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A산불 한달] 29명 사망·건물 2만채 삼킨 최악의 산불…"한인 피해도 300건" 2025-02-07 05:59:00
불어 위험해지는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긴 끝에 소방 당국은 지난달 31일에야 100% 진압을 선언했다. 수개월간 내리지 않던 비가 지난달 25일부터 조금씩 내리기 시작하면서 진화에 큰 도움을 줬다. 이번 산불 피해 면적은 팰리세이즈 산불이 94.9㎢, 이튼 산불이 56.7㎢, 뒤늦게 발생한 '휴스 산불'이 42.2㎢로 도합...
제주항공, 오늘부터 배터리 직접 소지해야 수속 가능 2025-02-06 09:47:15
항공사가 화재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를 반드시 손에 쥐고 탑승하도록 내부 규정을 고쳤다. 지난달 28일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의 화재 원인으로 선반에 넣은 보조배터리가 지목된 데 따른 것이다. 제주항공 탑승객은 탑승 전 보조배터리 등 리튬 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넣는 대신 몸에 직접 소지해 눈에 보이는 곳에...
"보조배터리는 기내 선반에 두지 마세요" 2025-02-05 17:44:46
주요 항공사가 화재 위험이 있는 보조배터리를 반드시 손에 쥐고 탑승하도록 내부 규정을 고친다. 지난달 28일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의 화재 원인으로 선반에 넣은 보조배터리가 지목된 데 따른 것이다. 현실적으로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을 전면 금지하기 힘든 만큼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로...
대한항공 등 국내 항공사들 일제히 '보조배터리 안전' 관리 강화 2025-02-05 17:11:18
탑승 전 기내 수하물에 리튬이온 배터리 등 화재 위험 물체는 빼도록 하는 등의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대책'을 시행한다. 예약·발권 과정과 탑승 수속 단계에서는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승객 동의 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보조배터리 등을 좌석 주머니에 보관하도록 승객 안내를...
[단독] "대한항공·아시아나,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보관 방지책 마련" 2025-02-05 15:08:54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화재 위험이 있는 보조 배터리를 선반에서 꺼내 반드시 손에 쥐고 탑승해야 하도록 규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보조배터리의 기내 탑재를 전면 금지할 수 없는 만큼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좌석 포켓에...
에어부산 "보조배터리 점검해 별도 택 부착"…기내 화재 대책 발표 2025-02-04 17:45:25
등 화재 위험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예방 대책을 내놓았다. 에어부산은 오는 7일부터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탑승구에서 확인을 완료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에어부산, 보조배터리 관리 강화 나선다 2025-02-04 17:18:53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객실 승무원 훈련도 대폭 강화한다.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및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Lithium battery fire containment pouch)도 구매해 항공기에 자체 구비할 예정이며, 승무원의 즉각적인 화재진압을 돕기 위한 방화 장갑을 기내에 추가 구비할 방침이다. 부산=민건태 기자
SK넥실리스,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용 집전체 개발 2025-02-04 09:50:07
= SKC의 이차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넥실리스는 화재 위험이 적은 전고체 배터리용 집전체(전자의 통로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 포일)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것으로, 안전성이 높아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고체 전해질은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이나...
글로벌 ESG 뉴스 브리핑 2025-02-04 06:00:46
오른 ‘보험‘ 시장 기후변화로 인한 대규모 화재가 빈번해지면서 보험시장이 시험대에 올랐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 LA에서는 4건의 화재가 동시에 발생했으며, 특히 팰리세이즈 지역의 피해가 심각했다. 캘리포니아주는 민간 보험사가 떠난 자리를 주정부가 지원하는 최후의 보험(FAIR Plan)으로 채우고 있지만,...
[팩트체크] 연이은 사고…여객기 타도 정말 안전할까? 2025-02-03 07:20:00
790만명당 1명에서 크게 개선됐다. 매년 여객기를 이용한 여행의 사망 위험이 줄어들어 10년마다 사망 가능성이 2배 낮아지는 추세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천290만편이 운항했다. 모든 항공사의 100만편당 사고율은 1.19건, IATA 회원 항공사의 100만편당 사고율은 0.73건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