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금융 상식 퀴즈 O X] 5월 9일 (753) 2022-05-09 10:00:02
①조세부담률 ②재정자립도 ③통합재정수지 ④관리재정수지 7.다음 중 3대 소득분배 지표로 볼 수 없는 것을 고르면? ①소득 5분위배율 ②상대적 빈곤율 ③지니계수 ④엥겔계수 8.특정 제품의 수요가 10억원어치 생겨날 때 직간접적으로 늘어나는 취업자 수로, 고용 창출 효과를 보여주는 지표는? ①실업률 ②고용률...
"수출입은행 "K-콘텐츠 수출 늘 때 소비재 수출도 1.8배 증가" 2022-05-01 11:00:08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K-콘텐츠 수출이 소비재 수출을 견인했다는 가정 아래 K-콘텐츠를 1억 달러 수출할 때 생산 유발 효과가 총 5억1천만달러(약 6천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소비재 생산 및 K-콘텐츠 생산 과정에서 취업 유발 인원도 2천982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추산했다.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경제성장률 0.5%P 하락 땐, 일자리 몇 개 줄어들까 2022-04-25 18:01:35
일자리의 관계는 한은이 추산한 취업유발계수를 바탕으로 알아볼 수 있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의 부가가치를 생산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일자리 수를 말한다. 작년 한국의 실질 GDP가 1910조7450억원이었으니 IMF 전망대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한다면 부가가치 산출은 9조5537억원 감소한다. 이...
[경제·금융 상식 퀴즈 O X] 12월 20일 (735) 2021-12-20 10:00:21
1.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실질적인 고용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이 지표는? ① 실업률 ② 고용률 ③ 합계출산율 ④ 취업유발계수 2. 국가가 빚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상환능력을 잃게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어닝 쇼크 ② 턴어라운드 ③ 디폴트 ④ 유동성 랠리 3....
중국, 내년 경제 키워드 성장이 아닌 '안정' 택한 이유는? [더 머니이스트-Dr.J’s China Insight] 2021-12-16 07:46:23
중국의 경제계획에서는 GDP목표와 함께 반드시 취업자수 목표가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국은 GDP 1%당 고용유발계수를 감안해 경제성장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에 따라 투자, 대출, 재정지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방국가와 다르게 해석이 필요합니다. 중국의 GDP 1%당 고용유발계수는 산업의 고도화와 서비스화에 ...
한경연 "대졸 청년 취업률 75%…OECD 37개국 중 31위" 2021-11-18 06:00:01
전 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2010년 13.8명에서 2019년 10.1명으로 줄었으며,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7.86명에서 6.25명으로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재화 10억원을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직·간접적인 취업자 수를 말한다.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도 청년들의 신규...
2분기 성장률 급락한 중국, 하반기 어떻게 될까?[더 머니이스트-Dr.J’s China Insight] 2021-07-22 16:24:05
유발계수가 얼마인 지가 더 중요한 나라이고, 실제 정부 GDP 목표는 고용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의 GDP는 사회주의국가 특성상 고용지표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매년 중국은 GDP 성장 목표를 발표할 때 반드시 취업자수 목표를 같이 발표합니다. 중국은 2분기에 16~24세 이하의 실업률이 15%를...
경북 김천시,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지정 2021-07-05 08:54:54
산업은 생산비중의 경우 제조업의 절반에 불과하지만, 취업유발계수와 이로 인한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제조업의 2배에 가까울 정도로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다. 특구기간 내 신규고용 105명, 기업유치 및 창업 30여개 기업, 2030년까지 신규고용 630명, 60개의 기업유치 및 창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특구사업에서 새로...
[사설] 굳어져가는 '고용 없는 성장' 양대 노총도 책임 크다 2021-06-21 17:51:45
있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취약점을 다시 일깨워준다. 한은에 따르면 취업유발계수가 2016년 11.2에서 2018년 10.1로 떨어진 뒤 회복을 못 한 채 2019년에도 10.1에 머무르고 있다. 10억원의 재화를 생산할 때 직·간접으로 늘어나는 고용자 수가 3년 새 1.1명 줄었다는 의미다. 2013년 13.1명에 달했던 사실을 돌아보면...
고용 없는 성장 고착화하는데...서발법은 10년째 계류 중 2021-06-21 17:33:42
늘어날 경우 직·간접적으로 창출된 취업자수를 보여주는 취업유발계수는 2016년 7명에서 2019년엔 6.2명까지 낮아졌습니다. 같은 기간 전산업 취업유발계수도 11.4명에서 10.1명으로 낮아졌는데, 코로나19 사태로 고용이 위축된 지난핸 더 악화됐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터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제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