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차전지 용량 5배 늘릴 기술 찾았다 2016-03-23 00:44:04
교수, 한양대 김한수 에너지공학과 교수,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소재연구센터 손정국 전문연구원(박사) 공동연구팀은 22일 융합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에 이 같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연구진은 규칙적인 나노미터(1㎚=10억분의 1m) 단위 구조를 갖는 몰리브덴 산화물에 이론적으로 알려진 기존...
고성능 유기반도체 단결정·나노패턴 동시에 만든다 2016-03-22 12:00:33
화학공학과 박찬언 교수와 영남대 화학공학부 김세현 교수 연구팀은 22일 고성능 유기반도체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동시에 수십나노미터 수준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기반도체는 실리콘 같은 무기반도체와 달리 가볍고 유연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종이, 웨어러블 센서 등...
"스마트안경 하나면 가상 피아노·키보드도 OK" 2016-02-25 09:39:39
전기 및 전자공학과 유회준 교수 연구팀이 동작인식이 가능한 증강현실 전용 초저전력 스마트 안경 '케이 글라스 3'(K-Glass 3)를개발했다고 밝혔다. 케이 글라스 3은 유 교수팀이 2014년 내놓은 증강현실 기반의 케이 글라스 1, 2015년의 시선추적이 가능한 케이 글라스 2에 이어 개발한 것으로 이달 초 미국...
신체 어디에나 붙는 '생체신호 스티커 센서' 개발 2016-02-04 13:47:09
공학과 유회준·유승협 교수 공동 연구팀이개발한 스마트 스티커 센서는 휘어지는 유기광전소자와 반도체 칩을 결합한 구조다.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는 2g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다 피부에 완벽히 부착할 수있어 48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용수 박사과정과 이현우 석사과정 학생이...
'촉매의 왕' 백금 단일원자 촉매 전기화학 반응 성공 2016-01-27 11:31:06
연구 성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 연구팀이 불균일계 백금단일원자 촉매를 전기화학 반응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는 연세대 알로이시우스 순(Aloysius Soon) 교수팀과의 공동으로 진행됐다. 반지나 귀걸이 등 장신구 소재로 널리 쓰이는 백금...
부산-부산대 공동연구팀, 세계최초 'DNA 리소그래피' 이용 고성능 전자소자 제작 2016-01-12 16:39:24
국제공동연구는 부산대의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홍석원(공동교신저자) 교수와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강석희(제1저자) 박사 과정생이 주도하고, 재료공학부 권세훈(공동교신저자) 교수 및 황완식 한국항공대 교수, 지퀀 린(zhiqun lin)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 등의 참여로 진행됐다. 이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건강 100세 시대’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효소를 채워라! 2016-01-11 17:10:42
현재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로 있으며 카이스트,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 박사후 연구원, 한국 생명공학연구원의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생체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원 효소,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효소를 얼마나 잘 채우는지에 따라 우리의 건강 상태가 좌우될 수 도 있다고 신현재 박사는...
안정 속 변화 택한 SK…대표이사 3명 교체, 70년대생 CEO 발탁 2015-12-16 18:03:47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송 사장 내정자는 고려대 산업공학과를 나와 미국 조지아공대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엑슨모빌 등 미국 기업에서 근무하다 2011년 sk이노베이션에 합류했다.이완재 skc 사장 내정자는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sk e&s에서 전력사업부문장, 액화천연가스(lng)사업부문장 등을...
부경대생, 배터리 없는 웨어러블 기기용 센서 개발 2015-12-10 15:31:43
전자공학과 베트남 유학생 탕 씨, 국내 센서학회서 최우수논문상 부경대생이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활용해 환자의 위급상황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없는 센서 태그(sensor tag)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주인공은 부경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유학 중인 트란 비에트 탕 씨(41?박사과정 3년). 탕 씨는 교통카드 등에...
[진화하는 드론] 한국 드론산업은 '저공 비행'…미국·중국에 3~7년 뒤져 2015-11-27 18:31:58
한정돼 있다.또 드론용 소프트웨어와 배터리, 모터, 카메라 등 핵심부품을 수입해 단순 조립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윤광준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국내 상업용 드론은 미국, 중국, 독일 등에 비해 3~7년 뒤처진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드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내다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