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비만인구 1.8억명'…위고비 중국 첫 상륙 2024-11-19 16:22:03
증가해 한때 최고 체중이 120㎏이었다. 현재 체중은 102㎏이며, 체질량지수(BMI)는 32이다. 위고비는 주 1회 0.25mg으로 시작해 4주 간격으로 용량을 증량하는 방식으로 투약한다. 펜 모양의 주사제 한 개가 4주 투약분이다. 제품 공급 가격은 한 펜(4주 분량) 당 1천400위안(약 27만원)으로 파악됐다. 베이징대 인민병원...
'비만인구 1억8천만명' 中에 위고비 상륙…첫환자는 102㎏ 남성 2024-11-19 15:26:54
현재 체중은 102㎏이며, 체질량지수(BMI)는 32이다. 국제보건기구(WHO)는 BMI가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정의하는 한편, 중국에서는 BMI 28 이상일 때를 비만으로 보고 있다. 환자가 처방받은 위고비의 세마글루티드 성분은 음식을 먹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과 유사한 성분이다. 이...
[분석+]먹는 위풍선·살빼는 전자약…비만 시장 공략 나선 의료기기 2024-11-19 09:26:00
수술로 비만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의료계에서는 체질량지수(BMI)가 35이상이거나, 30이상이면서 조절되지 않는 대사증후군이 동반된 경우 수술로 비만을 치료해왔다. 위를 절제하거나 위의 전체 용량을 줄여 섭취를 줄이거나, 음식물이 소장을 우회하게 만들어 영양분의 흡수 감소를 유도하는 방안 등이 있다. 2000년대...
"65세 이상에서 '악력' 약하면 당뇨병 위험 커진다" 2024-11-18 09:59:11
악력(relative HGS)은 근력과 체질량지수(BMI)를 함께 고려한 지표로, 절대 악력(absolute HGS)을 BMI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대 악력이 높은 그룹일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아졌다. 악력을 총 3분위로 나눴을 때, 남성의 경우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중간 집단은 당뇨병이 발병할...
160cm에 64kg '비만인 줄 알았는데'…뜻밖의 연구 결과 [건강!톡] 2024-11-13 11:57:33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체질량지수(BMI) 상 '비만'으로 분류되는 이들이 실제로 사망 위험은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토대로 현재 비만 기준인 BMI 25 이상을 BMI 27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비만인데 사망위험은 낮다고?..."BMI 기준 문제" 2024-11-11 09:51:36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되지만, BMI 25 부근이 사망 위험은 가장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전문가들은 비만 기준을 BMI 27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열린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002∼2003년 일반 건강검진을 받은...
"정상 체중인데 위험하다고요?"…놀라운 연구 결과 나왔다 [건강!톡] 2024-11-07 16:03:14
비만도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로 평가한다. 하지만 BMI는 인구집단별로 편차가 있어 BMI 만으로 당뇨 위험이 높은 비만도를 평가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유럽인보다 동아시아인은 BMI가 낮은 저체중이라고 해도 2형 당뇨 환자가 비교적 많다. 연구팀은 DNA 전장유전체...
삼성웰스토리, 유전자 분석해 '영양 코칭' 2024-10-31 18:09:09
받은 결과 체중은 2.8㎏, 체질량지수(BMI)는 1.2 감소했다. 혈압도 낮아졌다. 급식업체의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삼성웰스토리는 이처럼 개인의 유전 인자와 취식, 검진, 운동 데이터 등 개인의 특성을 분석해 식단과 운동 등을 맞춤형으로 코칭하는 프로그램인 ‘인텐시브 케어-영양 코칭’을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취재수첩] 과잉 진료도 '비대면진료' 탓하는 의사협회 2024-10-30 17:34:29
체질량지수(BMI)를 확인하지도 않고 처방해줘 논란을 일으켰다. 게다가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서 처방하는 주체도 의사들이다. 닥터나우, 나만의닥터 등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가 억울해하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일부 병·의원이 암암리에 해오던 비급여 과잉 진료가 비대면 진료 플랫폼 때문에 투명하게 드러났다는...
"치매 예방엔 머리 쓰는 활동 좋은 줄 알았는데"…뜻밖의 결과 [건강!톡] 2024-10-30 11:17:56
연구진의 설명이다. 비만 척도로 흔히 쓰이는 체질량지수(BMI)는 체내 근육량과 지방량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게 한계다. 지방·근육량 등 체성분을 활용한 치매 위험 평가가 필요한 이유다. 더욱이 근육·지방량 구성과 치매 위험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다. 김 교수팀은 이런 점에 착안해 치매 위험 예측 모델을 제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