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석달 만에 또 흔들… 공포의 포항 "더 큰 지진 오나" 2018-02-11 18:14:54
급증했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본진에 의해 쪼개진 면이 이번 여진으로 확장되고 있어 큰 여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포항과 경주 사이와 포항 북동쪽 해역 부근에서 또 큰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지진 트라우마 시달리는 포항시민들일요일...
일요일 새벽 단잠 깨운 '쿵, 쾅'…끝나지 않은 포항 지진(종합) 2018-02-11 17:54:28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내놓았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여진은 통상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 빈도와 최대 규모가 감소하는 게 일반적인데 석 달 만에 제일 큰 규모 여진이 난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며 "당시 쪼개질 듯 말 듯했던 단층면에 응력이 모이면서 이번에 깨진 것이다"고 설명했...
일요일 새벽 단잠 깨운 '쿵,쾅'…끝나지 않은 포항 지진 2018-02-11 16:47:37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내놓았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여진은 통상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 빈도와 최대 규모가 감소하는 게 일반적인데 석 달 만에 제일 큰 규모 여진이 난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며 "당시 쪼개질 듯 말 듯했던 단층면에 응력이 모이면서 이번에 깨진 것이다"고 설명했...
"포항 강진 석달 뒤 가장 큰 여진은 이례적…더 큰 지진도 우려"(종합) 2018-02-11 14:44:55
석달 뒤 가장 큰 여진은 이례적…더 큰 지진도 우려"(종합) 홍태경 연세대 교수 "포항 본진 응력 확장하고 있어"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지난해 11월 15일 포항에서 규모 5.4의 본진이 발생한 지 약 석 달 만인 11일 새벽 최대 규모의 여진이 발생한 것은 보기 드문 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특히, 이는 본...
"포항강진 석달 뒤 가장 큰 여진은 이례적…더 큰 지진도 우려" 2018-02-11 14:19:46
석달 뒤 가장 큰 여진은 이례적…더 큰 지진도 우려" 홍태경 연세대 교수 "포항 본진 응력 확장하고 있어"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지난해 11월 15일 포항에서 규모 5.4의 본진이 발생한 지 약 석 달 만인 11일 새벽 최대 규모의 여진이 발생한 것은 보기 드문 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특히, 이는 본진 발생...
[사이언스] 자전 속도 느려지는 지구… 5년 내 强震 늘어날 수도 2017-11-27 16:13:36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는 정확히 예상하기 어렵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지역은 연구를 통해 알아낼 수 있지만 언제, 몇 회나 일어날지 가늠하는 기술은 없다”고 말했다.일부 과학자는 지구 자전 속도를 가늠하면 향후 대략적인 지진활동의 추이를 예측할 수 있...
"지열발전소가 포항지진 방아쇠 역할" vs "일본 지진으로 지각 약화 탓" 2017-11-24 18:36:58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과도한 물 주입이 지진을 유발할 수 있지만 포항 지진은 경우가 다르다고 해석했다. 홍 교수는 “오클라호마는 수백 개 시추공에 20만㎥가 넘는 물을 주입했다”며 “반면 포항은 두 개 구멍에 1만2000㎥의 물을...
학계 '포항지진-지열발전 연관성' 논란…"추가 검증해야" 2017-11-24 11:52:19
얕은 3∼7㎞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다른 의견을 냈다. 그는 "오클라호마 지진의 경우는 수천t씩 수년 (유체를) 넣은 것이다. 한국은 네 번 넣었는데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나는 게 맞는지가 의문"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오히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에 미치는 힘이...
"한반도 발생가능 지진 최대 6.2" 2017-11-22 18:44:40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지각이 약해진 상황에서 응력까지 쌓여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며 “최대 규모 7.0 안팎의 큰 지진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기상청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의 최대규모는 6.2" 2017-11-22 11:00:06
대형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예상한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지각이 약해진 상황에서 응력까지 쌓여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최대규모 7.0 안팎의 큰 지진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덕기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장은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자료가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