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DNA 검사도 못 잡는 후성유전 변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 2020-09-16 16:45:10
유형의 후성유전 변이와 결함을 발견했다. 후생유전이란 DNA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이 이뤄지는 걸 말하며 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후성유전학이라고 한다. 미국 마운틴 시나이 의대의 앤드루 샤프 유전학 부교수 연구팀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인간 유전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바이오네틱스, 표적항암제 美 임상 1상 신청 2020-01-08 14:34:23
가능 용량을 확인할 예정이다. NTX-301은 후생유전학적인 조절인 DNMT 저해를 통해 다양한 항암 효과를 낸다. DNMT 저해제 시장은 현재 시판 중인 치료제들의 낮은 효능과 내성 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수요 증가로 2018년 23억달러에서 2026년 46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NTX-301은...
"'도약 유전자' 트랜스포존, 잠금장치 풀리는 이유 규명" 2019-09-17 15:14:19
후성유전학(또는 후생유전학)은 DNA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연구하는 유전학의 하위 학문이다. 매거트 교수의 다음 연구 목표는, 헤테로크로마틴의 트랜스포존 조절 기억이 후성유전학과 별개로 어떤 작용을 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che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간 세포 '유형 지도' 완성 2019-07-11 16:53:27
플랑크 면역학·후생유전학 연구소 과학자들이, 간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유형별 특징과 위치, 활성 유전자, 단백질 등을 포괄적으로 상세히 보여주는 '간 세포 아틀라스(세포 유형 지도)'를 완성했다. 이번 연구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MPI)의 연구그룹 리더로서 자신의 랩(실험실)을 운영하는 도미니크 그륀 박사가...
인간 세포의 'DNA 복구' 미스터리 풀렸다 2019-02-28 17:06:31
산하의 '기능성 후생유전학 연구소(IFE)' 부소장이자 보고서의 교신저자인 틸 바르트케 박사는 "DNA를 둘러싸고 있는 히스톤은 유전자 물질을 묶어두는 역할도 한다"면서 "히스톤의 화학적 변화에 따라 DNA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고 이런 과정을 통해 유전자 활동도 제어된다"고 설명했다. 바르트케 박사팀의...
미연구팀 "MLL 단백질 안정되면 백혈병 진행 느려져" 2018-12-24 14:16:48
종류에 초점을 맞췄다. 알리 실라티파드 박사가 이끄는 노스웨스턴대 의대의 심프슨 퀘리 후생유전학 연구센터는 지난 25년간 'COMPASS(COMPASS; Complex Proteins Associated with Set1)'라는 단백질 복합체 안에서 MLL이 보이는 분자 기능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러다가 최근에 COMPASS 구성 분자들이, 가장 빈도...
"표적항암제·녹내장치료제, 내년 하반기 임상 1상 목표" 2018-12-12 17:49:17
받아서 속도가 빨랐다”고 설명했다.바이오네틱스는 후생유전학 표적항암제 ntx-301과 녹내장 점안치료제 ntx-101의 전임상을 하고 있다.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으로 전임상을 완료하고 내년 하반기 임상 1상을 시작하는 게 목표다. 점안 녹내장 치료제의 개발 속도가 빠르다. 정 대표는 “비임상 단계에서 우수한...
종근당, 미국류마티스학회서 'CKD-506' 연구결과 발표 2018-10-25 10:09:35
연구 컨퍼런스 세션 '면역 관련 질환에서의 후생유전학'에서 구두로 발표하고, 21일 동물모델 세션을 통해 포스터로 추가 발표했다.전임상에 따르면 ckd-506은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염증성 분자의 발현을 억제해 항염증 작용을 했다. 또 면역 조절 t세포의 기능을 향상시켜 면역항상성을 유지하는 등 자가면역질환...
스타유망주식[김학주의 honor club] 합성 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텍 `바이오네틱스` 2018-05-11 14:19:02
이외에도 후생유전학 항암제를 in-license하여 개발하고 계신데요. 이의 기전을 소개 부탁드립니다. 정두영 대표 : 바이오네틱스의 후생유전학 항암제는 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DNA 메틸화 패턴을 정상화하여 암 세포가 정상 세포로 분화되거나 사멸하도록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보이게 합니다. 아울러, 암...
유전자가위 연구자들, 올해는 노벨의학상 받을 수 있나 2017-09-30 09:00:10
규명한 프랑스 유전학 및 분자-세포 생물학 연구소의 피에르 샹봉 박사, 성인 뇌에서도 새로운 뇌신경세포가 자란다는 점을 처음 밝힌 미국 솔크연구소의 러스티 게이지 박사,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한 제임스 톰슨 미국 위스콘신대 교수 등도 단골 후보다. 현대적인 후생유전학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