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문화 2019-02-26 15:00:04
190226-0268 문화-001009:49 유한계급과 과시적 소비로 자본주의 분석·비판 190226-0271 문화-001109:49 자우림 김윤아, 서대문형무소서 노래…"무명독립가 위로" 190226-0313 문화-001210:07 '고려청자 시원' 천년전 항아리, 국보 승격된다(종합) 190226-0318 문화-001310:08 [만화신간] 동자승의 하루·콩고양이...
유한계급과 과시적 소비로 자본주의 분석·비판 2019-02-26 09:49:16
마르크스 등 많은 학자의 성과를 연구해 '유한계급론' 등 자신만의 독특한 학문적 업적을 이뤄내며 시대상을 꿰뚫어 본다. 물건의 값이 비싼 이유는 뭘까? 물론 품질이 좋아서일 것 같다. 그렇다면 꼭 그럴까? 비싼 제품일수록 물건의 질이 더 좋기 때문에 잘 팔리느냐는 얘기다. 베블런은 기존 경제학자들의 이...
[오디오래빗] 200만원 아이폰 잘 팔리는 이유 '베블런':) 미니 경제용어 2018-11-13 10:50:19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나온 말인데 …민성: 보고 읽는 것 엄청 티 난다.민이: 아직 시작도 안 했거든? 그럼 쉽게 설명할게! 비쌀수록 더 잘 팔린다는 말 들어본 적 있지? 가격이 올라도 과시하고 허영심을 채우려고 비싼 물건을 소비한다고 꼬집은 내용이야....
[주목! 이 책] 고전 결박을 풀다 2 2017-11-16 19:08:47
유한계급론》 《대승기신론소》 등 다양한 분야의 고전에 담긴 메시지를 간결한 줄거리나 핵심 내용 요약과 적절한 이미지를 통해 쉽고 명쾌하게 풀어냈다. 이 중 10편은 ‘고전 5미닛’이란 5분짜리 동영상을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qr코드를 실었다.(모네상스, 362쪽, 1만7800원)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클릭! 사.이.다] '먹여주고, 들어주고, 씻어주는 김 여사' 2017-07-22 10:00:05
유한 계급론'(1899)에서 "상류계급은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가격과 관계없이 소비를 행한다"는 이른바 '베블렌 효과'를 설파했습니다. 수요와 가격은 반비례한다는 고전경제학 이론과는 배치되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괴짜 이론' 취급을 받았으나, 오늘날 '명품족'의 등장이라든가,...
[정규재 칼럼] 노동할 권리는 청구권 아닌 자유권이다 2017-03-27 17:32:10
유한계급이요, 호통을 듣는 자는 농민이거나 머슴이다. 이런 계급 제도에서는 노동이 천시될 수밖에 없다.루터가 놀고먹는 수도원을 먼저 공격한 것도 이 때문이다. 노동에는 귀천이 없고, 신의 소명이며, 신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라는 루터의 주장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근대화의 언어였다. ‘끊임없는 노동’을...
[이슈+] 명품이 뭐길래… 2016-03-24 16:32:42
유한계급론'에서 사치품의 수요 현상을 '과시 소비'로 정의했다. 고가 물건의 과시적 소비를 통해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확인시키려는 심리 때문에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통상적인 경제학에서는 상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에 반비례하기 마련이나 베블런 효과가 나타나는 상품은 반대로...
[역사 속 숨은 경제이야기] 조선의 왕들이 가체(가발)를 법으로 금지한 까닭은? 2016-03-21 07:00:15
《유한계급론》에서 “고가 물건을 과시적으로 소비하는 것은 소비자 자신의 부와 능력을 자랑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은 과시적 소비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확인시키고 드높이고자 노력한다”고 했다. 대부호, 귀족 등 상류계급은 비록 비합리적이라도 그것이 자신의 신분을 뽐낼 수 있는 것이라면...
영업시간·점포간 거리 제한 등 경쟁 차단하는 규제정책…사농공상(士農工商) 앞세운 조선시대 '시장 적대적 DNA' 흔적 2015-11-27 19:53:04
또 유한책임 원리에 기초한 주식회사를 고안해 고도의 위험이 수반되는 해양무역에도 적극 나섰다. 1653년, 하멜 일행을 태우고 제주도에 표류했던 선박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무역선이었다. 하멜은 배를 타고 일본 나가사키로 출장 가던 중 표류했던 것이다.조선으로서는 하멜의 표류 사건을 서구의 새로운 경제조직과...
베블렌효과가 뭐길래…불황에도 허영심에 휩싸인 사람들 2015-11-09 10:33:09
저서《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한 데서 유래했다. 베블렌은 이 책에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상류층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치를 일삼는다고 꼬집었다.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제품, 고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