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금융硏 "우체국금융 민영화 추진해야" 2013-11-10 12:00:54
노동자·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예금 전액 보장·각종 세금 면제 등의 혜택 덕분이다. 그러나 이 연구위원은 "이젠 금융환경이 변하며 우체국금융의 설립취지가 퇴색했다"고 지적했다. 민간 금융기관이 크게 성장해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는데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도서 산간지역도 인터넷...
[글로벌 인재포럼 2013] "인재포럼 참가자들 열정에 감동…한국, 더 자신감 가져도 된다" 2013-11-08 21:02:28
등 국가 간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중요한 경제 주체로 떠오르고, 이로 인한 문제도 생기고 있어서다. 출산율이 낮아지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 역시 노동 이동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다. 한국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이민자를 늘리는 등의 새로운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맥키완 부국장=세계...
NH농협카드, 지구촌사랑나눔에 후원금 전달 2013-11-08 16:13:05
후원금 5000만원을 전달했다. 지구촌사랑나눔은 외국인 노동자 및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상담, 교육 등을 제공하는 민간단체다. 후원금은 지구촌학교 교실 증축 및 옥상 개조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강성 후보 탈락한 현대차 노조위원장 결선…실리·중도합리 맞대결 2013-11-08 15:03:14
1차 선거에서는 현장노동조직 '현장노동자' 소속 이경훈 전 노조위원장과 '들불' 소속 하부영 전 민주노총 울산본부장이 각각 1·2위를 차지해 결선에 올랐다.실리와 중도합리 노선으로 분류되는 이들 후보는 나머지 3명의 강성 성향의 현장노동조직 출신 후보 3명을 제쳤다.현대차 노조위원장 임기는 2년이다....
NH농협카드, `지구촌사랑나눔`에 후원금 5천만원 전달 2013-11-08 14:34:21
노동자를 위한 상담 및 쉼터운영을 시작으로 다문화가족, 중국동포 등 이주민들의 인권신장과 복지를 위해 일하고 있는 비영리민간단체입니다. 이번 농협카드 공익기금은 `지구촌사랑나눔`이 설립한 지구촌학교에 전달돼 교실 증축 및 옥상개조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지구촌학교는 교육청으로부터 인가받은 다문화...
KT 소액주주, 전현직 CEO 상대 손배 청구 소송나서 2013-11-08 10:52:44
상대로 과징금 납부와 노동자퇴출 프로그램으로 인한 이미지 실추 등의 책임을 묻겠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했다.kt노동인권센터, kt전국민주동지회, 민주노총법률원 등은 8일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액주주 35명을 원고로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장을 이 법원에 접수했다고...
현대車 노조위원장 강성 후보의 '몰락' 2013-11-07 04:06:28
실시한 1차 투표에서 다섯 명의 후보 가운데 ‘현장노동자’ 소속 이경훈 전 노조위원장이 1만9489표(득표율 45.42%)로 1위를 차지했다고 6일 발표했다. ‘들불’ 소속 하부영 전 민주노총 울산본부장은 8262표(19.25%)로 2위였다. 현대차 노조는 1, 2위를 대상으로 8일 결선투표를 한다. 이들은 현대차 현장 노동조직 중...
경제로 번진 한-일 갈등…日재계 "징용배상 거부" 2013-11-06 21:26:44
기자 ]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 노동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법원의 판결에 대해 일본 재계가 한목소리로 반기를 들고 나섰다. 게이단렌(經團連·한국 전경련에 해당)과 일본상공회의소, 경제동우회 등 일본 재계 3단체는 6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인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명령 판결이 한국 법원에서...
日재계 "징용배상 이미 끝난 일…對韓 투자 걸림돌 될 수도" 2013-11-06 21:12:51
공동 기자회견에서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 노동자들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법원의 판결을 공개적으로 반박한 것은 경색된 한·일 관계와 앞으로 다른 기업에 미칠 영향을 감안할 때 어느 정도 예상된 수순이다. 일본 아베 정권은 강제 징용 노동자를 포함한 대일 청구권 문제에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 왔다. 논리...