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Book & Movie] 포퍼의 한계…시장·개인보다 국가·정치 중시…'비판의 자유'가 전체주의 도그마를 없앤다 2015-08-21 19:36:45
철인’플라톤은 역사를 퇴보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그 전개를 막기 위한 인공적 방법으로 지도층을 공산화하고 전능하고 강력한 권한을 가진 위대한 철인이 다스리는 국가를 지향했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역사를 계급투쟁의 흐름으로 보았으며 그것은 곧 발전의 과정으로 간주됐다. 즉 플라톤은 계급투 岾?막아...
[Book & Movie] 닫힌 사회 = 역사법칙주의, 플라톤-헤겔-마르크스…열린 사회 = 비판·토론의 자유, 소크라테스-칸트 2015-08-14 18:56:32
뿌리 ‘플라톤’포퍼는 페리클레스·데모크리투스·소크라테스·칸트의 사상을 열린사회의 생각 흐름으로, 또 헤라클레이토스·플라톤·헤겔·마르크스의 사상을 닫힌 사회의 생각 흐름으로 본다. 후자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것이 역사법칙주의(historicism)이다. 처음...
[책꽂이] 'ICT R&D 기술사업화' 등 2015-08-13 19:36:39
괜찮아 청소년을 위한 철학 동화. 장자의 낙우송, 플라톤의 예술론, 데리다의 차이와 차별 등 10대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만들어 가는 힘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를 담았다. (희망철학연구소 지음, 동녘, 124쪽, 1만1000원)● 부릅뜨고 표지판 안내 표지, 도로 표지, 교통안전표지 등 생활 현장...
[책마을] 경쟁심에 불 지펴 성과 극대화…부하를 헤아릴 땐 아버지처럼 2015-07-23 21:39:37
페르시아제국을 창건했다.소크라테스의 제자로 플라톤과 동문수 槿?고대 그리스 철학자이자 역사가인 크세노폰은 키루스 2세를 “비길 자가 없는 가장 위대한 세계 정복자”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가 살았던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는 난세였다. 도시국가 간 빈번한 분쟁으로 빈민과 난민이 급증해 혼란스러웠다....
[리뷰] 농촌 아이들의 사랑스러운 이야기. 논논비요리 1/2권 2015-07-21 12:37:51
주장하는 플라톤주의적 입장에서 보면 ‘일상계’는 독자를 비현실 속에 안주하도록 만드는 나약한 이야기다. 그렇기에 이야기 실격이라고 말한다. ‘일상계’는 성장하지 않는 소녀들이 행복해 하는 모습을 보며 대리만족을 느끼는 `미소녀 동물원`이라는 평가도 여기서 연유한다. 게다가 ‘일상계’ 장르는 갈수록 잘...
[책마을] 동서양 고전 50권 독서노트…인문학서 얻는 삶의 지혜 담겨 2015-07-16 21:08:14
읽으며 기록한 일종의 독서노트다. 플라톤에서 단테, 셰익스피어에서 소로에, 성경에서 천일야화에 이르기까지 역사의 시작부터 19세기까지 출간된 저작물 중 학문적으로 인정받는 고전만을 모아 엮은 방대한 ‘하버드 클래식’으로 안내하는 독서 연대기인 동시에 인간의 삶을 돌아보게 하고 정신을 풍성하게...
[조충현의 ‘펀드노트’] 117편. ‘조르바’의 나라 2015-07-15 09:30:00
불멸의 업적을 남긴 나라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나라이며 조르바의 나라이다. 그런 그리스가 지금 국가부도가 임박했다. 연일 해외 발 뉴스는 재촉하듯 그리스의 채무 협상을 중계하고 있다.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이 구조적 희생양이라고 억울해 한다. 최근 치러진 국민투표에서도 그리스 국민은 NO...
[천자칼럼] '더 일하거나 더 가난해지거나' 2015-07-12 20:34:18
수출하고 올리브유는 수입한다는 그리스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후예들이 인류에 또 교훈을 주고 있나. 이번 교훈은 ‘치러야 할 비용은 결국 치러야 한다’일까.허원순 논설위원 huhws@hankyung.com[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 ?전재 및...
임수정, '김제동의 톡투유' 출연계기는? "손석희 사장의 제안으로…" 2015-07-11 10:00:44
플라톤의 이론이 틀린 것 같다. 임수정의 아름다움을 보니 이데아의 세계가 이곳에 투영된 것 같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이어 정재승도 본인의 전공을 살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맞다는 걸 느낀다. 임수정을 하염없이 바라보게 만들고 보다보니 ‘시간이 언제 갔나’ 싶다”고 말해...
[Cover Story] 그리스 몰락…운명은 34년전 결정됐다 2015-07-10 19:49:49
않았다.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나라는 역시 다르다는 칭찬을 듣기도 했다.그리스의 몰락은 1981년 좌파세력이 집권하면서 시작됐다. 거기다가 eu에 무리하게 가입하면서 몰락이 가속화됐다. ‘범그리스 사회 聆?운동당(pasok)’과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세력이 그리스를 망가뜨렸다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