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 노멀 시대…`투자의 구루`들이 사라진다 2014-11-20 13:15:48
Q > 제레미 시겔, 다우 2만 포인트 달성 전망 7월에 미국의 주가가 연내에 2만 포인트를 달성할 것이라고 예측을 했었다. 그렇지만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지만 연내 2만 포인트 달성은 힘들지 않느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Q > 워런버핏, 월가에서 가장 신뢰하는 구루 월가 사람들의 경우에는 버핏에 대한 신드롬이 있는...
실러 · 소로스 `미증시 거품 경고`‥ 투자자 대응은 2014-08-20 09:25:20
실러와 시겔의 학자간 논쟁이 있었다. 그리고 작년 10월에는 마켓 워치가 5가지 증후를 들어서 증시가 거품이라는 이야기를 했었다. 또한 WSJ은 작년 11월에 트위터의 잭팟 공모를 빌미로 IT의 버블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올해 들어 테이퍼링 추진으로 미국 증시가 올라가지 않고, 워블링 현상이 나타나면서 실러...
나스닥 지수 폭락‥ `제2 닷컴 버블붕괴` 오나 2014-04-14 08:34:42
나타났었다. 또한 2013년 9월, 실러와 시겔 간 3차 논쟁이 있었다. 그러면서 작년 말에 있었던 FRB회의에서는 테이퍼링 규모 축소가 시작됐다. 이런 상태에서 올해 3월에 다시 한 번 주가의 거품 논쟁에 있었는데 이것이 클러먼과 그로스 간 4차 논쟁이다. 이런 상태에서 지난 주말 마크 파버가 블랙 먼데이를 경고했다. Q...
테이퍼링 100일‥ IMF 경제성장 전망치 변화는 2014-04-09 11:12:38
제조업, 시겔업종은 테이퍼링의 추진과 상관없이 돋보이고 있는 업종이다. 하지만 IT업종은 정책 순응성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Q > 테이퍼링 이후 IMF 전망치 변화, 시사점은 테이퍼링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미국 증시만 보면 당초 테이퍼링의 우려와는 달리 큰 변화가 없어 보인다. 테이퍼링은 미국의 경기를...
클러먼 美 주가 `거품` 경고 `월가서 화제` 2014-03-13 08:37:23
있었다. 그리고 2013년 9월에는 실러와 시겔 간 3차 논쟁이 있었는데 이것을 기점으로 작년12월에는 미국이 테이퍼링을 결정했다. 그리고 지금 2014년 3월에는 클러먼과 그로스 간 4차 논쟁이 나오고 있다. 1, 2, 3차 논쟁과는 달리 이번 4차 논쟁에서는 낙관론자가 비관론을 제시하고, 비관론자가 낙관론을 제시하고 있다....
`워블링(wobbling) 이코노미`로 동요하는 글로벌 금융투자자 2014-02-20 09:16:23
소로스는 하락에 배팅을 하고, 시겔은 상승에 배팅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예측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예측의 주기가 반기에서 분기로 앞당겨졌는데 이것이 워블링 이코노미 현상에 따른 변화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자연스럽게 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Q> 금융 투자자 스트레스...
"재차 화두가 되고 있는 손성원 교수의 교훈" 2014-02-07 08:35:35
실러와 시겔 간의 논쟁이 있었을 때 손 교수도 미국의 주가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었다. 분명히 다우지수 16,000대의 주가 수준은 거품이기 때문에 테이퍼링을 추진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고 하더라도 지금은 부의 효과에서 경기를 지탱하는 측면이 강하다. 그리고 금융위기 과정에서 돈을 풀어 주가, 부동산을 띄운 목적은...
테이퍼링의 저주…‘아르헨티나 블루 달러 위기설’ 2014-02-03 09:30:00
「투자의 정석」,「성장의 함정」의 저자로 알려진 제러미 시겔 간의 논쟁이다. 실러는 작년 9월 당시 PER(주가수익비율)가 CAPE 지수(물가를 감안한 10년간 PER 평균치)보다 높은 점을 근거로 거품이 끼었다는 주장에 시겔은 통계상의 오류를 들어 정면으로 반박했다. 증시 논쟁이 지속되는 속에 시장에서도 다섯 가지...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글로벌 증시 몸살…아름다운 조정? 비극의 시작? 2014-01-26 21:13:23
‘투자의 정석’ ‘성장의 함정’ 저자로 알려진 제러미 시겔 간의 논쟁이다. 실러가 작년 9월 당시 주가수익비율(per)이 cape 지수(물가를 감안한 10년간 per 평균치)보다 높은 점을 근거로 거품이 끼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시겔은 통계상의 오류를 들어 정면으로 반박했다. 거품론이 갈수록 설득력을 얻어가자 fed도 작년...
"美 연준 주가거품 우려‥출구전략 가속화되나" 2014-01-10 08:42:58
작년 로버트 실러와 제레미 시겔의 주가 거품 논쟁은 향후의 통화정책 방향을 읽을 때 주목해야 한다. 로버트 실러는 작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로버트 실러는 미국의 대표적인 주택지표인 미국의 대표지수인 케이스-실러 지수를 만들었다. 그러나 자산은 증시와 부동산이 같이 가기 때문에 주택, 주식에 대해 언급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