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요즘은 손자에게 재산 물려준다는데…분산증여 '절세' 대박이네 2024-10-26 18:34:43
직계존속의 배우자는 동일인으로 보아 합산한다. 손자 입장에서 부모와 조부모는 동일인이 아니므로 각각 증여 시 합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자가 증여를 받을 때 조부와 부에게 각각 나눠서 증여를 받는 것이 세율 분산 효과가 있다. 그리고 증여세는 수증자가 내야 하는데 증여자가 그 증여세를 대납할 경우 재차증여로...
"외국국적도 유류분 청구 가능…美 대선 보고 상속증여 계획 짜야" 2024-10-23 18:02:04
한국은 피상속인의 배우자·직계비속(법정 상속분의 2분의 1 유류분 인정) 및 직계존속(3분의 1)을 유류분 권리자로 인정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루이지애나주를 제외하곤 유류분 제도 자체가 없다. 김 변호사는 "한국에 있는 부모가 형제에게 전 재산을 상속했어도, 피상속인의 국적이 한국이기 때문에 미국에 거주하는...
배우자 상속 뒤 '연대납세'로 절세효과 2024-10-20 18:53:12
다음 순서로 선순위만 해당하는데 △배우자와 직계비속(최근친인 자녀가 1순위, 손자는 자녀가 있는 한 법정상속인이 아님) △배우자와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 이내 혈족 순으로 상속인이 된다. 만약 상속인이 자녀뿐이라면 최소 5억원, 배우자뿐이라면 최소 7억원, 자녀와 배우자라면 최소 10억원을 상속재산에서 공제...
배우자상속공제와 연대납세의무 활용하세요 2024-10-19 11:38:44
다음 순서로 선순위만 해당되는데, 배우자와 직계비속(최근친인 자녀가 1순위, 손자는 자녀가 있는 한 법정상속인이 아님), 배우자와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이내 혈족 순으로 상속인이 된다. 만약 상속인이 자녀뿐이라면 최소 5억원, 배우자뿐이라면 최소 7억원, 자녀와 배우자라면 최소 10억원을 상속재산에서 공제받을...
'김민희와 불륜' 홍상수 감독, 이혼 못하는 이유 있었다 [윤지상의 가사언박싱] 2024-10-18 07:18:33
다른 일방을 유기했을 때, ③ 배우자 또는 그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④ 자기의 직계존속이 배우자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⑤ 배우자의 생사가 3년 이상 분명하지 아니할 때, ⑥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을 때를 각 이혼 사유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부부 쌍방...
"어머니 유산 나눠야" 현대카드 정태영, 동생에 승소 2024-10-10 15:37:19
직계비속(자녀·손자녀)·배우자·직계존속(부모·조부모)·형제자매 등 상속인에게 돌아가도록 법적으로 정해진 몫을 뜻한다. 재판부는 "정 부회장에게 남동생이 3천200여만원, 여동생이 1억1천여만원을 각각 지급하라"고 판단했다. 다만 동생들이 정 부회장을 상대로 서울 종로구 동숭동 부동산 소유권을 달라며 제기한...
국회 통과한 구하라법…패륜 자녀·유책 배우자는 어떻게 되나 2024-10-02 06:09:20
선고 사유로 열거했다. 피상속인은 그 직계존속에게 ①~③의 사유가 있으면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으로 그 직계존속에 대한 상속권 상실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상속인의 유언집행자가 가정법원에 그 직계존속에 대한 상속권 상실을 청구해야 한다. 다만, 피상속인의 유언이 없는 경우라도 공동상속인은 피상속인...
"청약 통장 절대 해지하지 마세요"…전문가들 조언한 이유 2024-09-23 10:19:36
의미다. 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은 세대 분리를 인정받기가 어렵다. 이때는 자신이 예외 규정에 해당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거주한다고 돼 있는 직계존속이 만 60세 이상이면 이들이 주택을 보유하고 있어도 무주택자로 간주한다. 분양권을 보유해도 마찬가지다. 다만 가점제에서 부양가족...
상속·증여 고민에 한숨 '푹'…"사전증여로 걱정 더세요" 2024-09-18 17:33:35
세법상 증여세 공제 금액은 증여자 기준 배우자가 6억원까지다. 직계존속은 5000만원(미성년자 2000만원), 기타친족(6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은 1000만원이다. 성인 자녀를 기준으로 10년간 5000만원씩 나눠 30년 동안 증여한다면 1억5000만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재산을 물려줄 수 있는 것이다. 손자·손녀나...
상가 건물 매매계약 후 매도인 사망···소유권 이전은 어떻게 하나요?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024-09-17 13:42:02
자녀(직계비속)가 법적 상속인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승계 받게 됩니다. 이때, 사망한 매도인의 직계비속(자녀)과 배우자가 공동으로 1순위 상속인이 되며, 이 경우 자녀와 배우자는 상속 재산을 법정 비율에 따라 나누어 받습니다. 만약 매도인(피상속인)에게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배우자가 단독 상속인이 되며, 배우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