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사상사 여행] "개인의 탐욕이 사회번영 이끌어"…정부역할 최소화 주장 2014-02-03 10:24:23
평가다. 20세기에 자유주의 하이에크와 간섭주의 케인스 사이에 벌어진 세기적 대결의 중심에 맨더빌이 서 있다는 것은 역사적 희극이 아닐 수 없다. 맨더빌은 소비는 일자리와 소득 창출을, 절약과 저축은 경기침체를 부른다는 이유로 소비가 미덕이고 절약이 악덕이라는 믿음의 창조자였다. 그런데 케인스는 맨더빌의...
[경제사상사 여행] "자본은 노동의 친구이자 번영의 열쇠"…마르크스 정면 비판 2014-01-10 17:18:11
이유에서 사회주의는 불가능하다는 미제스의 유명한 사회주의 비판에 버금가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라는 게 학계의 일반적 평가다. 1929년 발생한 세계 대공황을 설명한 자유주의 정치경제학의 거성 미제스와 하이에크가 경기변동이론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도 뵘바베르크 자본론의 힘 때문이었다는...
'3D 프린터 총' 만든 괴짜 코디 윌슨, 비트코인 비밀거래 SW 개발 중 2014-01-03 21:16:49
질서를 주장했다. 실제로 윌슨의 책장에는 하이에크의 저서 ‘노예의 길’이 꽂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트코인을 하이에크의 이상을 실현할 수단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윌슨은 센트럴아칸소대에서 문학을 전공한 뒤 변호사인 아버지의 뒤를 따라 텍사스대 로스쿨에 입학했으나, 지난해 5월 3d 프린터 총기 제작에 전...
[비트코인 열풍 상륙] 돈 쏟아내는 중앙銀 불신으로 수요 증가…결제수수료·환전비용 적고 규제도 안받아 2013-12-02 21:01:06
시장의 자유를 극대화하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오스트리아학파, 절제 있는 통화정책을 강조하는 밀턴 프리드먼 등의 통화주의와 맥을 같이한다는 차원에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이 바꾸는 금융산업 중국 온라인쇼핑몰 아이워너바이(iwannabuy)는 최근 외국인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결제 사이트의...
[오피니언] 법치(法治)의 혼을 살려내야 등 2013-11-29 18:15:16
20세기에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하이에크가 “법치의 이탈은 노예의 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목할 것은 그같이 정치적으로 어려운 고비마다 자유주의 거장들이 의지했던 법치의 진수(眞髓)다. 이는 통치자가 멋대로 법을 정하지 못하도록 법이 갖춰야 할 조건이다. 핵심은 첫째, 법은 모든 사람에게 예외 없이...
[경제사상사 여행] “시장, 스스로 질서 못만들어 통제 필요”…정부 개입 강조 2013-11-29 17:03:07
자유주의 때문이지요”라고 말했다면 하이에크는 눈을 찌푸리며 이렇게 답했을 터이다. “쓸데없는 소리! 그 위기는 폴라니 당신 같은 사람이 주장한 다양한 개입주의 때문이오.”폴라니는 상기된 얼굴로 이렇게 응수했을 것이다. “자유주의가 문제가 없다면 왜 노동운동 사회주의 간섭주의 등의 입법이 등장했겠소!” ...
[Cover Story] 한국은 왜 북한보다 잘 사나…자본축적의 차이 2013-11-29 16:41:57
폰 하이에크, 머레이 라스바드 등 수많은 경제학자들은 “이래서 미국과 한국이 잘 산다”고 답한다. 같은 시간 동안 같은 노동량을 투입하고도 북한은 1시간당 신발 10켤레를, 한국은 100켤레를 만든다면 승부는 끝난다. 북한은 신발을 만드는 기계설비, 기술, 신발재료(즉 막대기)를 제대로 확보하지도 못한 결과다. 반면...
[경제사상사 여행] "재산권은 번영의 열쇠"…美 자유주의 세계관 형성 2013-11-22 18:51:08
미신’이라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로크의 소유권이론은 소유 대상이 이미 주어져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런 전제는 소유 대상의 유용성을 발견하는 과정을 도외시해 특허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견자가 소유자다’라는 원칙을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여러 가지 비판의...
[다산 칼럼] 법치(法治)의 혼을 살려내야 2013-11-21 21:59:18
20세기에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하이에크가 “법치의 이탈은 노예의 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목할 것은 그같이 정치적으로 어려운 고비마다 자유주의 거장들이 의지했던 법치의 진수(眞髓)다. 이는 통치자가 멋대로 법을 정하지 못하도록 법이 갖춰야 할 조건이다. 핵심은 첫째, 법은 모든 사람에게 예외 없이...
[경제사상사 여행] “경제 번영은 상호작용의 산물…자유무역은 윈윈게임” 2013-11-15 17:27:23
하이에크사상도 흄의 진화사상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하이에크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것은 흄의 영향 덕분이다. 흄의 사상은 사회적 현상을 야기하는 인간행동이 제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영향을 받기에 제도 분석을 중요시하는 독일의 질서자유주의와 노벨경제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