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 2025-01-27 07:17:51
둔덕에 충돌하기 4분 7초 전인 지난달 29일 오전 8시 58분 50초부터 남아 있지 않다. 항철위 조사에 따르면 당시 사고기는 원래 착륙하려던 방향인 01활주로의 시작점(활주로 최남단)에서 남쪽으로 약 1.1NM(해리) 떨어진 바다 위를 비행하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터로 환산하면 약 2천37m의 거리다. 착륙이 임박했던 만큼...
제주항공 사고기 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흔적' 발견 2025-01-26 16:40:14
시설)와 충돌하기 4분7초 전부터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관제교신 기록 등을 바탕으로 사고가 일어난 12월 29일 오전 8시54분43초 항공기가 무안관제탑으로부터 착륙 허가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8시57분50초 관제탑이 항공기에 조류 활동 주의 경고를 발신했고, 조종사들도 8시58분11초 항공기 아래...
'조류 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멈췄다…새떼 접촉도 포착 2025-01-25 17:14:06
파악된다고 항철위는 설명했다. 사고기는 이후 약 4분간 활주로 왼쪽 상공을 비행하다가,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착륙하려 오른쪽으로 선회했다. 이어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동체 착륙했고, 오전 9시 2분 57초에 활주로 너머 방위각 시설물(로컬라이저 둔덕)과 충돌했다. 항철위는 "운항 상황 및 외부 영향...
마지막 4분 7초 블랙박스 중지…양쪽 엔진 모두 오리와 충돌 2025-01-25 16:00:03
무안공항에 설치된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와 충돌하기 4분 7초 전부터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관제교신 기록 등을 바탕으로 사고가 일어난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8시 54분 43초 항공기가 무안관제탑으로부터 착륙 허가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8시 57분 50초 관제탑이 항공기에 조류 활동 ...
'조류 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먹통…CCTV에 '새떼 접촉' 포착 2025-01-25 16:00:01
이후 약 4분간 활주로 왼쪽 상공을 비행하다가,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착륙하려 오른쪽으로 선회했다. 이어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동체 착륙했고, 오전 9시 2분 57초에 활주로 너머 방위각 시설물(로컬라이저 둔덕)과 충돌했다. 항철위는 "운항 상황 및 외부 영향, 기체·엔진 이상 유무 등을 파악하기 위해...
"엔진서 불꽃이" 승객들 공포…아시아나 여객기 운항 취소 2025-01-25 14:34:05
예정이었던 OZ766편 항공기(A330 기종)가 활주로에서 가속 중 엔진 이상이 감지되면서 운항이 중단됐다. 일부 승객은 "엔진 쪽에서 불꽃이 보였다"고 증언했다. 항공사는 즉각 승객 270여명을 하차시켜 호텔로 이동시켰고, 같은 날 오후 4시 55분 대체 항공편을 마련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엔진 이상 원인을 확인하고 있다며...
"엔진쪽에 불꽃이 보였다"...아시아나 승객들 '철렁' 2025-01-25 08:17:40
OZ766편 아시아나항공 항공기(A330 기종)가 활주로에서 이륙을 준비하며 가속 중 엔진 이상이 감지돼 운항을 중지했다. 이 와중에 일부 승객은 "엔진 쪽에서 불꽃이 보였다"고 전하기도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승객 270여명을 하차시켜 호텔로 이동시켰고, 이날 오후 4시55분발 대체편을 투입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치앙마이 출발 아시아나 여객기 엔진 이상으로 운항취소 2025-01-25 08:06:50
아시아나항공 항공기(A330 기종)가 이륙을 위해 활주로에서 가속 중 엔진 이상이 감지돼 운항이 중지됐다. 이 과정에서 일부 승객은 "엔진 쪽에서 불꽃이 보였다"고 전하기도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승객 270여명을 즉각 하차시켜 호텔로 이동시켰고, 이날 오후 4시55분발로 대체편을 투입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이와 관...
[다산칼럼] 무안공항 콘크리트벽의 교훈 2025-01-23 17:40:16
온 국민이 이번 참사에서 목격했다. 활주로 북쪽보다 남쪽 해발고도가 낮아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시설) 높이를 맞추려 둔덕을 조성했다는 게 공항 측의 설명이다. 그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둔덕형 로컬라이저를 조성하되 쉽게 파손되는 재질로 기체 충돌을 흡수하도록 하는 게 상식이다. 그런데 이를 콘크리트로 설계해...
7개 공항서 방위각시설 지적…부러지기 쉬운 구조로 교체 2025-01-22 15:49:27
항공기에 제동력을 제공해 주는 시설이다. 활주로 이탈 방지 시설의 신속한 도입을 위해 이달 중 전문가 TF를 구성해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설치, 유지관리 기준과 국내공항 적용 방안을 오는 4월 항공 안전 혁신방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아울러 신공항 건설 사업에도 방위각시설 등 활주로 인근 시설을 부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