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천자칼럼] 고향사랑 기부 경쟁 2023-01-06 17:48:17
멤버 제이홉(광주광역시 북구)도 기부에 동참했다. 함경도가 고향인 배우 이정길 씨는 “경북은 제2의 고향”이라며 이철우 경북지사를 직접 찾아 500만원을 기부했다. 지역 특성에 따라 10종 안팎에서 80~90종까지 다양한 지자체들의 답례품도 흥미롭다. 지역 특산품과 지역상품권은 기본. 자동차극장 관람권(전남 함평), ...
잘 나왔다, '공조2' [리뷰] 2022-09-07 12:39:35
툭 내뱉는 함경도 사투리, 절제를 기반으로 한 감정 조절은 현빈, 유해진, 다니엘 헤니에 대적할 막강한 무게감을 만들어냈다. '범죄도시' 위성락을 뛰어넘는 또 하나의 역대급 악역이 탄생했다. 과연 '공조2'가 전편을 뛰어넘는 속편은 없다는 영화계 징크스를 깰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781만명의...
친숙함·신선함 다 잡은 '공조2'…코미디 시너지↑, 추석 극장가 정조준 [종합] 2022-08-30 17:33:34
받아줘서 분장팀, 의상팀과 함께 스타일링을 해 나갔다. 함경도 말을 같이 입혀보기도 하면서 장명준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다"고 했다. 통쾌함이 느껴지는 시원하고 짜릿한 액션은 '공조2'의 관람 포인트다. 이석훈 감독은 "1편 액션이 훌륭했다는 평가가 있어서 '공조2'도 그에 못지않은 액션을 보여줘야...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향토방위하던 의병들, 관군과 합동 전국적 전투 전개…전공 다툼으로 고초 겪거나 전쟁 후에 숙청당하기도 2022-08-22 10:00:13
세웠다. 정문부의 북관대첩으로 인해 함경도는 보존됐고, 가토오 기요마사의 일본군은 두만강을 넘지 못해 전선의 확대가 저지됐으며, 일본군은 한양에서 철수하는 상황이 됐다. 의병들, 전쟁에서의 역할의병들의 전국적인 활동으로 전선이 확대된 일본군은 병력을 집중할 수 없었고, 많은 지역을 포기해야 했다. 의병들은...
자생한방병원, 신광열 선생 광복절 대통령표창 서훈 2022-08-16 15:51:25
주도하던 정치공작대에서 함경도 책임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구국활동에도 앞장섰다. 이번 신광열 선생의 서훈은 지난 15일 광복절을 맞아 진행된 독립유공자 포상과 함께 이뤄졌다. 자생한방병원 설립자인 신준식 박사는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발굴해 재조명하는 일은 대한민국을 있게 한 초석을 확인하는 과정“이라며...
자생한방병원 설립자 선친 신광열 선생, 독립유공자 대통령표창 2022-08-16 09:36:39
선생이 주도하던 정치공작대에서 함경도 책임위원으로 활동했다. 미국 중앙정보부(CIA) 보고서와 월남 후 자필로 남긴 기록을 대조해 검증한 결과 일치해 관련 업적들이 사실로 밝혀지게 됐다. 신광열 선생의 서훈은 15일 광복절을 맞아 진행된 독립유공자 포상과 함께 이뤄졌다. 자생한방병원 설립자 신준식 박사는 "잊힌...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일본군 파죽지세에 한양서 임금 탈출하며 '아비규환'…핍박받던 농민·노비 등 의병으로 궐기 전국서 유격전 2022-08-15 10:00:51
700명 전원이 전사했다. 함경도 북쪽에서는 정문부가 적군에 투항한 반란 세력을 진압하고 일본군과 격전을 벌여 소위 북관대첩을 이뤘다. 이 밖에 젊은 김덕룡 형제를 비롯해 합천에서 정인홍, 고령에서 김면, 손인갑, 권응수 등이 있었다. 1차 진주성 대첩에 참여한 최경회, 심대승, 임계성 등과 황해도의 장응기 등도...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해양환경·전선·정보력 활용한 전략·전술 천재…다른 민족에게 자랑할 수 있는 역사와 신화 남겨 2022-07-25 10:00:07
하구인 함경도의 조산보에서 만호로 근무했다. 1592년 4월 12일 거북선을 건조했는데, 다음날 일본군이 부산에 상륙했다. 그리고 5월 7일 첫 전투인 옥포 해전부터 승리를 이어갔다. 이순신 장군은 뛰어난 작전을 구사한, 전략과 전술의 천재였다. 해양환경과 전선 그리고 전술의 미묘한 상관성을 정확히 파악했다. 조선의...
[커버스토리] "도로와 수레가 좋다면 조선은 가난하지 않을 것"…실학자 박제가가 《북학의》에 남긴 물류·상업論 2022-06-20 10:00:24
감귤이 없으며, 함경도는 삼이 흔해도 무명은 귀하다. 산골에는 붉은 팥이 흔하고, 해변에는 생선젓과 메기가 흔하다. 영남 지방에선 명지(좋은 종이)를 생산하고 청산과 보은에는 대추가 많이 나고, 강화에는 감이 많다. 백성들은 이런 물자를 서로 이용하여 풍족하게 쓰고 싶어도 힘이 미치지 않는다. 우리가 가난한 것은...
北, 모내기 마치자 '김매기' 전투…방역 자신감 붙었나 2022-06-08 10:09:28
말에는 그 범위가 북부지역인 함경도까지 확대됐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마이크 라이언 긴급대응팀장은 지난 1일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북한에 백신 지원 제안을 하고 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cla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