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어울림’ 탈북 한의사 3형제 출연, 탈북 과정과 한국 정착 스토리 공개 2015-03-23 21:40:00
뻔 했던 위기의 순간에 거짓말로 위기를 모면했던 상황 등을 통해 어렵게 남한에 당도했던 순간을 떠올렸다. 더불어 자신들의 탈북으로 인해 “(북한에)남아 있는 가족들이 영하 30도를 오르내리는 열악한 지역으로 강제 추방당하는 것도 모자라 강제 이혼과 식량 배급 중단까지 이어졌다”며 처참한 생활 실상을 최초로...
[Cover Story] '인구 폭발=인류 종말'…멜서스의 인구론은 틀렸다 2015-02-06 18:45:35
종말론 냄새를 풍긴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급감해도 인류가 위기를 맞는다는 걱정이다. 하지만 이것은 ‘적응-변이-진화 dna’를 가진 인간의 본질을 무시한 허무맹랑 그 자체다. 현재의 인구는 토머스 맬서스(1766~1834)가 ‘인구론’(1789)에서 경고했던 적정 인구 수에 비하면 지구를...
안효대 의원,'대한민국 농업혁신 포럼"에서 '창조농업' 강조 2015-02-05 10:50:00
관세화 유예 종료와 같은 사회적요인에 의한 위기도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날 포럼은 최규성 국회의원과 (사)미래식량자원포럼, (사)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이 공동주최하였으며 한국농업의 첨단과학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혁신을 주제로 열렸다. 이어 안 의원은 '그동안 정부의 지속적인 투...
‘발생 가능성’과 ‘파급력’으로 본 올해 글로벌 리스크…어떤 것이 있나? 2015-02-02 09:30:01
리스크로 여기에는 △수자원 위기3 △기후변화 대응실패 △생물학적 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 등이 속한다. 식량자원, 수자원, 에너지, 기후변화 등은 미국 국가정보회의(National Intelligence Council)에서 2030년 가장 중요한 메가트렌드로 선정한 것으로 각국의 최고 의사결정자들은 환경리스크 대응의 중요성을...
'루블화 폭락' 러, 곡물 수출 제한…밀값 급등세 2014-12-23 21:12:12
경제위기에 빠진 러시아가 밀 등 곡물 수출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치솟는 자국 내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다. 러시아의 곡물 수출 제한 조치로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밀 가격은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22일(현지시간) 각료회의에서 “식량...
[성공투자 오후증시] 머니칼럼 - 서방-러시아 긴장 고조, 유가 향방은 2014-12-22 15:40:03
가졌기 때문에 그 정도의 금 보유량이면 비상식량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러시아 모라토리엄, 유럽 금융위기 확산 초래 셋째, <물귀신 전략>을 구사했습니다. 러시아의 대외 채무의 무려 75%는 유럽의 금융권들로부터 조달되었습니다. 즉, 러시아의 모라토리엄은 곧 유럽의 금융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푸틴...
[마켓 포커스] [손에 잡히는 투자] - 유가하락으로 촉발된 ‘러시아위기’ 점검 2014-12-22 15:27:43
또 하나는 사우디는 식량 자급률이 미국 의존 대비 100%다. 미국과 사우디 입장에서는 서로 나쁠 게 없는 정치적 이해로 이런 노림수가 전체적으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최근의 유가하락은 정치적인 전략이 있다고 보인다. 해결국면 전환 단서는 무엇? 주식 시장에 떠도는 진리가 있다....
에볼라 사망자 7000명 육박…대다수 서아프리카 3개국 2014-12-18 16:06:52
식량계획(wfp)은 이날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에서 서아프리카 3개국의 국경 폐쇄, 격리 등의 조치가 최대 100만명을 기아 위기에 처하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들은 "에볼라로 인한 각종 제한 조치가 식량, 농업 분야에 대단히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감염을 우려한 사람들이 일터로 나가지 않아 생산성...
아로니아 추출물ㆍ묘목…농업경쟁력 높아, 고창아로니아 관심 집중 2014-12-17 10:38:56
우리나라가 세계 각국과의 FTA가 체결되면서 식량주권이 위협받을 정도로 농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식품원료 농산물에서 수입산 비중이 급증한 반면 국산 사용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09년 76%이던 국산 비중은 2010년 68%, 2011년 32%, 2012년 30%로 큰 폭으로 감소세를...
[러시아 통화위기] 생필품 사재기·환전소 북적…"러 경제 최후의 심판 시작됐다" 2014-12-16 21:04:45
상인들까지 등장했다.◆스태그플레이션 위기러시아는 지금 경제성장률은 하락하는 가운데 물가는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기에 놓여 있다. 러시아 경제의 악재는 서방 제재에 이은 유가 하락이다. 러시아 재정 수입과 무역 수지는 원유 수출에 각각 50%, 67%를 의존하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서방의 제재에도 꿈쩍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