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주에서 가장 밝은 퀘이사는 "은하 충돌의 산물" 2023-04-27 15:47:14
천체인 '퀘이사'(Quasar)가 은하 충돌 과정에서 생긴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셰필드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천문학 교수 클리브 태드헌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퀘이사 형성 과정을 밝힌 결과를 '왕립 천문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퀘이사는 '준항성상 천체'(quasi...
유성우 만드는 혜성 같은 소행성 '파에톤' 꼬리는 나트륨 가스 2023-04-26 15:38:06
특징인 꼬리를 만들어 특이한 천체로 여겨져 왔다. 이 꼬리는 태양에 접근하면서 가열된 파에톤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가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먼지가 아닌 나트륨(Na) 가스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에 따르면 보스턴대학 우주물리학센터 연구조교수 칼...
[尹국빈방미] 달탐사·심우주통신 협력 구체화…아르테미스 본격참여 신호탄 2023-04-26 09:55:14
달 표면에서의 생물학·물리과학 연구와 모빌리티, 로봇 공학 등 미래 우주탐사를 강화하고, 특히 수소전지 분야에서는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전문지식을 활용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밖에 태양물리학 및 천체물리, 행성과학, 지구과학 등을 포괄한 우주과학 분야에서도 공동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다만 이번 성명에는...
"레고로 게임하듯 AI 배우세요"…부산과학관, 年 1만명 AICE 교육 2023-04-09 18:05:43
국립부산과학관은 물리, 생물, 천체, 코딩 등 다양한 과학 분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과학 기술 저변 강화를 이끌고 있다. 김영환 국립부산과학관 관장은 “동남권 일대 청소년이 코딩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하며 AI 시대를 이끌어 갈 디지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원...
"1만년에 한 번"…인류 역사 이래 가장 강력한 감마선 폭발 2023-03-29 13:14:13
결론에 이르렀다. 네덜란드 라드바우드대학 천체물리학 교수 앤드류 레반 박사는 이와 관련, "그 차이는 거실의 전구와 경기장을 밝힌 야간 조명과의 격차와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초기 방출이 2초 미만이었던 GRB 221009A가 대형 별의 핵이 자체 중력으로 붕괴하면서 형성된 블랙홀의 첫 울음과 같은 것으로...
UFO인줄…통신기기 잔해 추락에 美서부 밤하늘 때아닌 불꽃놀이 2023-03-20 15:35:11
본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센터에 근무하는 천문학자 조너선 맥다월은 미국 언론 인터뷰에서 이 빛줄기가 2020년에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버려진 통신 안테나가 추락해 대기권에 재진입하고 불타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기기의 잔해가 60여km 상공에서 시속 2만7천...
영구적 밤낮 가진 지옥같은 행성서도 생명체 서식 가능 2023-03-17 11:22:35
따르면 물리·천문학과 연구원 애나 로보 박사는 낮과 밤 지역이 맞닿은 이른바 '터미네이터 존'(terminator zone)이 너무 뜨겁지도 춥지도 않은 적당한 기온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컴퓨터 분석 결과를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터미네이터 존이 낮과...
해왕성 밖 천체 콰오아서 존재할 수 없는 '괴짜 고리' 발견 2023-02-10 15:40:04
것이다. 하지만 콰오아에서 발견된 고리는 천체 반지름의 7배 되는 곳에 형성돼 있어 로슈한계의 두 배에 달했다. 태양계에서 가장 뚜렷한 토성의 중심 고리는 행성 반지름의 세 배 되는 곳에 형성돼 있다. 논문 공동저자인 셰필드대학 물리·천문학 교수 빅 딜런 박사는 "태양계 안에서 새로운 고리를 발견하리라고는...
달 표면 먼지 우주공간에 띄워 지구온난화 대처 가능할까? 2023-02-09 13:09:49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와 외신 등에 따르면 유타대학 물리·천문학 교수 벤 브롬리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 빛 차단에 이용할 수 있는 먼지 입자와 필요한 양, 궤도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 기후'(PLOS Climate)에...
"2030년엔 별 관측 어렵다"…인공위성 너무 많아 2023-01-29 20:06:47
천문학자들의 천체 관측에 방해가 된다. 인터넷 신호를 쏘는 위성의 경우 전파 망원경 작동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텔레그래프는 지적했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 데이비스)의 토니 타이슨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2030년 어두운 곳에 가서 하늘을 올려다보면 매우 섬뜩한 광경이 펼쳐질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