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GC셀, 한국·호주서 암 세포치료제 임상 동시 추진 2023-10-17 16:52:18
살해(Natural Killer·NK) 세포를 결합한 차세대 면역항암제다. GC셀은 AB-201 임상 1상에서 HER2(인간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2)가 과발현하는 유방암, 위암·위식도 접합부 암 환자 최대 48명을 대상으로 치료제의 안전성, 유효성 등을 평가하고 임상 2상 권장 용량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GC셀은 한국과 호주에서...
지씨셀, CAR-NK치료제 국내·호주 다국가 1상 계획 신청 2023-10-17 16:11:51
키메릭항원수용체-자연살해(CAR-NK)세포치료제 ‘AB-201’의 다국가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신청했다고 17일 밝혔다. AB-201은 제대혈 유래 NK세포에 HER2는 유방암 난소암 위암 등에서 과발현하는 인간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2형(HER2)를 표적하는 CAR를...
루닛 "AI 바이오마커로 여러 암종 치료 효과 예측" 2023-10-16 10:38:33
조직 이미지를 AI로 분석해 면역 세포인 T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PD-1' 단백질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한 연구, 루닛 스코프로 종양침윤림프구(TIL) 측정 시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면역 항암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연구 등이 포함됐다. 또한 루닛 스코프로 진행성 담도암의 HER2(인간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2)...
루닛, AI 바이오마커로 항암제 효과 예측…ESMO 2023 발표 2023-10-16 09:28:44
진행성 담도암의 HER2(인간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수치를 측정했는데, 분석 결과 AI와 병리과 전문의의 측정값이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확보했다. 루닛 스코프를 적용했을 때 비소세포폐암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All-WT)를 선별하는 확률이 일반적인 오차범위(5%) 미만인 95.2%로 나타나, 불필요한 추가 검사를 줄일 수...
인간 뇌세포 상세지도 나왔다…영장류와 뇌세포 차이도 규명 2023-10-13 10:30:20
진화론적으로 구분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몇 가지 요인도 밝혀냈다. AAAS는 이 뇌세포 지도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요소 등을 밝혀내는 도구라며 세포 수준에서 인간 뇌를 이해하면 어떤 세포 유형이 특정 돌연변이의 영향을 받아 신경질환을 일으키는지, 인간과 다른 영장류의 뇌세포 수준 차이는 무엇인지 등을...
중국, 인간·동물·AI 등 과학연구에 '윤리 심사' 도입 2023-10-11 18:35:11
있는 새로운 종의 합성 ▲동물 배아에 인간 줄기세포 주입 ▲유전자 편집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보안과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자동 의사 결정 시스템 등이다. 이에 따라 AI의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와 알고리즘 관련 연구도 윤리 심사의 대상이 된다....
'바이오 커스터마이징' 시대…인류 미래 바꿀 합성생물학 [강경주의 IT카페] 2023-10-09 14:01:57
개념"이라고 입을 열었다. 합성생물학이란 인공적으로 생명체의 세포를 설계·제작·합성하는 기술로, 합성생물학은 유전학에 정보기술(IT)을 결합해 DNA 단백질 같은 생명체 분자를 전자처럼 비트(bit) 단위로 읽고 쓰는 '공학(engineering)'이다. 20년 전 인간의 DNA 염기서열을 모두 파악한 게놈 프로젝트가...
"초거대 AI가 곧 국력"…혈투 벌이는 美·中 2023-10-08 18:03:59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간의 뇌와 신경세포 구조 및 특성을 모방해 만든 ‘뉴로모픽 반도체’도 차세대 AI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뉴로모픽은 뉴런 간 스파이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AI 반도체를 말한다. 인텔, IBM 등이 뉴로모픽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개발 수준은 초기 단계이고 정확도가 낮아 비교적...
'빨라진' 노벨상…오래 기다린 유력후보 받는 관행에 '이변' 2023-10-08 08:00:02
변형해 인체에 투여하면 수지상 세포가 이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면서도 면역계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 2005년 발표했는데, 실제로 상용화된 결과물이 나온 건 2020년 코로나19 백신이 처음이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역대 의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들은 통상 핵심 연구 수행으로부터 평균...
3D 바이오 프린팅 놀랍네 !…이젠 뇌·심장까지 만들어요 2023-10-06 18:07:34
독일 프리드리히-알렉산더대 연구진은 심장 근육세포를 3D 프린팅해 만든 심실이 3개월 이상 박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심근세포 등을 재료로 해 실제 인간 심실의 6분의 1 크기인 작은 인공 심실을 만들었습니다. 심실은 프린팅된 지 1주일 후부터 박동하기 시작했으며 100일 넘게 이어갔습니다.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