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구미대 13년간 평균 취업률 80.4%, 전국 1위 2024-01-18 09:07:18
취업률 1위의 기록이다. 즉 졸업생 10명 중 8명 이상이 꾸준히 취업에 성공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취업 만족도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인 1년간 유지취업률에서도 구미대는 84.2%를 기록해 졸업생 1천명 이상 기준 전국 전문대(기능대 제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국 평균은 75.8%이다. 구미대가 전국 최상위의 취업률과...
인하대 취업률 전국 4위 1위는? 2024-01-17 10:31:42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인하대생의 대기업 취업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취업자 비율은 33.9%로 서울권 대학 평균보다 11.4%p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학 졸업자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도 취업한 직장에서 계속 근무하고 있는지 조사하는 지표인 유지취업률 부문에서도 인하대는 88.3%로 성균관대(90.6%),...
명문대생도 못 비껴간 中 역대급 취업난…"20%만 실제 취업" 2024-01-11 12:37:14
안팎을 유지했다.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자 해외 유학 대신 중국 내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명문대들의 사정도 비슷했다. 중국 최고 명문대인 칭화대의 작년 졸업생 중 15.2%인 491명만 취업이나 창업 등을 통해 일자리를 찾았고, 80.8%는 진학이나 해외 유학을 선택했다. 저장대는...
[한경에세이] 나이 들어도 가치를 유지하는 길 2024-01-03 18:13:34
노인의 취업률(34.95%)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5%)의 두 배가 넘는다. 세계 1위다. 이는 노인들의 일할 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은퇴 후 값싼 노동력 이용 확대 측면에서는 씁쓸하기도 하다. 나이가 들면서 설 자리가 줄어드는 까닭은 가치를 창출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치가 덜하다’는...
"문과의 몰락"…자사고 3학년 70%, 이과 선택 2024-01-01 08:50:06
소득이 좋고 취업률이 높다고 평가받는 의대와 약대, 공대 등에 진학하기 위해 이과로 상위권 학생들이 몰려 '문과의 몰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31일 종로학원이 서울지역 자립형사립고(자사고) 가운데 학급편성 현황을 공개한 16개 학교의 현황을 분석했더니 166학급 가운데 68.1%에 해당하는 113학급이 이과로...
'문송합니다…자사고 3학년 70%, 이과 택했다 2024-01-01 06:22:26
미래 소득과 취업률 등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인식 때문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2022학년도부터 수능 수학영역이 '공통+선택과목' 체제로 바뀌고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가 고착한 것도 수험생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당신의 정년 선택지는 무엇입니까 [전민정의 출근 중] 2023-11-25 08:00:00
결과, 2005년 60~64세 취업률은 52%에서 지난해 73%까지 올라섰습니다. '일률적' 정년연장이 아닌 단계적 정년 연장을 통해 기업의 부담을 줄여 고용주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낸 거죠. 일본 현지에서 만난 슈쿠리 아키히로 일본 후생노동성 고령자고용대책과장은 "고령자 고용확보조치를 기업에게 과도하게 부담...
저출산에 벚꽃 피는 順으로…2040년 지방대 60%가 소멸 2023-10-17 18:26:09
47만 명이 그대로 유지되면 2040년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대의 상황이 심각했다. 연구팀은 경복궁을 기준으로 전국 모든 대학 주소지와 위도·경도를 반영한 거리를 산출해 거리에 따른 2023학년도 대학 신입생 경쟁률, 신입생 충원율, 졸업자 취업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방대 활성화 위해 특성화·구조조정·책무강화 대책 필요" 2023-10-17 11:00:01
보고서는 2022년 출생아 수 25만명, 대학 입학정원 47만명이 유지될 경우 2040년 초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벚꽃 피는 순서대로 소멸할 수 있다'는 '벚꽃엔딩' 대학 속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 정보공시를 활용해 서울에서 전국 대학의 주소와 위도,...
갈 곳 없는 특성화고생…36%가 첫 직장 1년 내 퇴직 2023-10-13 18:19:02
등을 제외한 순취업률은 2017년 52.4%에서 2021년 29.2%로 크게 떨어졌다. 취업한 뒤 회사에 계속 다니는지를 알 수 있는 유지취업률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정부가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20년에는 취업자(2만717명) 중 6개월 후에도 취업이 유지된 학생은 1만5871명을 기록했다. 전체의 76.6%였다. 12개월 후 유지취업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