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방사선 쪼여 차세대 태양전지 수명 높인다 2016-11-15 10:54:33
것은 물론 스마트폰, TV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고성능 전자 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온라인판 지난 10일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리콘 반도체 두께의 10분의 1"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6-11-09 11:54:51
이황화몰리브덴 사이에서 발생하는 광전류 효율이 높아, 기존 광소자제작에 쓰이는 p-n 접합 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p-n 접합은 전기적 성질이 서로 다른 두 반도체 물질 간의 이종접합으로, 외부빛을 흡수해 전기적 신호 또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광소자 제작에 활용된다. 하지만 p-n 접합 구조 상 14nm...
"양자점의 집광 효율 높여" 양자컴퓨터 등에 활용 2016-10-18 11:10:34
특히 빛의 분포가 가우시안 형태를 띠고 있어 광도파로(光導波路·빛이 지나가는 길)에 결합하기에도 유리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피라미드 구조체 밑면의 반도체 기판을 떼어내도 빛이 공기 중으로 나올 수있어, 다른 유연한 기판 등과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조 교수는 "양자 광원뿐만 아니라 LED 등...
'반도체 나노기술 권위자' 신중훈 KAIST 교수 별세 2016-10-03 16:44:50
연구해 광대역 통신·정보 소자에 응용 가능한 연구 업적으로 '제 8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어 나노기술을 이용해 우수한 광(光) 성질을 실리콘 반도체에 도입, 현 반도체 기술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펠로우십 어워드'(2005),대통령 표창(2006),...
투명망토 원리 이용해 빛 오래 가두는 공진기 개발 2016-10-03 12:00:14
교수 공동연구팀이 투명망토 이론을 이용해 '광-공진기' 설계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광-공진기는 공진현상(특정 진동수를 가진 물체가 같은 진동수의 힘이 외부에서가해질 때 진폭이 커지면서 에너지가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해 특정 진동수의 전자기파나 빛을 일정시간 가두는 장치로, 레이저의 핵...
[증권]스몰캡 관심주-엑시콘 2016-09-23 10:05:42
A. " 엑시콘 " Q. 엑시콘은 어떤 기업? 기업개요 - 반도체 메모리 - 광소자 테스트 - 2001년 설립 - 2015년 상장 Q. 엑시콘 매출 구성은 어떠한가요? 매출 구성 - 반도체 54% - 스토리지 테스터 45% - 테스트 1% Q. 주요 사업별 특징은? 반도체 검사장비 - 전공정 - 웨이퍼 레벨 테스트 장비 - 日...
[스몰캡 관심주] 엑시콘(092870) 2016-09-23 08:39:50
광소자 테스터 개발 - 국내 유일 SSD 테스터 업체 - 반도체 검사장비 : 후공정 → 美 테러다인 · 日 어드반테스트 - 테스터 공정 산업, 기술 고도화 → 리스크 · 원가 절감 부담 → 외주비중 증가 → 고가장비 투자 필요 → 진입장벽 보유 - 초고속 메모리형 테스터, 국내 최초로 국산화 → 높은 생산성 및 신뢰성 보유...
"세포 특정 부분에 작용" 나노선 센서 개발 2016-07-19 12:00:59
이 접합을 통해서만 전기·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나노선 센서를 개발했다. p-n 접합은 전기적 성질이 서로 다른 두 반도체 물질 간의 이종접합으로, 외부빛을 흡수해 전기적 신호 또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광소자로 널리 사용된다. 연구팀이 전해 용액을 이용해 전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 센서 민감도의...
"효율 높이고 크기는 10분의 1로" 형광등 호환형 LED 개발 2016-06-21 10:52:56
스위칭 소자를 개발, 형광등 호환형 LED 램프에 적용했다. 이산화바나듐은 상온에서는 절연체 상태이지만 68도 이상 온도에서는 금속으로변해 대표적인 상전이 물질로 가장 많이 연구된다. 이번에 개발한 램프는 광효율이 기존 상용제품에 비해 14% 이상 높으면서도 부품 크기는 기존의 10분의 1로 줄였다....
태양광 흡수율 높인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 개발 2016-06-20 13:34:26
첨가해 밴드갭을 31%까지줄이고, 광전밀도(단위면적 당 전류 값)를 기존 강유전체에 비해 25배 이상 높이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강유전체는 기존 자외선 영역의 빛만을 흡수하는 강유전체의흡광 영역을 가시광까지 넓히면서도 뛰어난 자발분극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물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