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025년 월가의 달러화 전망 [원자재 & ETF 뉴스] 2024-12-17 08:11:31
약 한달여 앞둔 지금, 그간의 이론대로라면 달러인덱스는 추가상승이 명확한데요, 오히려 모간스탠리, JP모간, 소시에테 제네랄 등 대부분의 은행들은 달러화 약세를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트럼프의 무역 강경 발언 등에 따라 멕시코의 페소화나 캐나다달러화 등, 비달러 통화들이 달러화 대비 크게...
[2024결산] 빅테크 운명 가른 AI…세계각국 사활 걸고 주도권 경쟁 2024-12-17 07:11:13
스마트폰 혁명이라는 과실을 인류가 땄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다. 2000년 3월 단기간에 네트워크 장비 시장을 석권하면서 시총 1위에 올랐던 시스코 당시 최고경영자(CEO) 존 챔버스는 20여년 전과 지금은 몇 가지 유사점이 있지만, 혁신의 역동성이나 기회의 규모가 다르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지난 2년 동안 주가가...
'피벗'으로 요약되는 2024년…2025년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09 07:28:08
균열로 유로화 가치가 약세를 보이면 강달러 시대가 전개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2024년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피벗을 단행한 것에 대해 한은 ECB와 같은 성격의 실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유로보다 더 떨어졌다. 경기도 2024년 2분기 성장률이 -0.2%로 역성장한 데 이어 3분기에도 0...
트럼프發 고금리·강달러…'제2 키코 사태'로 번지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2-02 07:34:30
피벗을 멈출 확률이 높다. 미국의 고금리·강달러 쇼크가 나타나는 여건에서는 BOJ가 금리를 올리더라도 엔화가 강세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엔화로 미국 국채를 투자하다 실패하면 그 어느 투자 실패보다 충격이 크다. 안전자산으로 믿었던 엔화와 미국 국채, 두 축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종전의 이론이 통하지 않는...
트럼프 텐트럼발 고금리·강달러…제2 키코(KIKO) 사태?[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2024-12-01 20:34:02
여건에서는 Fed도 지금 추진하고 있는 피벗을 멈출 확률이 높다. 미국의 고금리·강달러 쇼크가 나타나는 여건에서는 BOJ가 금리를 올리더라도 엔화가 강세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엔화로 미국 국채를 투자하다 실패하면 그 어느 투자 실패보다 충격이 크다. 안전자산으로 믿었던 엔화와 미국 국채, 두 축이 무너지...
2025년 세계 경제 '다섯 가지 시나리오'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1-25 09:22:51
첫해가 될 수 있다는 2024년 초 예상이 맞을 확률이 높다. 2025년에는 슈퍼 엘리뇨가 슈퍼 라니뇨로 돌변해 또 다른 형태의 이상기후가 닥칠 것이라는 예상이 벌써부터 두렵다. 각종 선거도 숨 가쁘게 치러지면서 최근처럼 세계 경제가 흔들릴 때마다 질서를 잡아줘야 할 중심축 국가의 최고 통수권자일수록 수난을 겪었다...
증권사 해외 부동산 투자, 잠재 부실 파악 시급하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24-11-24 17:38:55
확률이 높아질 때마다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움직임이 ‘고금리·강달러’ 현상이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에도 0.8%포인트 이상 급등했다. 주요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알 수 있는 달러인덱스도 107대에 진입하고 있다. 어빙 피셔의 국제자금이동 이론에 따라 달러 가치를...
[마켓칼럼] '투자의 달인' 버핏, 현금 비중 늘리는 이유는 2024-11-19 16:34:44
완전고용을 실현하기 위해 얼마든지 화폐를 발행해도 된다는 '현대통화이론(Modern Monetary Theory)'의 실제 적용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미국 국채 발행 규모는 올 10월까지 작년 동기 대비 33.4%가 늘어났으며, 특히 단기채권의 발행이 급증했다. 재정적자의 확대는 Fed의 양적긴축과는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
엔화로 美 국채 투자, 눈덩이 손실…'제2 키코 사태' 우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2024-11-17 17:38:15
확률이 높다. 미국의 고금리·강달러 쇼크가 나타나는 여건에서는 BOJ가 금리를 올리더라도 엔화가 강세를 보이는 데 한계가 있다. 엔화로 미국 국채를 투자하다가 손실을 보면 그 어느 투자 실패 건보다 심리적 충격이 크다. 안전자산으로 믿은 엔화와 미국 국채, 두 축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종전의 이론이 통하지 않는...
중앙은행의 피벗…한은 '실기론' 왜 고개드나?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4-11-11 07:47:19
할 확률이 높다. Fed의 실수론, ECB와 BOK의 실기론은 통화정책 전환기에 중앙은행의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트릴레마 국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증거다. 조세와 복지, 그리고 국가채무 간 상충관계인 재정 트릴레마에 빗된 통화 트릴레마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를 잡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