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현대모비스, 알고리즘 경진대회 2023-07-09 18:15:08
확대 운영해 올해로 3회째를 맞았다. 대회는 지원자가 네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해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풀고 소스 코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올해는 4000여 명의 지원자 가운데 학생부 부문에서 구재현 씨(KAIST 전산학과), 일반부 부문에서 한동규 씨(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 배성수 기자...
현대모비스 '알고리즘 경진대회'…소프트웨어 인재 선발 2023-07-09 14:00:00
가운데 학생부 부문에서 구재현(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씨가, 일반부 부문에서 한동규(삼성전자) 씨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각 부문 1위에게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차량이, 2등에게 1천만원, 3등에게 500만원이 각각 지급되는 등 부상과 상금 규모는 1억6천만원에 달했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역대 학생부와...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 “초기창업패키지 3년, 직접투자 17.5억원 포함해 총 98.5억원이라는 투자유치 성과 거둬” 2023-02-20 11:51:23
전산학과 석사(1999~2001)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2012년부터 선도벤처형 액셀러레이터로 활동한 씨엔티테크는 누적 826억원 이상의 투자재원을 확보해 300개 스타트업에 400억원의 투자를 진행했다. 이 중 쿠캣, 키위플러스, 아워박스, 더스윙 등 26개 기업을 성공적으로 회수(Exit)하며 우수한 투자 실적을 보유하고...
늘어나는 AI학과, 교수는 태부족…'92년생 김박사' 모셔온다 2022-12-29 18:02:22
IT 기업에 취직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컴퓨터공학과와 전산학과 등 AI 관련 학과는 지난 10년간 ‘찬밥 신세’였다. 2000년대 초 닷컴 열풍으로 컴퓨터공학 열기가 절정에 달했다가 닷컴 거품 이후 기피 1순위 학과가 됐다. KAIST는 2004년 이후 7년 동안 전산학과의 정원 50명을 단 한 번도 채우지 못했다. 전문가...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대학 컴퓨터교육과, 14년새 40여개 사라져" 2022-09-26 18:07:41
접했고 한국에 돌아와 1985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전산학과 AI연구실을 이끌었다. SW정책연구소장, 지능정보기술연구원(AIRI) 초대 원장도 지냈다. 그는 교육 현장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 잘못 끼운 첫 단추를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주 5일 교육’을 도입하며 ‘컴퓨터 교육 의무 이수’...
벤처 겨울이라고? AI 스타트업에 투자할 적기 왔다 [긱스] 2022-08-25 11:16:48
눈으로 보는 AI 전화 앱 '비토(VITO)'를 운영하고 있다. 비토'는 일명 '눈으로 보는 통화 앱'이다. 전화 통화를 거의 실시간으로 카카오톡처럼 문자로 보여준다. △리턴제로 대표이사 / 공동 창업자 △카카오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팀 (M&A) △로티플 대표이사 / 공동 창업자 △KAIST 전산학과
전길남의 KAIST 연구실은 '1세대 벤처 산실' 2022-08-21 17:10:40
명예교수는 1982년부터 2008년까지 KAIST 전산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그가 있던 시스템구조연구실(SA랩)은 뛰어난 논문을 쓰고 대학교수가 되려는 학생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벤처기업 창업에 도전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전 교수 역시 제자들에게 “박사 학위를 받은 뒤에 왜 꼭 교수나 연구원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NASA 박차고 나왔다"…40년 전 한국에 인터넷 뚫은 주인공 [긱스] 2022-08-21 14:01:00
명예교수는 1982년부터 2008년까지 KAIST 전산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그가 있었던 시스템구조연구실(SA랩)은 뛰어난 논문을 쓰고 대학교수가 되려는 학생들보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벤처기업 창업에 도전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전 교수 역시 제자들에게 "박사 학위를 받은 뒤에 왜 꼭 교수나 연구원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느...
20대들의 의기투합…SKY·KAIST까지 사로잡았다 [긱스] 2022-08-09 11:08:46
때 전산학과를 선택하고 이듬해 창업에 매진하기 위해 휴학에 들어갔다. KAIST 창업원은 회사와 기숙사로 오가며 24시간을 창업에 몰입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했다. 이 대표는 클라썸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현재는 자퇴한 상황이다. 학창 시절 이 대표에게 사업은, TV 드라마 속 장면처럼 자칫 잘못하면 집에 노란...
'MZ세대' 총학생회장들…왜 스타트업 창업에 뛰어들었나 [긱스] 2022-07-18 15:48:33
이재웅 다음커뮤니케이션 창업자는 연세대 전산학과 86학번입니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와는 어린 시절 같은 동네에 살던 친구 사이입니다. 지난 2017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이 전 의장을 총수로 지정한 것에 대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비판 의견을 게재하기도 했습니다. 1990년대 초반 학번에도 창업 흐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