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GD "TV용 LCD 투자 중단…OLED에 사활 걸었다" 2017-07-27 10:00:07
없는 자발광(스스로 빛을 내는) 소자이기 때문에 여러 가능성이 있다"면서 구체적인 개발 내역을 언급하지 않은 채 전세계 양대 가전제품박람회인 미국 CES나 독일 IFA에서 신제품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 부회장은 미국 애플이나 구글로부터의 투자 유치 협상설에 대해서는 "공시가 되면 알게 될...
유기 태양전지 효율 향상기술 개발…"효율 11% 이상으로 올려" 2017-07-25 12:00:13
갖는 산화물인 페로브스카이트를 광 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전지)에 비해 소자 제작이 간단해 웨어러블·휴대용 전자기기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다. 특히 전지를 이층으로 쌓아올린 적층형 유기 태양전지는 빛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고, 용액 공정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동아대 연구팀, 반도체 물질 육각형 배열값 첫 발견 2017-07-18 10:27:56
텔루륨화아연 나노선의 결정구조와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다. 광전자 소자로 널리 쓰이는 텔루륨화아연은 나노선 또는 나노나무로 성장하면서 독특한 물성을 띤다. 이 물성의 특징을 이용하면 태양전지, 광센서, 발광체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김 교수팀은 텔루륨화아연을 나노선·나노나무로 제작하기...
극장 영사기, 120년만에 사라지나…삼성, 극장용 LED패널 개발(종합) 2017-07-13 15:23:17
광 소자를 사용해 '리얼 블랙'을 구현했다"며 "통상 2천500 대 1 수준인 영사막의 명암비가 시네마 LED에선 무한대로 확장된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공개한 데모 영상에는 검은 배경을 바탕으로 발레리나가 춤을 추는 장면이 있었는데 깊이감 있는 검은 색상이 밝은 발레리나의 몸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며 또렷한...
시네마 LED 영화 어땠나…"프리미엄 TV를 극장서 보는 듯" 2017-07-13 13:29:11
광 소자를 사용해 '리얼 블랙'을 구현했다"며 "통상 2천500 대 1 수준인 영사막의 명암비가 시네마 LED에선 무한대로 확장된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공개한 데모 영상에는 검은 배경을 바탕으로 발레리나가 춤을 추는 장면이 있었는데 깊이감 있는 검은 색상이 밝은 발레리나의 몸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며 또렷한...
이엔쓰리 "3D프린터 이용 전기차사업 진출…소방관재 사업 강화" 2017-06-28 08:32:48
기계장비생산과 라이다, 광소자산업, oled전기자동차 개발, 소방용 무인항공기 기술 개발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할 계획이다. 또 기존 소방차 및 소방관재 사업을 보강하기 위해 소방용 드론제작, 음파를 이용한 소화기개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관재시스템 개발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한다. 이엔쓰리는 신규 사업을...
실크 단백질 눈에 넣어 시력 보정한다 2017-06-22 12:00:38
아울러 실크 유연 광소자가 안압을 감지하는 무선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도 입증했다. 소자의 광 밴드갭(빛이 진행·통과할 수 없는 파장 대역)을 간단한 광학 장비로 원격 측정해 파동 변화를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었다. 이는 안구에 부착한 실크 단백질 광자결정을 이용해 녹내장 진단 기준이 되는 안압 측정을...
달갈 프라이 닮은 '원샷 영상진단 조영제' 기술 개발 2017-06-21 12:00:13
기존의 화학적 합성법에서 벗어나 반도체 소자 제작기술을 끌어들였다. 커다란 원재료를 점차 미세한 크기로 잘라내는 하향식(top-down) 공정 기술로 나노입자를 합성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합성된 나노입자는 납작하고 크기가 다른 입자 두 개가 층층이 쌓여 있는 형태다. 연구팀은 이를 흰자와 노른자로 구분된 달걀...
플라스틱 기판서 나노막대 제작 60분에서 1분으로 단축 2017-06-15 11:35:22
기술 개발…"광소자 효율성 높일 수 있다"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빨리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태양전지나 LED와 같은 광소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포항공대(POSTEC)는 이종람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박사과정 박재용씨 연구팀은 전기회로가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연구성과 교류' 성균국제솔라포럼 14∼16일 개최 2017-06-14 13:32:38
기존 태양전지 소재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첨단기술 분야에도 응용이 가능해 연구자들이 노벨상 후보로 거론될 정도"라고 설명했다. 마이클 그라첼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 교수, 양자점 광전소자 분야 권위자인 캐나다 토론토대의 테드 사전트 교수, 유기광 소자 전문가인 미국 UCLA 양양 교수 등 9개국 석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