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휘어지는 전자소자 박막 대면적으로 합성한다 2017-10-16 12:00:03
연구팀은 금 박막을 입힌 기판 위에 이황화몰리브덴과 이황화텅스텐으로 된 TMDC 박막을 합성한 뒤 용매를 이용해 금 박막을 떼어냈다. 분리된 TMDC 박막은 플라스틱과 금속 기판 위에서 반도체 소자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초지원연 정희석 박사팀은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TMDC...
인간의 뇌 따라잡는 반도체, 20~25년 뒤면 나온다 2017-09-05 19:04:00
사람 뇌와 공통점이 많은 ‘스마트 반도체’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스마트 반도체 기술은 최근 많은 분야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다. 원천기술인 cmos 트랜지스터는 현재 3~5나노미터(1억분의 1m) 크기에서 1.5㎚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황화몰리브덴을 쓰면 1나노공정까지 내려갈 수...
영남대 대학원생 OLED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 2017-09-04 10:49:40
이 광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반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OLED 소자를 구성하는 박막 중 하나인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으로 쓰던 유기물 대신 무기물질 '이황화몰리브덴 나노시트'를 사용해 소자 수명을 향상했다. 또 정공수송층을 이온빔(Ion Beam)과 러빙(Rubbing) 방법으로 표면처리를...
[이달의 산업기술상]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차세대 센서 핵심소재 상용화 기술 선보여 2017-08-17 18:37:39
1㎚(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층으로 존재하는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은 뛰어난 물리화학적 신축성 등을 지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차세대 센서나 유연소자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장(책임연구원·사진)은 이황화몰리브덴을 유연기판 소재인 플라스틱 위에 직접 합...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7-19 08:00:09
버젓이 유럽여행 170718-0853 지방-0219 15:44 수도권매립지 반입수수료 가산금 인천 서구 전입 촉구 170718-0858 지방-0220 15:49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공연서 전통춤 선보인다 170718-0861 지방-0221 15:50 제주 남부·추자도 호우특보 해제…남원 160㎜ 내려 170718-0864 지방-0222 15:52 대구공항 통합이전 시민여론...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7-19 08:00:08
버젓이 유럽여행 170718-0819 지방-0219 15:44 수도권매립지 반입수수료 가산금 인천 서구 전입 촉구 170718-0824 지방-0220 15:49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공연서 전통춤 선보인다 170718-0827 지방-0221 15:50 제주 남부·추자도 호우특보 해제…남원 160㎜ 내려 170718-0830 지방-0222 15:52 대구공항 통합이전 시민여론...
이황화몰리브덴 반도체 제어법 개발…"새 저장장치 가능성" 2017-07-18 15:53:00
Shan) 교수팀이 '단일층 이황화 몰리브덴의 밸리 자기전기'라는 제목의 논문을 재료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네이처 메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작은 원자가 세 겹으로 배열된 이황화몰리브덴은 2차원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얇은 반도체 소재다. 자연 상태의 이황화몰리브덴은...
'꿈의 소재' 그래핀, 정전기로 제어한다 2017-07-02 12:00:24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류를 조절하는 게이트를 만들기 위한 공정이 따로 필요 없기 때문에 초고밀도 집적화가 가능하며, 제조 단가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앞으로 그래핀뿐 아니라 이황화몰리브덴 등 다른 2차원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우 교수는 "그래핀을...
한미 연구진 '나노 꽃' 활용 기능성 방수 소재 개발 2017-06-08 12:00:21
교수팀이 '2차원 이황화 몰리브덴 나노 꽃'을 합성해 방수 기능성 재료를 만들었다고 8일 밝혔다. 두께가 원자 한 층 수준으로 얇은 이황화 몰리브덴은 물리 화학적 특성과 신축성으로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자연에서는 3차원으로 존재하는데, 최근 그 형태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과...
실제 동작하는 '원자 두께' 마이크로프로세서 첫 실현 2017-04-12 00:00:00
이황화몰리브덴(MoS₂)으로 만들어진 트랜지스터 115개를 포함하는 집적회로(IC)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을 만들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집적회로는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를 한데 묶은 반도체 칩이다. 이 칩은 1비트 논리연산을 할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쓰인 방법을 사용하면 멀티비트 연산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