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덕수궁, 선왕의 덕과 장수를 기린 곳… 가을 산책'추천' 2018-09-20 16:41:18
인조반정을 겪으면서 규모가 축소됐다. 인조가 즉위한 이후엔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더 이상 왕이 공식적으로 머물면서 국정업무를 보던 궁궐의 기능을 못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면서 덕수궁은 다시 역사의 현장에 등장한다.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가...
파주 장릉, 17세기 석물문양 보여주는 모란·연꽃무늬 병풍석 2018-09-20 16:37:22
있다. 이는 17세기 석물문양의 특징을 보여주는 예다.인조는 1623년 반정으로 왕위에 올라 반금친명(反金親明) 정책을 추진하고 국방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정묘호란(1627년)과 병자호란(1636년) 등 두 차례의 전쟁으로 삼전도(현재 서울 송파구 삼전동)에서 청나라에 항복하는 등 굴곡 많은 삶을 살았다.파주 장릉 안에 ...
[연합이매진] '역사의 섬' 강화 교동도 2018-09-08 08:01:01
한양을 방어하는 군사적 중요성이 커졌다. 인조 7년(1629년)에는 한성 방어를 위해 남양(현재 경기도 화성) 화량진에 있던 경기수영을 교동도로 옮기면서 교동도호부로 승격됐다. 이때 쌓은 교동읍성(시도기념물 제23호)은 둘레 870m에 동·남·북에 세 개의 성문을 만들었다. 그러나 동문과 북문은 언제 없어졌는지조차...
[인터뷰] 이시아 “첫사랑 이미지 칭찬 감사해, 평생 듣고 싶은 수식어” 2018-08-06 10:56:00
5인조로 재편을 하게 됐고 멤버로 합류해보지 않겠냐는 제안이 와서 활동을 하게 됐다. 일본에선 1년 반정도 활동을 했었다. 그런데 걸그룹 생활이 정말 쉽지가 않다. 힐을 신고 춤을 추니까 체력이 많이 떨어지더라. 다른 멤버들은 모두 어렸고, 내가 나이가 제일 많았다. 그리고 아이돌은 귀엽고 상큼해야 하지 않은가....
[율곡로 칼럼] 1637년 스무 살 새댁, 갈 곳 없었다 2018-07-26 09:00:05
심양 쪽을 바라보며 울고 또 울었다. 당시 임금인 인조와 신료인 집권층도 수난을 당하기는 했다.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가 삼전도(현 서울시 송파구 삼전동)로 나와 청나라 태종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했다.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의식이다. 인조의 이마에서 피가 흘렀고, 신료들은 울었다...
[쉿! 우리동네] `임씨가 만든 으뜸가는 맛' 임절미에서 유래한 인절미 2018-06-23 11:00:02
'인조반정'이다. 김류와 이귀 등 반정을 이끈 신하들은 요직을 차지하게 됐다. 무신 이괄(1587∼1624)도 인조반정 때 광해군 실각 과정에 참여했으나, 논공행상 과정에서 생각보다 낮은 등급을 받고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돼 관서(關西) 지방으로 파견됐다. 암투에서 밀린 것으로 여긴 이괄은 이듬해인 1624년...
[쉿! 우리동네] 광해 숨 거둔 날 유배지 제주선 가뭄에도 비오더라 2018-05-26 11:00:02
살해한 '폐모살제'를 명분으로 1624년 인조반정을 일으킨다. 폐모살제는 광해의 배다른 동생인 영창대군을 살해하고 그 어머니 인목대비를 유폐한 것을 의미한다. 인조반정으로 집권에 성공한 서인 세력은 광해에 대해 패륜을 저지른 이로 묘사하고 매관매직 등의 실정을 부각했다. 광해를 다룬 영화 '광해, ...
[책마을] 백성 버리고 떠난 선조… '작전상 후퇴'였다 2018-05-10 17:25:19
죽기 살기로 싸워야 한다는 것.그런 점에서 인조는 상대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했다고 저자는 규정한다. 조선과 명나라가 일본과 두 차례 전쟁을 치르는 사이, 북방의 여진은 세력을 키웠다. 14년간의 전쟁을 통해 여진족을 통일한 누르하치는 후금(청)을 세우고 황제를 칭했다. 명과 후금의 싸움이 격해지면서 조선은 양쪽...
한양도성 금단의 영역, 25년간 어떻게 개방됐을까 2018-05-06 06:40:01
공개됐다. 자하문(紫霞門)으로도 불리는 창의문은 1623년 인조반정 때 반정 세력이 도성으로 들어간 통로였다. 인왕산과 창의문 개방 이후 북악산 개방까지는 10여 년이 더 걸렸다. 노무현 정부는 북악산 삼청 터널 기슭에 있는 북문인 숙정문 관람을 2005년 9월 허용했고, 2007년 4월 5일에는 한양도성 북악산 구간 4.3㎞...
조선 시대 선비 일기에 기록한 지진…"빈번하고 10∼3월 집중" 2017-12-13 15:29:04
사헌부 지평 등을 지냈고 인조반정 이후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인 안동 예안현 오천에 은거하며 살았다. 1612년 4월 9일에 발생한 지진은 조성당 김택룡이 쓴 조성당일기에 좀 더 구체적으로 나온다. 조성당일기에는 '미시(未時)에 지진이 일어났다. 지붕 기와가 모두 흔들렸다'고 설명했다. 당시 지진 규모가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