새로 밝혀냈다. 삼성전자종합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IBS), 영국 케임브리지대·스페인 카탈루냐...
[사이테크 플러스] 흡수특성 높여 전자파 차폐성능 극대화한 나노소재 개발 2020-07-24 03:00:00
유효 유전율(effective permittivity)과 유효 투자율(effective permeability)이 크게 변해 아주 얇은 두께로도 매우 높은 전자파 흡수 특성을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구종민 박사는 "이 연구에서 전자파 흡수 특성을 극대화해 기존 맥신 소재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Ti₃CN 맥신 나노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
한국 연구진 일냈다…더 작고 빠른 반도체 핵심 신소재 발견 2020-06-25 10:13:48
공정에 사용되는 절연체인 '다공성 유기규산염'(p-SiCOH. 유전율 2.5)보다 훨씬 낮은 '비정질 질화붕소(a-BN : amorphous boron nitride) 소재'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질화붕소는 그동안 널리 연구돼온 소재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가진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며...
반도체 초격차 전략 비밀병기?…소형화 한계 극복할 신소재 개발 2020-06-25 00:00:00
한계 극복할 신소재 개발 UNIST 신현석 교수팀, 초저유전율 절연체 '비정질 질화붕소' 개발 "반도체 내부 전기 간섭 최소화 가능…집적도·성능 향상 기대"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를 더 작게 만드는 데 걸림돌이 되는 절연체의 전기적 간섭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日기업 독점 5G안테나용 필름 대체기술 개발…LG전자와 테스트" 2019-10-02 06:01:01
있다. 김경도 진영글로벌 대표는 "PCT는 기존 LCP 소재 대비 유전율이 낮고, 수분 흡수성도 낮아 일본 LCP 필름을 대체할 수 있다"며 "급격히 커지는 5G 시장에서 안테나 소재를 국산화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진영글로벌은 2005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업체로 2017년부터 LCP를 대신할 자동차용 PCT 케이블 개발...
KAIST서 손가락 터치 민감하게 반응하는 센서 개발 2018-09-19 11:26:33
집중했다. 압력에 따른 유전율 변화를 극대화할 금속 나노 입자 포함 나노 복합 절연층과 더불어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나노 그레이팅 구조를 구현해 고 민감도 투명 유연 포스터치 센서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감지 전극을 감지 층 동일 평면(기계적 중립면)에 배치해서 극단적으로 굽혀도 성능 변화 없이 동작하는 것을...
[뉴 프런티어] '투명 망토' 만드는 메타물질 융합 핵심기술 개발 2017-03-01 15:46:26
인위적 가공을 통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과 투자율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홍익대 메타물질전자소자연구센터(센터장 이정해·사진)는 메타물질 융합 핵심 요소기술 개발을 통해 명실상부한 정보통신 및 재료연구 융합 연구센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센터는 기존 전자기 소자에 메타 신소재를 적용한다면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