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정부, 바이오 기반 일자리 올해 4만6천개로 늘린다 2018-05-09 06:01:01
바이오 연구개발(R&D)의 사회문제 해결 기여 건수는 올해 7천968건, 2025년 1만 건으로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해 작년보다 5.1% 늘어난 3조5천778억원을 생명공학 육성에 투자할 계획이다. R&D에 5.6% 증가한 3조1천290억원을, 인프라와 인력양성에 각각 1천721억원과 2천767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신간] 다른 세상을 위한 7가지 대안·꺾인 꿈을 기억해 2018-05-04 16:51:03
저자는 국가와 선사(船社) 의뢰로 원양어선에 승선해 생물학 자료를 조사하는 '어업 옵서버'이자, 문학동인 '잡어' 동인으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한다. 책에는 저자가 남서대서양 공해 해역의 포클랜드 어장에서 조업 중인 원양어선 77오양호에서 선원들과 석달간 동고동락한 생활의 기록을 담았다. 우리가...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외신 2018-05-02 15:00:09
미 법원, 동성커플 친권분쟁서 '비생물학적 부모' 권리도 인정 180502-0443 외신-0093 11:35 해리왕자 결혼식 앞두고 왕실-대중지 묵은 갈등 터지나 180502-0453 외신-0094 11:38 필리핀 두테르테, 단기 근로계약 금지 행정명령…노동계는 싸늘 180502-0457 외신-0095 11:40 중국, 영하 35도 견디는 하얼빈~자무쓰...
[신간] 헌법전쟁·언제 할 것인가 2018-04-26 07:00:03
시간생물학, 사회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 걸친 700편 이상의 논문을 토대로 지난 30년간 전 세계 수백 명의 과학자가 매달린 타이밍에 대한 연구 성과를 집대성했다. 타이밍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인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미국 밀리언셀러 작가인 저자는 어쩌면 타이밍이 우리 인생의 전부라고까지 주장한다....
"저녁형 인간, 아침형 인간 보다 수명 짧다" 2018-04-13 09:33:30
결과는 체중, 흡연, 음주,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른 위험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다. 이는 저녁형 인간의 경우 24시간 생체시계가 실제 외부 환경과 일치하지 않은데서 오는 부작용일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제 때 식사를 하지 않고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운동도 충분히 못하고 그러다 보니 담배를 많이 피우고 술도...
[책마을] 대재앙 될 지 모를 과학기술의 이면 2018-04-05 18:33:55
공학, 전자학, 농업, 생물학 등에서 인류사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과학이 인류에게 좋은 것만 던져줬을까. 피터 타운센드는 《과학자도 모르는 위험한 과학기술》을 통해 과학기술이 가져다 준 과실을 즐기며 점차 거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구조로 사회가 변하는 사이 우리는 점점 더 재난에 취약한 상태가 돼...
美위스콘신대학 13개 비인기학과 폐지 방침에 전국적 논란 2018-03-24 13:11:11
명목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 전공 13개 학과를 폐지하고 "보다 실용적인 전공"을 신설 또는 확대할 방침이다. 폐지 대상은 미국학·영문학·불문학·독문학·서문학·지리학·지구과학·사학·철학·정치학·사회학(사회사업 전공은 유지)·예술학·음악문헌학 등이다. UWSP는 "해당 학과 등록률이 저조하다"면서 "수업료...
영국 대학 졸업 5년 뒤 평균임금 의대가 7천만원으로 으뜸 2018-03-16 20:58:02
10년 사이에 연봉이 33.3%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학(26.6%), 생물학(25.3%), 컴퓨터공학(23%)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 임금격차 역시 대학을 졸업한 초기 수년간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여성은 남성에 비해 5년 뒤 평균 임금이 16% 적었고, 농학(-15.5%), 건축학(-15.4%), 간호학(-14.1%)...
교육부, 'BK21 플러스' 우수 연구인력 시상식 개최 2018-03-16 06:00:03
세계 최초로 규명해 분자세포생물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게재했다. 아주대 문성민(30) 씨는 파리 10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복합단어 추출과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시각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BK21 플러스 사업은 1999년 1단계 사업으로 시작해 19년간 48만명을 지원했다. 지난해...
현대 물리학계의 큰 별 우주로 영원히 떠나다 2018-03-14 18:06:06
영국 옥스퍼드에서 태어났다. 열대병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였던 아버지가 의학을 공부할 것을 권유했지만, 17세 나이에 옥스퍼드대 물리학과에 진학하며 일찍 두각을 나타냈다. 하지만 21세에 전신 근육이 서서히 마비되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이른바 ‘루게릭병’ 진단을 받으며 인생에 큰 시련을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