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준석 '성 상납 의혹' 불송치 처분 2022-09-20 22:29:11
전 대표가 7년의 공소시효를 벗어나게 됐다. 다만 이 전 대표가 김철근 전 당 대표 정무실장을 통해 성 상납 의혹을 무마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계속 수사 중이다. 이 전 대표는 김 전 실장을 통한 성 상납 무마 시도 의혹과 관련해 지난 7월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징계를 받았다. 경찰이 성 상납...
"연구비는 쌈짓돈" 펑펑 쓴 서울대 교수들 2022-09-14 17:47:07
‘범죄사실 통보자에 대한 징계의결 미요구’를 이유로 경징계 처분이 확정됐다. 여기서 ‘범죄사실 통보자’란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이진석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다. 이들이 이미 검찰에 기소된 상황에서도 서울대가 징계 결정을 유보하며 징계 시효를 넘겼다는 것이다. 최예린/권용훈 기자 rambutan@hankyung.com
비위직원 징계 불가피하다면…꼭 챙겨야할 '3대 포인트' 2022-09-13 17:40:03
만 5일이 있으면 된다. 셋째, 징계시효 문제이다. 징계시효에 관한 규정 역시 다양하지만 대체로 (1)‘징계사유 발생일로부터 O년이 지나면 징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한 유형, (2)‘징계사유 발생일로부터 O일 내 징계위원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규정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2)유형이 법적 성격이 동일한지...
이준석 "당원 가입 버스비보다 싸"…당내 세력 넓히기 나서 2022-09-11 17:47:17
공소시효가 만료됐기 때문이다. 다만 김 대표 측은 2015년 9월 추석까지 이 전 대표에게 선물을 제공했다며 알선수재 혐의를 포괄일죄(범행 수법이 비슷한 경우 하나의 범죄로 간주)로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5년 9월을 기준으로 할 경우 알선수재 혐의의 공소시효는 7년으로, 오는 9월 말까지 2주가량이 남은...
[사설] 이재명 소환이 야당 탄압이면 이준석 조사는 여당 탄압인가 2022-09-02 17:40:28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에는 감사원 징계를 받을 수 있어 함부로 바꿀 수 없다”는 취지로 말을 바꿨다. 선거법은 공소시효가 6개월이라 검찰로서는 오는 9일 이전에 기소하려면 그 전에 이 대표를 조사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대표는 소환 통보를 받기 전에 검찰의 서면조사에도 불응했다고 한다. 서울중앙지검이...
마이크 꺼진 줄 알고…유상범 "이준석, 기소 되면 다시 징계" 2022-07-12 17:51:14
(이 대표가) 기소되면 다시 징계해야 된다"며 "수사 결과에서 성 상납이 있었다고 인정되면 어쩔 것인가"라고 했다. 수사 기관이 이 대표의 성 상납에 대한 실체를 인정할 경우 추가 징계가 필요하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최 의원은 "아닐 경우도 생각해야지"라고 했지만, 유 의원은 "지금까지 조사한 걸로 보면…"이라며...
10개 논문 표절이어도 파면 면하는데…서울대 AI 연구팀 징계 받을까 2022-06-27 16:43:07
조치가 이뤄지는 이유는 당시 연구부정에 대한 징계 시효가 3년에 그쳤기 때문이다. 논문을 발표하고 3년만 지나면, 표절했거나 부당하게 저자를 실어준 연구물도 처벌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앞서 언급된 서울대 국문학과 박 교수도 표절 연구물 대부분이 징계 시효를 넘긴 상황이었다. 교육부는 2020년 12월 교육공무원법...
'조국 처분' 미룬 서울대 총장 징계 2022-06-08 17:56:29
대한 징계의결 요구를 보류해 징계 사유에 대한 시효를 넘긴 사실이 있다”고 했다. 교육부가 징계 이상의 처분을 내리면 서울대는 오 총장에게 감봉 및 견책 이상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서울대는 교육부 결정에 반발하며 이의신청을 했다. 조 전 장관의 혐의는 학교 안에서 벌어진 일이 아니라 대학이 사실관계를 파악할...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는 괜찮다고?…전문가들 "장담 못해" [곽용희의 인사노무노트] 2022-05-29 06:50:00
이렇게 삭감된 임금은 감급(감봉)의 징계를 받는 경우보다도 훨씬 낮았고, 대기발령을 받아서 근로제공을 하지 않은 직원과 비슷했다. 앞서 1심은 임금피크제가 "근로자들의 집단적 동의를 얻지 못했다"며 절차적인 문제가 있어 무효라고 판단한 바 있다. 2심 서울고등법원은 여기 그치지 않고 "임금피크제 자체가 현저히...
공소시효 지난 부당노동행위, 업무방해죄로 처벌한다? 2022-05-24 23:00:27
공소시효는 5년이나(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90조), 업무방해죄의 법정형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서 공소시효는 7년이다(형사소송법 제249조). 해당 사안에서 피고인의 행위는 5년은 지났으나, 7년은 지나지 않은 상황이었고, 검찰은 공소시효를 피하기 위해 해당 행위를 부당노동행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