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올해부터 달라지는 육아지원 3법 확인하세요" 2025-01-14 17:06:40
상향, △기업의 대체인력지원금 지급대상을 기존의 고용 뿐만 아니라 파견받는 경우로도 확대하고, 육아기 업무분담 지원금원 지급대상 역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근로자의 업무를 분담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육아휴직 근로자의 업무를 분담하는 동료 근로자까지로 확대했다. 육아 지원을 위한 대폭적 법령 개정을 마주한...
"첫째 낳으면 790만원" 파격…강남서 놀라운 일 벌어졌다 2025-01-13 08:54:18
시 출산양육지원금 200만원 신청 건수는 전년보다 26.8% 늘었고, 산후건강관리비용 사업(최대 100만원) 신청도 35% 늘어났다. 난임 시술 지원도 소득 기준을 폐지하자 신청자가 52.4% 증가했고, 임신 성공률도 2.7% 상승했다. 강남구는 올해 출산 지원 사업에 964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우선 9개의 출산 지원사업에...
GS리테일, '저출생 위기 극복 챌린지' 동참…"친가정 문화 확산" 2025-01-09 08:27:32
사내 어린이집 운영, 출산 관련 의료비 지원, 난임 휴가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아이사랑 휴직제도'를 통해 법정 육아휴직 외에 자녀당 1년의 추가 휴직을 지원하며 남성 직원에게도 적극적으로 사용을 권장한다. 임직원 출산 장려를 위한 다자녀 출산 지원금 제도도 있다. 첫째 자녀 출산 시에는 10만원 상당...
CJ대한통운 "작년 택배기사 복지지원액 66억원…2만2천명 혜택" 2025-01-08 09:29:34
배우자가 출산했을 때는 50만원 상당의 출산지원금과 출산 선물이 지급된다. 직계가족의 결혼이나 사망 등 경조사 땐 경조금과 경조 배송비, 화환, 상조 물품 등이 제공되는 경조지원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명절과 택배기사 본인 생일에도 소정의 선물이 지급된다. 추가 건강검진은 정부가 제공하는 기본 건강검진 외에...
'출산율 0.99명' 도쿄, 무통분만 지원한다…"日광역지차체 최초" 2025-01-06 13:22:30
도입 사례가 없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일본에서 출산 비용은 정상 분만의 경우 공적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 출산육아 지원금 50만엔(약 466만원)이 한 번에 지급된다. 그러나 출산 비용이 상승하면서 추가 비용이 드는 무통 분만을 선택하지 않는 여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일본에는 출산 ...
한화 유통·서비스부문, 출산 예정 직원에 '1천만원' 지원 2025-01-06 09:50:06
이달 출산 예정 직원들에게 육아 동행 지원금 1천만원씩을 처음으로 지급했다고 6일 밝혔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은 지난 2일 서울 더 플라자에서 열린 전달식에서 이달 말 출산을 앞둔 김상희 한화갤러리아 과장과 사내 커플인 김진현·박종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지배인 부부에게 육아 동행 지원금...
"오늘부터 최저임금 1만30원"…새해 '좋소기업' 노무상식 2025-01-01 13:09:41
육아휴직, 출산휴가 간다는 김 대리…대체인력 쓰면 월 80만원 지원해줍니다육아휴직, 출산전후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업무 공백을 대체인력의 고용 또는 (파견) 사용을 통해 충원한 중소기업 사업주에 대해 지급되는 대체인력지원금은 월 80만원에서 올해부터 월 120만원으로 인상됩니다. 육아휴직, 육아기...
병장 월급 205만원 시대…주민등록증도 폰 속에 쏙 2024-12-31 17:47:32
요인을 조기에 발견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할 수 있다. 범죄 피해자 생계지원 강화이달부터 범죄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위한 생계비 지원금이 월 70만원(1인 기준)으로 10만원 인상된다. 생계 지원 기간도 기존 최대 6개월에서 12개월로 연장한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올해 1분기부터 만 17세 이상 국민 누구나...
육아휴직땐 '월 최대 250만원' 아빠 유급 출산휴가 한달 간다 2024-12-31 17:43:43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유급) 기간이 10일에서 20일로 바뀐다. 주말 휴일을 포함하면 한 달 가까이 쉴 수 있다. 사용 기한도 출산일로부터 90일 내에서 120일 내로 확대된다. 중소기업 근로자는 출산휴가 급여 지원 일수가 기존 5일(최대 40만원)에서 20일(최대 160만원)로 대폭 늘어난다. 육아기 단축근로 지원금...
출산지원금 얼마를 받든 '세금 0원'…예금보호한도 1억 상향 2024-12-31 17:07:47
수 있고, 출산 시 기업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금융시장에선 1년 넘게 금지된 공매도가 재개되고, 예금 보호 한도도 24년 만에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된다. 혼인신고한 부부 100만원 세액공제2025년부터 기업이 근로자(친족인 특수관계자 제외)에게 지급한 출산지원금은 전액 비과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