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가 간 분업은 번영의 열쇠"…비교우위론으로 무역 활성화 2013-03-22 17:14:02
역설했다. 19세기 초 영국의 주요 문제는 상품가격과 금값의 인상으로 인한 통화가치 불안이었다. 물가 불안의 원인이 영국에 대한 나폴레옹의 대륙 봉쇄 때문이라는 게 세간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리카도는 금값과 물가 인상은 잉글랜드은행이 지나치게 많은 돈을 발행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면서 건전한 통화를 유지하기...
[인문학과 경제의 만남] <100> '선한 사마리아인 법'과 정부의 공공부조 2013-03-22 09:50:36
팽팽히 맞서면서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빈곤 초래하는'공공부조' 우선 선한 사마리아인 법의 경우 신체적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것은 누구의 강요에 의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판단에 따라 결정할 사안으로, 도덕적 문제인 만큼 법의 잣대를 들이대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한 구조자의 책...
박근혜 대통령 "국민연금 가입은 손해라는 오해 풀어달라" 2013-03-21 17:17:42
공공부조, 4대 중증질환 건강보험 100% 적용, 노인빈곤 문제와 기초연금제 도입, 식품의약품 안전관리 등 4가지 부분에 대해 토의를 진행했다.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급등주 자동 검색기 등장...열광하는 개미들 ▶[한경 스타워즈] 대회 한 달만에 전체 수익 1억원 돌파! 비결은?...
[다산칼럼] 성장과 분배의 이중주 2013-03-21 17:12:11
함께 소득분배 개선하고 기회 불균등, 노인빈곤 해결해야 박종구 <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pjk@kopo.ac.kr >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국가가 아무리 발전한다 해도 국민의 삶이 불안하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며 ‘국민행복’을 새 정부의 핵심 국정목표로 제시하고 경제민주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시대적 화두가...
"분배와 성장은 별개"…정부의 시장 개입 정당화 2013-03-15 17:23:15
하지만 노동계급의 비극과 분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시장은 양적으로 볼 때는 좋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나쁘다는 의미다. 정부가 재분배를 통해 빈곤을 해소하고 분배정의를 달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러나 밀은 나눌 파이를 줄이지 않고는 분배하기 어렵다는 세간의 이론적 저항에...
[Cover Story] '자원의 저주'…기술·창의와 결합해야 '축복' 2013-03-15 11:25:46
발목을 잡는다. 자원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자원으로 인해 국민성이 게을러지고 창의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원유가 넘쳐나 이른바 ‘오일 머니’로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있는 중동 산유국의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국민소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대부분 취약한 것은 이를 잘 설명한다. 흔히...
[추창근 칼럼] '레짐 체인지 프로세스' 뿐이다 2013-03-13 20:29:33
그리고 그들의 2500만 주민들을 처참한 빈곤과 굶주림으로 내몰면서 오로지 핵에 집착한 결과가 결국 파멸의 지름길임을 분명히 깨닫도록 해야 한다. 이제는 담론 차원이 아닌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정권교체)의 체계적인 전략과 치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본격적으로 대비해야 할 이유다. 박근혜 대통령은 여전히...
[전문]방하남 고용노동부 신임 장관 취임사 2013-03-11 16:25:14
일을 통해 빈곤에서 근본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고용복지 연계서비스를 강화하고, 직업훈련을 통해 내일은 오늘보다 더 나은 일자리로 상향이동이 가능한 “꿈이 있는 노동시장”을 구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넷째, 일자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노사관계 패러다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인문학 산책] 성호 이익 "나는 천인이다" 2013-03-07 16:58:59
정책의 빈곤은 민생을 도탄으로 내몰았다. 곽우록이란 정책제안서를 지은 것도 이런 상황을 두고 볼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다.지난해는 대선이 치러진 해였다. 국민들이 가장 많이 접한 말 가운데 하나가 ‘국민의 눈높이’란 단어다. 이 말의 숨은 뒷면은 국민과 다른 정체성의 존재다. 정치인은 국민과 괴리된 눈높이를...
[시진핑 10년, 기로에 선 한국] 샤오빈 중산대 교수 "삼성같은 브랜드 나오려면 더 많은 자유를" 2013-03-06 17:06:27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칭모델’과 정반대되는 해법을 제시했다. 개방과 민간의 자율을 통해 발전한 ‘광둥모델’이야말로 중국을 빈곤에서 구하고 미국과 함께 세계 2대 강대국(g2)의 지위에 올려놨다는 믿음에서다.광저우 중산대 강의실에서 만난 샤오 교수는 광둥모델을 “값싼 노동력과 외국 자본, 바다를 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