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 특목고·자사고 내년 신입생부터 사회통합 전형 60% 저소득층 선발 2013-05-13 17:35:56
대상)에서 사회통합 전형 정원의 60%를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으로 우선 선발한다는 내용의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2단계(사회다양성 전형1·비경제적 대상)에서는 1단계에서 탈락한 저소득층과 다문화 가정·북한이탈주민 자녀 등 사회적 소수·약자를 뽑는다. 1~2단계에서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하면...
하나금융, 미소금융재단 200억 추가 출연 2013-05-06 14:23:49
사업 실패 등에 따른 신용불량정보 등재로 재기의 기회조차 갖지 못했던 656명에게 총 54억원을 지원해 온 바 있습니다.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자활의지가 강한 분께 사업자금 대출과 사업컨설팅을 병행하고 있다"며 "기초생활수급권자 등 가장 어려운 분들이 주로 희망대출을 찾는데 이분들께 좀 더 많은 도움을 드릴...
외환銀, 서민용 신용대출 2013-04-29 17:21:33
이하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권자, 다문화가정, 장애인은 0.2%포인트 추가 감면된다.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임창정 "아내한테 무릎 꿇고 빌어" 폭탄 발언 ▶ '외출하고 돌아온 아내의 속옷 검사를…' 경악...
외환銀 저소득층 전용 '행복나눔대출' 출시 2013-04-29 08:52:48
2천만원 이하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권자, 다문화가정, 장애인은 0.2% 포인트가 추가 감면된다. 중도상환수수료도 면제된다. 연소득 4천만원 이하 근로소득자·자영업자면 대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대출기간은 최장 3년이다. 거치기간 없이 원금을 균등하게 나눠 갚아야 한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서남수 교육부 장관 "국가장학금 성적기준 완화하겠다" 2013-04-21 17:55:48
가구소득 1분위(연소득 1466만원 이하) 학생은 49%, 기초생활수급권자 학생은 54%가 성적 기준을 밑돌았다. 대입 제도 간소화에 대해 서 장관은 “오는 8월 2015학년도 입시 주요사항 발표 때 박근혜정부의 대입 정책 방향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입전형 3년 예고제를 한다고 해서 모든 제도를 무조건 3년...
생닭·공중전화까지…'현대판 장발장' 급증 2013-04-16 17:04:49
등 3만5000원어치의 식료품을 훔치다 적발됐다.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인 김씨는 5년 전부터 소득 없이 지내다 최근 암 진단을 받은 뒤 식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2월 수원의 한 잡화매장에서는 5900원짜리 털장갑 한 켤레를 훔쳐 달아나다 이를 제지하는 종업원(19)을 때린 혐의로 60대 남성이 검찰에...
서울시, 임대주택 관리비·임대료 낮춘다 2013-04-11 11:22:25
확대합니다. 공공·재개발·국민임대 거주 기초생활수급자 5천834가구 임대료를 영구임대단지 임대료 차액의 20%를 감면하고, 잡수입활용과 통합 경비실 운영 등으로 관리비도 최대 30% 인하합니다. 또, 독거어르신에게 한끼 무료급식을 제공하고, 장애인 보장구 수리센터 확충 등 체감형 지원도 늘리기로 했습니다. 이와...
부유층 편법입학 '사배자전형' 경제적 약자 우선 선발 2013-03-28 16:58:17
전형 1단계에서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 계층 등으로 정원의 상당수를 선발한다. 경제적 배려 대상자로 사배자 정원이 채워지지 않으면 비경제 대상을 선발한다. 다만 비경제 내에서 소년·소녀 가장, 아동복지시설 보호 아동 등에게 우선권을 주고 한 부모 가정, 다자녀 가정 등은 후순위로 선발하는 방안은 교육부의...
[구청브리프] 서울 노원구, "행복 만들기 여행 참가자 찾습니다" 2013-03-04 12:26:35
못 떠나는 국민기초생활 수급권자와 차상위계층, 우선 돌봄 차상위가구 등에 여행 경비를 지원, 여행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여행이용권 신청은 오는 4일부터 22일까지 여행이용권 홈페이지(www.tvoucher.kr)에 신청하면 된다. 인터넷 접근성이 취약한 계층을 고려해 동 주민센터에서도 신청과 접수를 돕는다. 단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