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장내 미생물이 뇌에도 영향…'융합 바이오'가 메가트렌드" 2023-10-04 18:31:19
“여러 연구를 통해 장내 미생물과 세포들이 장과 뇌의 소통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이 새롭게 밝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장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세균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항생제를 사용하면 뇌질환이 일시적으로나마 좋아지는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다. 허 교수는 이 같은 메커니즘이 인간의 면역 시스템과 연관이...
DNA 설계하는 합성생물학…"핑크닭처럼 상상하는 모든 것 창조" 2023-10-04 18:31:12
인공적으로 생명체의 세포를 설계·제작·합성하는 기술로, 인류 미래를 바꿀 기술로 꼽힌다. 콜린스 교수는 “합성생물학은 유전자를 자유롭게 융합하는 ‘편집 공학’”이라며 “유전자 일부를 수정하는 유전학을 뛰어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합성생물학의 가능성은 무한대다. 개인 맞춤형 치료제는 물론이고 암을...
울산대, 3D 프린터로 인공혈관 출력 성공 2023-10-04 17:34:28
울산대가 3차원(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인간 신체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혈관을 출력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울산대는 구교인 전기공학부 의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출력한 혈관세포를 20일 동안 성장시킨 후 동물 체내에 이식한 결과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했다. 해당...
노벨생리의학상 '코로나 mRNA 백신' 주역들 품에 2023-10-02 20:52:45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백신을 만들겠다”는 커리코 교수의 계획을 들은 와이스먼 교수는 공동 연구를 제안했다. 이후 이들은 mRNA 치료제의 염증 반응을 없애는 기술을 함께 개발했다. 이전까지 가능성의 영역에만 머물던 mRNA를 사람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기술이다. 배성만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역대 227명째 노벨생리의학상…올해는 '팬데믹 해결사' 듀오 2023-10-02 19:33:20
인간의 후각계통 작동 메커니즘 규명 ▲ 2003년 : 폴 라우터버(미국) 피터 맨스필드(영국) = 자기공명단층촬영장치(MRI) 개발에 기여 ▲ 2002년 : 시드니 브레너, 존 설스턴(이상 영국), 로버트 호비츠(미국) = 유전자가 인체기관의 발달 및 세포 자살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01년 : 릴런드 하트웰(미국), 티머시...
"식도암 유발 변이유전자 발견" 2023-09-25 10:38:50
밝혀냈다. 카베오린은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세포의 정상 기능에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을 조절한다. 연구팀은 분자 기술과 인간의 신체조직을 이용, CAV-3 유전자가 특히 식도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연구했다. 그 결과 카베오린은 식도 표면 밑에 있는 점막선 세포를 구성하고 있고 식도가 손상됐을 때 CAV-3...
C&C신약연구소, 급성골수성백혈병藥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2023-09-25 10:00:21
하위 단계에서 작용하는 STAT(1~6)은 인간의 세포 내에서 다양한 유전자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이다. STAT이 과도하게 발현되면 각종 암과 자가면역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STAT5 및 STAT3의 과발현은 기존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의 낮은 약효와 질병이 악화되는 증세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TAT5는...
[이지 사이언스] '조용한 팬데믹' 항생제 내성균…동물에게서 온다고? 2023-09-23 08:00:04
항생제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투과성을 낮추는 경우도 있다. 2020년 국내 항생제 사용량은 21.0 DID(인구 1천명당 하루 의약품 소비량)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번째로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4월 항생제의 적정 사용관리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항생제 사용관리 프로그램(ASP)...
실험실에서 키운 고등어·오징어 밥상에 오르는 시대 올까 2023-09-19 16:01:39
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방식으로 기존 생물과 동일한 조직을 가진 소재와 식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축산학 분야에서는 이미 배양육 연구가 활발하다. 소, 돼지, 닭, 오리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됐으나 수산학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식량 부족·환경 오염 해결책 떠올라수산배양육은 식량 부족...
[사이테크+]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로만 유전되는 이유 찾았다 2023-09-19 07:19:54
남아 있는 미토콘드리아는 100여개에 불과한 반면 난자 세포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수십만 개나 있어 수정 후 부계 mtDNA가 모계 mtDNA에 압도될 수밖에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온전한 상태의 모계 mtDNA가 후대에 전달되면 mtDNA 돌연변이 축적으로 인한 질병 위험도 줄어 진화적으로 이점이 있을 수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