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차세대 반도체 원천기술 확보에 5년간 250억원 투입 2013-07-24 14:59:14
'미래 반도체소자 원천기술개발사업 발대식'을 했다. 이번 사업에는 차세대 메모리용 기반 기술·하이브리드 직접회로 기술 등 총 12개 과제가 선정됐다. 이들 과제에는 향후 5년간 총 250억원이 지원된다. 지원금은 정부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6개 관련 기업이 절반씩 부담한다. 국내·외 32개...
ETRI·현대重, 크기 줄이고 정확도 높인 차세대 레이더 개발…디지털 레이더 '스마트한 배' 가 온다 2013-07-23 17:23:13
레이더 개발을 주도한 문재경 etri gan전력소자연구실장은 “일반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실리콘 반도체로는 높은 출력을 낼 수 없어 그동안 진공관 방식으로 레이더를 만들었다”며 “하지만 gan반도체를 이용하면 출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gan반도체는 2005년이 돼서야 상용화가 시작된 최신 기술이다. 미국 일본...
김흥남 ETRI 원장 "IT가 이끄는 선박 혁신…中의 추격 따돌린다" 2013-07-23 17:22:10
수입 대체는 물론 기술 자립이 가능해졌다”며 “다만 소자칩의 신뢰 확보 등 품질 측면에선 아직 할 일이 많다”고 했다. etri의 고출력 반도체 증폭기(sspa) 기술은 세계 최고로 꼽히는 미국 크리(cree)사와 성능은 동등하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칩 제조공정의 수율이 50%로 크리사의 90%에 못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동정] 박배호 건국대 교수, 아태물리학회장賞 수상 2013-07-23 11:40:33
교수는 다양한 첨단 실험기법을 이용해 나노소재와 소자를 직접 제작하고, 새로운 물리적 현상을 연구한 노력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150여 편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을 발표했고 논문 인용 횟수도 6000번을 넘는 등 유망 연구자로 인정받고 있다.지난 2011년에는 신소재로 각광받는 그래핀의 주름구...
<한국 반도체산업이 메모리에만 편중된 이유는> 2013-07-23 06:17:05
군림한 삼성전자, 금성일렉트론(LG반도체), 현대전자의 제품 구성은 개별소자(삼성), MOS로직(금성), S램(현대)으로 다양했으나 1994년에는 메모리 반도체 비중이 삼성 87%, 금성 90%, 현대 99%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 3곳이 세계 반도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이...
국내 연구진, 유연한 고감도 유·무기 이종접합 광센서 개발 2013-07-22 13:11:50
적용된 유연 이종접합 소자는 다양한 유기물 반도체 적용을 통해 더 좋은 성능의 유연 광전소자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이효리, 결혼 겨우 두 달 앞두고…'왜 이럴까' ▶ 성재기, Ƈ억' 때문에 자살한 줄...
레이저로 초고속 나노물질 생산 < KAIST> 2013-07-17 10:41:40
나노소자 대량생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준엽 박사는 "이 기술은 기판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정이 가능해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다양한 나노물질과의 조합을 통해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의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라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국내 연구진, 고성능 구리이온 검출센서 개발 2013-07-12 14:49:55
이용하면 유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정선희, 남편과 사별 이후 어떻게 사나 봤더니 ▶ 아내에 변태적인 성관계 요구했다가…경악 ▶ 여친 가방 떨어뜨리자 '콘돔'이…발칵 ▶ "장윤정...
KEIT, 나노코리아 2013 기술동향 및 상생협력포럼 개최 2013-07-12 10:58:52
KEIT 김홍연 신산업평가단장은 “나노기술은 기존 기술과 융합하거나 새로운 개념의 독자적 융합산업을 창출해,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미래 핵심 기술”로 “나노 소재 및 소자의 실용화를 위해 시장에 대한 연구 개발자의 이해가 필요하며, 나노융합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이번 상생협력 포럼과 같은...
나노융합기술 총망라 '나노코리아' 코엑스서 개막 2013-07-10 06:00:42
관련 융합연구를 수행한 서울대이윤식 교수와 기능성 나노코팅제를 출품한 쎄코가 각각 수상했다. 실리콘 박막태양전지를 출품한 LG전자기술원이 산업부장관상을, 실리콘 기반 시냅스 소자를 발명한 서울대 박병국 교수 등이 미래부장관상을 각각 받았다. oakchu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