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수사 사건은 느는데… 경찰청 수사지원 사업 예산은 줄어 2024-09-05 13:32:06
올해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 설립과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및 국제공조 등 사업 등에 쓰였다. 현장에서 불만 높은 형사기동대와 여성청소년 범죄수사 사업 예산도 같이 줄었다. 해당 예산은 올해 241억원에서 내년도 196억원으로 줄었다.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경찰에 접수되는 사건 수는 매년...
"이 주식 곧 뜬다"…'스팸 3000만건' 허위호재 뿌린 리딩방 일당 2024-08-23 10:02:06
리딩방 일당이 재판에 넘겨졌다. 23일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제1부(부장검사 김수홍)는 자본시장법 위반(사기적 부정거래),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혐의를 받는 리딩방 업체 직원 박모 씨(30)를 전날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공범인 정모 씨(31)도 불구속기소됐다. 박 씨 등은 코스닥 상장사 A사의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20...
휴대전화 사기 개통·부당계약 주의보…"전년보다 31% 급증" 2024-08-14 09:45:08
경찰서에 신고하고 도용 신고 접수가 가능한 통신사 지점에도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또 스미싱 문자 사기 예방을 위해서는 출처가 의심스러운 인터넷주소와 앱은 클릭하지 말고, 피해 발생 시 즉시 경찰에 신고 후 '본인계좌 일괄지급정지'를 신청하라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분쟁 당사자인 통신사 등 사업자들에...
전세사기·보이스피싱 최대 '무기징역' 엄벌 2024-08-13 17:37:01
기망행위를 저지른 경우’는 일반 사기에만 적용되도록 제한했다. 양형위 관계자는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보험사기 범죄를 양형기준에 편입하고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등 사회적 해악이 큰 다중 피해 사기 범죄를 엄벌할 필요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양형위는 오는 9월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사기죄, '감옥 살아도 남는 장사' 소리 안 나오도록 엄벌해야[사설] 2024-08-13 17:33:05
조직적 사기는 특별조정을 거쳐 최대 무기징역까지 엄벌하도록 했다. 눈에 띄는 것은 보이스피싱 범죄 처벌을 강화한 것이다. 지금까지 보이스피싱 범죄는 형법상 사기죄를 적용했으나, 지난해 11월 시행된 형법보다 엄한 전기통신금융사기특별법을 반영해 전기통신 사기죄로 더 높은 형량을 선고하도록 했다. 보험 사기도...
대형 사기 쳤다간 '무기징역'…대법원 양형기준 대폭 강화 2024-08-13 10:44:14
사기에만 적용되도록 제한했다. 양형위 관계자는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보험사기 범죄를 양형기준에 편입하고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등 사회적 해악이 큰 다중피해 사기범죄에 대한 엄벌의 필요성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양형위는 오는 9월 전자금융거래법위반범죄 양형기준 수정안을 심의하고 사기범죄 양형기준...
BNK경남은행, 삼천포용궁수산시장서 '장금이' 협약 2024-08-07 15:45:34
‘전통시장 소상공인의 금융사기 피해 예방 등을 위한 전통시장과 금융기관간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BNK경남은행은 삼천포용궁수산시장 상인들을 위한 전담창구를 마련하고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및 홍보 활동에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이후 시장 내에서는 보이스피싱 예방 어깨띠를 두른 참석자들이 시장...
"보험사기 별도 양형기준 유형 분류해야…전문가 가중처벌 필요" 2024-07-23 15:46:04
앞서 지난 4월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기존의 사기 범죄 양형기준에 통신사기피해환급법상의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와 보험 사기를 새로운 유형으로 추가하기로 했다. 하 변호사는 '고의로 사고를 발생하게 하거나 허위로 사고를 가장한 경우', '보험가입 시부터 보험사기 목적으로 다수 보험에 가입한...
"층간소음 신고"…민원 접수 스미싱 기승 2024-07-22 20:29:18
민원 접수사항을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발송하지 않으며 인터넷 접속 URL도 송출하지 않고 있다. 이에 시는 층간소음과 관련한 문자메시지를 받은 경우 열어보지 말고 즉시 삭제하라고 당부했다. 문자메시지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1566-1188)로 피해 내용을 신고하면 된다....
BNK경남은행, 울산 소상공인 금융사기 피해 예방 지원 2024-07-16 15:58:02
BNK경남은행 이상봉 부행장과 금융감독원 부산울산지원 서정보 지원장,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이종택 청장,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김종순 본부장, 신정상가시장 상인회 이언재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상봉 부행장은 신정상가시장 상인회 이언재 회장과 ‘전통시장 소상공인의 금융사기 피해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