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31) 일본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재정을 장악하였는가 2014-10-17 16:37:58
직속의 징세기관을 설치해 지방관과 이서층을 조세행정에서 배제하고 조세금의 상업적 이용을 금지했다. 그리고 (3)황실재정에 집중된 각종 재원을 정부재정으로 이관함으로써 황실의 자율적인 재정 기반을 완전히 해체했다.대한제국의 화폐제도는 일본에 의해 개편됐으나 당시 대한제국도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관세청 과오납 환급액 상반기 3천421억원…7배로 불어나" 2014-10-15 06:10:05
심재철의원 "무리한 징세 때문…신중한 과세 필요" 관세청이 올 들어 관세 등을 과다하게 징수했다가 환급해 준 금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관세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심재철(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 2천157억원이었던 과오납 환급액은 2011년...
국세청 '세금문제 현장소통의 날' 운영 2014-10-14 12:00:33
상담반은 부가세, 소득세, 재산세, 법인세, 세무조사, 징세, 불복청구 등 7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분야별 전문가는 외부 전문가 1명과 국세공무원 2명 등 3명이 한 팀을 이뤘다. 이들 가운데 외부 전문가는 영세납세자지원단 소속 세무 전문가(1천680명)와 국선세무대리인(237명) 가운데서 선발됐다....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30) 황실재정의 확충 2014-10-10 16:58:04
역할을 하는 중앙은행처럼 탁지부에 대출을 해주고, 징세기관이 돼 조세를 징수하는 특유의 재정제도가 출현한 것이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황실 재정 확충은 기대했던 것만큼 만족스럽지 못했다. 국왕의 권력을 배경으로 한 내장원도 ‘외획’으로 받은 지세를 1902년에 7할 정도, 1903년도에는 겨우 1/4...
<국감현장> 기재위 "국세청, 무리한 과세 많다" 2014-10-08 10:55:40
부담이 상당해졌다"며 "무리한 징세행정은 기업경기 위축은 물론 소송패소 등으로 지속적 세수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세무조사만 과하게 하기 보다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활용되는 금융정보분석원(FIU) 법과 각종 과세 인프라를 동원해 꼭 조사해야하는 납세자만 선정해...
이한구 "지하경제양성화 추진 과정서 무리한 징세 증가" 2014-10-08 08:56:51
과정에서 무리한 징세로 부실과세가 증가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이한구(새누리당) 의원은 8일 국세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국세청은 지난해 지하경제양성화 추진을 통해 4조6천억원의 세수 실적을 올렸다고하지만 이는 추가 부과액이며 실제 징수 실적은 3조3천억원(목표액 2조원)으로 추징액...
세금 작년보다도 안 걷힌다…올해 세수 사상 최악 2014-10-06 06:02:05
세수 목표치는 늘어났으나 징세 실적은 더 악화했다. 관세청의 지난 5년간 7월까지의 세수 진도율을 보면 2009년 56.3%, 2010년 65.1%, 2011년 60.6%, 2012년 59.4%, 2013년 56.4%로, 올해보다 낮은 적이 없었다. 올들어 지난 7월까지 관세청의 세목별 세수 진도율(세입예산)은 관세 44.7%(4조7천150억원),...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28) 재정능력 함정과 갑오개혁 2014-09-26 17:51:58
관장하는 관세사(管稅司), 징세서(徵稅署)를 전국에 설치하여 지방민으로부터 조세를 직접 수취하고자 하였다.특권과 무명잡세 모두 폐지 갑오개혁 정부는 시장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개혁도 다방면으로 추진했다. 우선 시전과 공인제도를 폐지하여 정부에서 필요한 재화를 시장에서 구입하도록 했다. 무질서한 상업부문에...
[경제학자가 본 한국사] (27) 새로운 영리기회의 출현과 회사 설립 2014-09-22 17:16:47
징세하여 그 일부를 관청에 상납하는 조세청부업이 주 업무였다. 특정 상품의 생산이나 판매를 독점하고 징세하는 회사도 있었다. 누룩을 독점하여 위반자로부터 조세를 거두었던 국자회사(子會社)가 좋은 예다. 회사 설립을 허가받는 것을 독점권을 인정받았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았다.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