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설] 폭우에 또 대규모 인명피해…전례없는 방재대책 마련해야 2023-07-16 17:28:54
집중호우 양상이 갈수록 예측불허다. 미증유의 기록적 호우로 재난이 대형화하는 만큼 대비책도 피해 복구를 넘어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 침수 위험이 큰 지하공간과 저지대는 물론 산사태, 공사장·옹벽·축대·제방 등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예측·분석해 지나치다 싶을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피해를...
산사태에 암석 6천여톤 무너졌다…피해 속출 2023-07-15 05:56:07
마을회관으로 대피할 것을 안내하고, 붕괴한 축대에 천막을 씌우는 등 응급조치했다. 이날 오전 10시께 춘천시 남산면 국지도 70호선에서도 도로가 침하해 한때 차량 통행에 어려움이 따랐다. 당국이 복구를 마쳐 현재 양방향 통행이 재개됐다. 앞서 이날 오전 7시 21분께 인제군 상남면에서는 토사가 유출돼 주택 1채...
[포토] 집중호우로 '도로 축대' 붕괴 2023-07-14 18:34:44
서대문구청 관계자들이 14일 서울 연희동에서 지난밤 폭우로 무너진 축대를 복구하고 있다. 이 사고로 인근 인근 20가구 주민 46명이 심야에 긴급 대피했다. 임대철 기자
[포토] 폭우로 무너진 연희동 도로 축대…주민 긴급대피 2023-07-14 18:06:30
이틀간 200㎜의 폭우가 쏟아진 수도권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속출했다. 14일 도로를 받친 축대가 무너져 인근 주민 46명이 대피한 서울 연희동 도로에서 작업자들이 긴급 보수 작업을 하고 있다. 기상청은 장마전선이 주말 동안 남하해 충청·전라권에 최대 400㎜의 폭우를 뿌릴 것으로 예보했다. 임대철 기자 playlim@hankyung.com...
충청·호남 400㎜ 더…20일까지 '도깨비 장마' 2023-07-14 17:59:05
축대가 무너져 토사가 유출돼 인근 20가구 46명이 긴급히 대피했다. 서대문구 홍제동과 도봉구 쌍문동, 금천구 시흥동 등에서 가로수 전도, 낙뢰 등의 사고가 연달아 벌어졌다. 인천 미추홀구 학익동과 숭의동에선 각각 빈집이 무너지고, 오피스텔 담벼락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기도에선 부천시 내동과 화성시...
동부간선도로 양방향 통제…잠수교도 2023-07-14 06:42:20
오전5시47분께 공릉동과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에 산사태주의보를 발령한다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보냈다. 이날 오전 2시 기준 서울 시내에서는 37가구 78명이 일시 대피했다.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축대가 무너져 인근 20가구 46명이 대피했으며 서울 각지의 반지하 거주민 등도 주거지 침수를 우려해 일부 대피했다. 이...
뉴욕증시 고공행진…폭우 대피, 도로 통제 이어져 [모닝브리핑] 2023-07-14 06:42:15
또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축대가 무너져 인근 20가구 46명이 대피했으며 서울 각지의 반지하 거주민 등도 주거지 침수를 우려해 일부 대피했습니다. 노원구 공릉동과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에는 산사태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충북 청주에도 산사태주의보가 발령 중이고 경기도 안산, 전북 김제 등 곳곳으로 확대하고...
호우로 서대문구 2천세대 정전…호우 피해 잇따라 2023-07-14 05:35:23
전 구간(수락지하차도~성수JC) 등 총 4곳이 통제되고 있다. 시내 27개 하천 출입은 전부 통제됐다. 이날 오전 2시 기준 서울 시내에서는 37가구 78명이 일시 대피했다.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축대가 무너져 인근 20가구 46명이 대피했으며 서울 각지의 반지하 거주민 등도 주거지 침수를 우려해 일부 대피했다. 이...
퇴근길 서울에 물폭탄...밤사이 중부 집중호우 2023-07-13 17:39:29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산사태와 옹벽·축대 붕괴 등 비 피해가 우려되니 대비해야 한다.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경계' 단계 산사태위기경보가 발령된 상태다. 제주에는 관심 단계 경보가 내려져 있다. 서울·인천·경기북부·강원중북부내륙·강원중북부산지에 지금부터 14일 오전까지, 경기남부·강원남...
중부지방 호우특보 확대…위기경보 '주의'·중대본 1단계 2023-07-09 15:20:50
대피 유도 강화를 지시했다. 산사태, 축대·옹벽 붕괴, 토사유출, 낙석 등 붕괴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붕괴 우려 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사전통제와 대피를 시행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반지하 주택 등 지하공간 내 침수 발생 시에는 즉시 통제와 대피를 실시하고, 취약계층의 대피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