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그림 한점에 2.4억원이나?’… 박수근 작품 호당 가격 국내 ‘최고’ 2020-01-15 15:45:38
이어 김환기(약 3500만원), 이우환(약 1475만원), 박서보(약 372만원), 김창열(약 292만원) 순으로 분석됐다. 이는 서울옥션, 케이옥션 등 주요 경매사 8곳의 온·오프라인 경매에서 낙찰된 국내 작가 작품의 평균 호당가격을 비교한 결과다. 지난해 국내 미술품 경매 낙찰총액 기준으로는 김환기가 약 250억원으로...
이중섭 생애 마지막 작품 경매…이우환 16억~23억 고가 그림도 2020-01-13 18:15:50
않는 강’을 비롯해 김환기·천경자·이우환·박서보·정상화의 단색화, 희귀한 고미술품 등 모두 172점을 출품했다. 경매에 나온 작품의 ‘낮은 추정가’ 총액은 100억원으로, 지난달 겨울 경매와 같은 규모다. ‘돌아오지 않는 강’은 추정가 1억5000만~3억원에 경매에...
곽인식·이우환·제니 홀저…새해 미술계 '별들의 전쟁' 2020-01-05 17:06:53
예술세계를 재조명한다. 국제갤러리는 박서보와 이우환의 개인전을 통해 다소 기세가 꺾인 단색화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는다는 전략이다. ‘인사동 터줏대감’ 노화랑은 올 상반기에 박서보를 비롯해 하종현 김태호 김춘수 등 원로 추상화가들의 푸른 색채의 추상화만을 모은 기획전 ‘블루’에 공을...
미술품 양도세 강화 '쇼크'…2000억대 경매시장, 1년 만에 깨졌다 2019-12-29 17:14:24
미술시장의 ‘환기 천하’ 시대를 이어갔다. 박서보, 하종현, 윤형근 등 단색화가의 인기가 주춤한 가운데 박수근, 이우환, 유영국, 르네 마그리트, 마르크 샤갈, 클로드 모네 등 국내외 유명 구상작가의 작품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렸다.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 ‘사이렌의 노래’는 72억4700만원에...
박서보,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2019-12-05 17:45:11
박서보 화백(사진)이 대한민국예술원이 수여하는 제64회 대학민국예술원상 미술부문 수상자로 선정돼 5일 상을 받았다. ‘단색화’ 대표 작가로 꼽히는 박 화백은 1931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나 홍익대 교수·미술대학장 등을 지냈다.
33차례 호가 경쟁 끝 132억 낙찰…김환기 '우주' 韓 미술사 다시 썼다 2019-11-24 17:11:07
등 미술 애호가들은 김환기를 비롯해 이우환 정상화 박서보 등 단색화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미술품 구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경매 낙찰 총액 10억원을 넘는 ‘10억 클럽’에 들어간 작가는 김환기 외에도 박수근 이중섭 천경자 이우환 장욱진 등 30여 명에 이르렀다. 하지만 국내 경제 규모에 비해...
미술품 대중화 선도…프린트 서비스·온라인 경매 등 혁신으로 영토 확장 2019-11-14 15:50:04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통해 김환기, 박서보, 윤병락 등 유명 작가의 작품을 저작권이 해결된 원본 프린트 버전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됐다. 가격은 원화의 5분의 1 수준으로 합리적이라는 평가다. 생활가전과의 협업도 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손잡고 맞춤형 냉장고 ‘비스포크’에 디자인 스튜디오...
박수근·김환기·이중섭…K아트 전 세계 알린 '미술경매 맏형' 2019-11-14 15:49:28
2017년 39억원에 팔려 김환기의 반추상화로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서울옥션은 김환기에 이어 정상화 박서보 하종현 윤형근의 단색화 작품도 줄줄이 경매에 올렸다. 정상화의 ‘무제’(258.8×193.8㎝·11억3032만원)와 박서보의 ‘묘법’(227.5×182㎝·11억원)을 낙찰시켜...
뉴요커 사로잡은 韓 단색화…"마대 활용한 修行 예술" 2019-11-10 17:02:13
화랑에 잇달아 초대되며 박서보, 이우환과 더불어 한국 추상미술의 ‘간판’으로 우뚝 섰다. 한국미술협회 이사장과 서울시립미술관장, 홍익대 미술대학장을 지낸 그는 한국 현대미술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 화백의 예술세계가 ‘현대미술 1번지’ 뉴욕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한국미술 100년을 추억한다 2019-10-22 17:10:10
광장을 통해 되돌아본다. 변월룡, 박수근, 이중섭, 이응노, 박서보, 신학철, 서도호, 이불,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등 작가 200여 명의 작품 300여 점과 자료 200여 점을 선보인다. 김환기의 대표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와 이 작품에 영감을 준 달항아리, 청자매병을 한자리에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