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좋은 돈 나쁜 돈 이상한 돈》 펴낸 이철환 전 FIU 원장 "돈 많이 풀려도 제대로 안돌면…내 주머니 돈 없는 풍요속 빈곤" 2016-02-16 18:13:07
등에 이은 그의 16번째 저서다.그는 한국 상황에 대해 “단기 부동자금이 900조원 수준에 이르렀다”며 “시중에 풀린 유동성이 중소기업과 실물경제로 흐르지 못하고 부동산시장이나 증시로 가거나 가계부채를 늘리는 데 한몫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전 원장은 이어 “돈이 많이 풀려도 원...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10년 만기 국채금리 첫 연 1%대 진입…일본 '잃어버린 20년' 닮아가는 대한민국 2016-01-29 17:28:45
0%대로 끌어내렸다. 시중의 부동자금 규모가 1000조엔이 넘었다. 하지만 경기는 살아나지 않고 디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경제 주체들이 현금을 장롱에 쌓아두는 현상이 나타났다. 1986~1990년 연평균 4.7% 성장했던 일본 경제는 1991~1995년 연평균 1.5% 성장에 그쳤다. 1995년 물가상승률은 -0.12%로 1958년 이후 처음으로...
작년말 국내 펀드 순자산 413조원…42조원 증가 2016-01-14 16:16:27
저금리에 따라 부동자금이 늘면서 MMF 수탁고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1조7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설정액은 6천억원 순유출을 보였으나 평가액 상승으로 순자산이 그나마 늘었다. 미국 금리 인상 우려와 중국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주식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뉴스줌인] 시중은행들 "시어머니 잠잠하고, 물 들어오니 노나 저어볼까" 2015-12-24 00:13:52
여신이 많이 들어가 있는 은행과 자금을 많이 회수해 간 은행 사이에 늘상 잡음과 논란이 일기 마련이지만 대부분 그 사안의 중차대한 점과 명분, 실력자의 개입 등으로 끝내 지원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 지, 기업구조조정을 논할 때 빼 놓고 이야기 하기 힘든 우리은행이 먼저...
<2016 증시진단> ③재테크 판도 바뀌나 2015-12-21 08:00:46
연 1%대의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투자처를 찾지 못한 부동자금의 대이동을 부를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지난 9월 말을 기준으로 현금,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을 합친 단기 부동 자금은 약...
<美 금리인상> 전문가들 "신흥국·중국시장에 미칠 충격파가 변수" 2015-12-17 05:45:16
안 좋아질 것이다. 부동산시장도경색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미시적으로 정책을 조정해야 한다. 가계부채 관리도 DTI, LTV 같은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우회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자본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인이 보유한 채권에 대해 세금을 낮추는 방법도 있다. 금리인상 자체가 구조조정인 만큼...
`변해야 산다`…차별화 선언, 주목하는 `수익형 부동산` 어디 2015-12-15 13:00:01
사상 최저 저금리로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단기 부동자금이 사상 처음으로 900조를 넘어선 가운데 고정적인 월세 수입이 가능한 상가나 오피스텔로 뭉칫돈이 더욱 몰릴 가능성도 커졌다. 하지만 철만난 수익형 부동산의 공급도 봇물을 이룰 전망이라 투자자의 선택을 받기...
[맞짱 토론] 금리 추가인하 해야 하나 2015-11-20 18:57:50
9월까지 단기부동자금은 전년 동기보다 21% 급증한 921조8000억원에 달했다. 금리를 내렸는데도 돈이 투자처를 찾지 못해 떠돌고 있다는 의미다.저금리는 통화가치를 떨어뜨린다. 한은이 지난해부터 기준금리를 네 차례 낮췄지만 실질 통화가치는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는 소비자물가가 적게 올랐기...
[권영설의 '경영 업그레이드'] 성장시대는 끝났는가 2015-11-19 18:21:31
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약 921조8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성장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답답한 미스매치가 계속되고 있을 뿐이다.권영설 논설위원 yskwon@hankyung.com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한경닷컴 바로가기] [중국자유무역지구(ftz)포럼]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단기 부동자금 사상 첫 900조 넘어…원인보니 2015-11-19 06:44:15
단기 부동자금이 사상 처음으로 900조원을 넘어섰다. 저금리로 시중에 돈은 많이 풀렸지만 투자 등을 통해 선순환되지 못한 채 시중 자금이 현금성 자산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 단기부동자금 1년만에 21% 증가 19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약 921조8천억원으로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